이재명 정부, 광주 AI 산업 예산 집중 지원…‘대한민국 대표 AI 중심도시’ 현실로
추경 191억원…AI반도체 생태계·자율주행 실증 기반 마련
고성능 컴퓨팅·모빌리티 실증까지 전방위 산업 육성 강화
고성능 컴퓨팅·모빌리티 실증까지 전방위 산업 육성 강화
![]() 광주 첨단 3지구 AI집적단지 내 AI데이터센터 전경. <AI사업단 제공> |
광주시가 새 정부 들어 인공지능(AI) 산업 관련 추가경정예산(추경)을 연이어 확보하면서 주요 사업들이 추진 동력을 얻고 있다.
특히 고성능 AI 컴퓨팅 자원 확충, 국산 AI 반도체(NPU) 실증·평가, 자율주행 실증랩 구축 등 핵심 사업들이 모두 추경에 반영돼 ‘대한민국 대표 AI 중심도시’로의 도약이 현실화되고 있다.
29일 광주시와 인공지능산업융합사업단(AI사업단)에 따르면 올해 추경을 통해 총 191억 원 규모의 인공지능 사업 관련 정부 예산을 확보했다.
AI사업단은 확보한 예산을 집중 투입해 AI 집적단지를 거점으로 하는 서비스 개발 환경 고도화, AI 반도체 국산화 생태계 강화, 자율주행 기술 실증 기반 조성에 박차를 가할 계획이다.
우선 자율주행 기술 실증을 위한 ‘모빌리티 AX 실증랩’이 본격 가동된다. 추경으로 확보한 30억 원을 투입해 AI 집적단지 내에 자율주행 시뮬레이션 환경을 구축한다.
AI사업단은 이번 사업을 통해 전국 어디서나 접속 가능한 AI 시뮬레이션 클라우드 플랫폼과 자율주행 멀티 가상환경 테스트를 위한 서버 환경이 마련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특히 최대 500여 개의 자율주행 시나리오를 동시에 테스트하고, 대형 시뮬레이터와 연계해 알고리즘을 검증할 수 있는 최적의 환경 제공도 가능해진다는 게 AI사업단의 설명이다.
AI사업단은 또 전국 유일의 광주 첨단 3단지 내 국가 AI 데이터센터의 고성능 컴퓨팅 자원도 대폭 확충한다. 특히 추경 96억 원을 들여 AI 기업·공공기관·대학 등 개발 수요가 급증한 GPU 자원을 추가 임차할 예정이다.
광주 AI 집적단지는 1단계(2020~2024) 사업을 통해 88.5PF 규모의 데이터센터를 구축하고, 현재 44.3PF를 운영 중이다.
이번에 추가 확보한 예산으로 A100(2.3PF), H100(26.8PF), H200(4.3PF) 등 총 33.4PF의 GPU를 추가 임차해 총 77.7PF를 운영하게 된다. 특히 수요가 폭발적으로 늘고 있는 H100 및 H200 (GPU) 464장을 추가한다.
AI사업단은 국산 AI 반도체의 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실증·평가 사업도 본격화 한다.
추경 65억원을 들여 서버·엣지용 국산 NPU(신경망처리장치)의 성능과 신뢰성을 검증하고, 금융·의료·제조 등 다양한 산업 현장에서의 실증을 통해 상용화를 앞당긴다. 이를 위해 고도화된 검증 장비 2종을 새롭게 도입하고, 4개 시범 프로젝트를 통해 산업별 적용 가능성을 입증할 계획이다.
AI사업단은 새 정부의 추경 예산 투입으로 AI 집적단지 인프라 고도화와 AI반도체 국산화 및 자율주행 등 실증 영역 확대로 광주의 AI산업 생태계가 크게 성장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오상진 인공지능산업융합사업단장은 “이번에 추경을 통해 확보한 예산으로 고성능 컴퓨팅자원을 대폭 확충하고, 국산 AI반도체 생태계와 자율주행 실증 환경을 한층 강화해 광주가 ‘AI 중심도시’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모든 역량을 결집하겠다”고 말했다.
/박진표 기자 lucky@kwangju.co.kr
특히 고성능 AI 컴퓨팅 자원 확충, 국산 AI 반도체(NPU) 실증·평가, 자율주행 실증랩 구축 등 핵심 사업들이 모두 추경에 반영돼 ‘대한민국 대표 AI 중심도시’로의 도약이 현실화되고 있다.
AI사업단은 확보한 예산을 집중 투입해 AI 집적단지를 거점으로 하는 서비스 개발 환경 고도화, AI 반도체 국산화 생태계 강화, 자율주행 기술 실증 기반 조성에 박차를 가할 계획이다.
우선 자율주행 기술 실증을 위한 ‘모빌리티 AX 실증랩’이 본격 가동된다. 추경으로 확보한 30억 원을 투입해 AI 집적단지 내에 자율주행 시뮬레이션 환경을 구축한다.
AI사업단은 이번 사업을 통해 전국 어디서나 접속 가능한 AI 시뮬레이션 클라우드 플랫폼과 자율주행 멀티 가상환경 테스트를 위한 서버 환경이 마련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AI사업단은 또 전국 유일의 광주 첨단 3단지 내 국가 AI 데이터센터의 고성능 컴퓨팅 자원도 대폭 확충한다. 특히 추경 96억 원을 들여 AI 기업·공공기관·대학 등 개발 수요가 급증한 GPU 자원을 추가 임차할 예정이다.
광주 AI 집적단지는 1단계(2020~2024) 사업을 통해 88.5PF 규모의 데이터센터를 구축하고, 현재 44.3PF를 운영 중이다.
이번에 추가 확보한 예산으로 A100(2.3PF), H100(26.8PF), H200(4.3PF) 등 총 33.4PF의 GPU를 추가 임차해 총 77.7PF를 운영하게 된다. 특히 수요가 폭발적으로 늘고 있는 H100 및 H200 (GPU) 464장을 추가한다.
AI사업단은 국산 AI 반도체의 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실증·평가 사업도 본격화 한다.
추경 65억원을 들여 서버·엣지용 국산 NPU(신경망처리장치)의 성능과 신뢰성을 검증하고, 금융·의료·제조 등 다양한 산업 현장에서의 실증을 통해 상용화를 앞당긴다. 이를 위해 고도화된 검증 장비 2종을 새롭게 도입하고, 4개 시범 프로젝트를 통해 산업별 적용 가능성을 입증할 계획이다.
AI사업단은 새 정부의 추경 예산 투입으로 AI 집적단지 인프라 고도화와 AI반도체 국산화 및 자율주행 등 실증 영역 확대로 광주의 AI산업 생태계가 크게 성장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오상진 인공지능산업융합사업단장은 “이번에 추경을 통해 확보한 예산으로 고성능 컴퓨팅자원을 대폭 확충하고, 국산 AI반도체 생태계와 자율주행 실증 환경을 한층 강화해 광주가 ‘AI 중심도시’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모든 역량을 결집하겠다”고 말했다.
/박진표 기자 lucky@kwangju.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