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익’vs‘수익’… 광주시-신세계, 복합쇼핑몰 개발 갈등
  전체메뉴
‘공익’vs‘수익’… 광주시-신세계, 복합쇼핑몰 개발 갈등
신세계, 주거시설 면적 16만5000여㎡→25만4000여㎡ 변경 요구
광주시, 주택보급율·미분양주택 고려할 때 확장 불가능…협상 난항
2025년 04월 29일(화) 20:50
29일 광천터미널 복합화 사업이 진행될 예정인 광주시 서구 광주신세계백화점과 광천 터미널 일대. /김진수 기자 jeans@kwangju.co.kr
‘꿀잼도시 광주’의 꿈 실현을 위한 광주시 계획의 한 축인 일명 ‘신세계 복합쇼핑몰 사업’이 좌초 우려가 제기돼 배경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이 사업이 멈춰선 가장 큰 이유는 사업계획 속 주거복합시설의 면적에 대한 협상 난항이다.

광주시는 주거 공급 등의 공익을 위해 주거복합시설의 확장은 불가능 하다는 입장이다. 신세계 측은 사업 수익성이 없다는 이유로 사전 협의 내용의 변경없이는 사업 제안서를 제출할 수 없다고 맞서는 형국이다.

29일 유통업계에 따르면 지난 13일께 신세계 측은 광천터미널 복합화 사업을 위해 광천 터미널 부지를 철거하기 위한 공사를 준비했다가 포기했다.

당초 협상 난항의 이유로 세대수 증가 여부가 문제라는 말이 돌았다. 광주시와 신세계는 516세대로 주거복합시설에 대한 사전협상을 진행했으나, 신세계 측이 800세대로 변경을 요구해 협상이 교착됐다는 것이다.

이에 280여 세대의 증가 여부로 사업이 멈춰 섰다는 점에서 일각에서 의문을 제기했으나, 실제로는 주거복합시설의 면적이 근본 원인으로 확인된 것이다.

세대수는 신세계 측이 516세대를 언급했을 뿐이지, 협상대상지 신청 기준은 ‘면적’이라는 것이 광주시의 설명이다.

광주시와 신세계 측은 사전협상에서 주거복합시설 건축 연면적으로 19만 8003㎡(근린공간 포함)을 제시했다. 이중 실제 주거시설 면적은 16만5000여㎡(5만여평)이다.

하지만 신세계 측은 주거시설 면적 기준 25만4000여㎡이 되지 않으면 수익성이 없어 사업을 추진 할 수 없다는 입장이다.

광주시는 서구 광천터미널 일대인 일신·전남 방직터 내에 개발 중인 주거시설과 광천동 일대 개발 중인 주거 시설을 포함하면 1만 세대가 넘어 주거 면적을 더 늘릴 수는 없어 신세계의 변경을 받아 들일 수 없다고 맞서고 있다. 한마디로 과잉 공급이라는 것이다.

강기정 광주시장도 이날 기자회견에서 “이미 광주 주택보급률은 105.2%이고, 미분양 주택도 5728세대로 주택공급의 민감성을 고려했고. 또 부동산 시장도 주의깊게 살펴본 결과가 사전협상 면적에 해당한다”고 말했다.

강 시장은 “당초 주거복합시설은 한 세대도 허락할 수 없는 상황이었지만, 지난해 일본의 복합 시설 등을 견학한 후 최소한 주거를 보장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에 동의해 사전협상을 진행해 면적을 확정한 것”이라면서 “당초 사전 협상을 원칙으로한 제안서를 제출해 사업조정협의회에서 조정을 하면 된다”고 말했다.

하지만 신세계 측은 “당초 주거복합시설에 대한 사전협상시 광주시가 추후 변경을 할 수 있다는 말을 해 믿고 사전협상을 진행했지만, 이후 이에 대한 협상이 진행되지 않아 제안서를 제출 할 수 없는 상황”이라면서 “제안서 제출 전 협상을 통해 주거복합시설에 대한 협상부분의 변경이 가능 할 것으로 신뢰했지만, 이행되지 않아 제안서를 제출 할 수 없다”고 주장했다.

광주시가 제안하는 사업조정협의회 협상은 최종협상에 해당해 협상 테이블에 앉기전 일정부분 면적에 대한 협상이 완료되지 않으면 제안서를 제출할 수 없다는 것이다. 또 신세계가 진행하고 있는 주거시설의 타켓층은 프리미엄 주거로 일반 주거와 달라 광주시의 주거정책과는 겹치지 않는다는 것이 신세계의 주장이다.

양측의 주장이 평행선을 긋고 있는 상황이지만 광주시는 사업 백지화는 없다는 입장이다.

강 시장은 “(복합쇼핑몰 입점은) 광주시민들과 약속을 한 사안”이라면서 “신세계 측에서 우리 사전 협상 논의 충분히 된 거에 기초해서 접수를 하리라고 생각하고 있고 백지화는 생각하지 않고 있다”고 선을 그었다.

/정병호 기자 jusbh@kwangju.co.kr

핫이슈

  • Copyright 2009.
  • 제호 : 광주일보
  • 등록번호 : 광주 가-00001 | 등록일자 : 1989년 11월 29일 | 발행·편집·인쇄인 : 김여송
  • 주소 : 광주광역시 동구 금남로 224(금남로 3가 9-2)
  • TEL : 062)222-8111 (代) | 청소년보호책임자 : 채희종
  • 개인정보취급방침
  • 광주일보의 모든 컨텐츠를 무단복제 사용할 경우에는 저작권법에 의해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