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도시공사, 신안 압해 80MW 해상풍력사업 선정
전남개발공사와 각각 12% 출자…호남권 메가시티 경제동맹 촉매제 역할 기대
도시개발 분야 넘어 사업영역 확대 ‘첫발’…육상풍력도 연구 용역 준비중
도시개발 분야 넘어 사업영역 확대 ‘첫발’…육상풍력도 연구 용역 준비중
광주도시공사는 자사가 참여한 80MW 규모의 신안 압해 해상풍력 발전 사업이 ‘2025년 공공주도형 해상풍력 고정가격 경쟁입찰’에 최종 선정됐다고 2일 밝혔다..
광주도시공사에 따르면 이번 사업은 공공주도형으로 추진되며, 광주도시공사와 전남개발공사가 각각 12%, 한국전력기술이 10%의 자기자본을 출자하는 구조로 진행된다
이번 선정으로 광주도시공사는 기존 도시개발 분야를 넘어 해상풍력 발전이라는 새로운 사업 영역에 첫발을 내딛게 됐다. 특히 전남개발공사와의 협력을 통해 광주·전남 상생 발전을 견인하고 호남권 메가시티 경제동맹의 촉매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고정가격 경쟁입찰에 선정된 사업자는 생산한 전기를 20여년간 고정 가격에 판매할 수 있는 권리가 보장된다
공공주도형 입찰은 REC(신재생에너지 공급인증서) 가중치와 우대가격 혜택이 부여돼 사업성이 극대화되는 장점이 있다.
전문가들은 이번 프로젝트가 광주·전남 지역경제에 미치는 파급효과에 클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특히 풍력발전은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에너지 전환의 핵심 요소이자 지역경제 발전에 막대한 파급효과를 가져올 신산업이라는 점과 전남이 사실상 대한민국의 해상풍력 생산기지라는 점에서다.
실제로 호남권에 10.6GW 규모의 해상풍력이 들어설 경우 생산과 부가가치 유발효과가 114조원을 넘을 것이라는 연구결과도 있다.
신안군은 단일 규모로 세계 최대인 8.2GW급 해상풍력단지 조성을 추진 중이며, 프로젝트가 본격 가동되면 풍력발전 관련 제조, 건설, 유지관리 등 공급망 전반에서 지역 일자리와 부가가치가 크게 늘어날 전망이다.
광주도시공사의 이번 참여는 지역 재생에너지 확대 및 에너지 전환 노력과도 맥이 닿아 있다. 광주도시공사는 육상풍력에 대한 사업성 연구 용역도 준비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광주·전남은 호남권 메가시티 경제동맹 등 초광역 협력 체계를 강화하며 지속가능한 성장 기반을 마련 중이다.
광주도시공사는 해상풍력 사업을 계기로 에너지 전환 시대에 부응하는 친환경 인프라 구축에 기여함으로써 지속가능한 도시 발전을 선도해 나갈 계획이다.
김승남 광주도시공사 사장은 “이번 사업 참여는 광주도시공사가 친환경 에너지원인 해상풍력 발전사업에 본격적으로 도전하는 첫걸음”이라며 “광주·전남이 상생하고 미래세대를 위한 지속가능한 도시를 만드는 데 기여하겠다”고 말했다.
/정병호 기자 jusbh@kwangju.co.kr
광주도시공사에 따르면 이번 사업은 공공주도형으로 추진되며, 광주도시공사와 전남개발공사가 각각 12%, 한국전력기술이 10%의 자기자본을 출자하는 구조로 진행된다
고정가격 경쟁입찰에 선정된 사업자는 생산한 전기를 20여년간 고정 가격에 판매할 수 있는 권리가 보장된다
공공주도형 입찰은 REC(신재생에너지 공급인증서) 가중치와 우대가격 혜택이 부여돼 사업성이 극대화되는 장점이 있다.
전문가들은 이번 프로젝트가 광주·전남 지역경제에 미치는 파급효과에 클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특히 풍력발전은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에너지 전환의 핵심 요소이자 지역경제 발전에 막대한 파급효과를 가져올 신산업이라는 점과 전남이 사실상 대한민국의 해상풍력 생산기지라는 점에서다.
신안군은 단일 규모로 세계 최대인 8.2GW급 해상풍력단지 조성을 추진 중이며, 프로젝트가 본격 가동되면 풍력발전 관련 제조, 건설, 유지관리 등 공급망 전반에서 지역 일자리와 부가가치가 크게 늘어날 전망이다.
광주도시공사의 이번 참여는 지역 재생에너지 확대 및 에너지 전환 노력과도 맥이 닿아 있다. 광주도시공사는 육상풍력에 대한 사업성 연구 용역도 준비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광주·전남은 호남권 메가시티 경제동맹 등 초광역 협력 체계를 강화하며 지속가능한 성장 기반을 마련 중이다.
광주도시공사는 해상풍력 사업을 계기로 에너지 전환 시대에 부응하는 친환경 인프라 구축에 기여함으로써 지속가능한 도시 발전을 선도해 나갈 계획이다.
김승남 광주도시공사 사장은 “이번 사업 참여는 광주도시공사가 친환경 에너지원인 해상풍력 발전사업에 본격적으로 도전하는 첫걸음”이라며 “광주·전남이 상생하고 미래세대를 위한 지속가능한 도시를 만드는 데 기여하겠다”고 말했다.
/정병호 기자 jusbh@kwangju.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