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 해상풍력 보급 탄력…한전, ‘공공주도 경쟁입찰’ 선정
‘400MW 해상풍력’ 상반기 최대 규모…정부, 2030년까지 14.3GW 보급 계획
해상풍력 보급 목표치 대비 2.4% 수준…산업부 “내년부터 순차적 보급 속도”
해상풍력 보급 목표치 대비 2.4% 수준…산업부 “내년부터 순차적 보급 속도”
![]() 영광 백수 해상풍력 발전단지 전경.<광주일보 자료사진> |
국내 최대 전력 공기업인 한국전력공사(한전)에서 주도하는 해상풍력 사업이 올 상반기 해상풍력 경쟁입찰에서 최종 낙찰돼 탄력을 받게 됐다.
다만 한전 등 공공부문과 민간부문이 공동으로 정부의 2030년 14.3GW 해상풍력 보급 목표 달성을 위해 인프라 구축에 손을 보태고 있지만, 실제 보급이 완료된 해상풍력 용량은 정부 목표치의 2.4%에 불과해 사업 확대 전략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2일 한전과 산업통상자원부(산업부) 등에 따르면 한전이 최대주주로 참여하고 있는 ‘전북 서남권 400MW 해상풍력 시범사업’이 한국에너지공단이 주관하는 ‘2025년도 공공주도형 해상풍력 고정가격 경쟁입찰’에서 최종 선정됐다.
해당 사업은 한전과 발전 공기업이 100% 지분을 보유하고 있는 한국해상풍력㈜가 개발하고 있는 사업으로, 올 상반기 경쟁입찰에서 낙찰된 ‘신안 압해 해상풍력(80MW)’, ‘다대포 해상풍력(99MW)’, ‘한동·평대 해상풍력(100MW)’를 비롯한 4개 사업 중 최대 규모를 자랑한다. 올 상반기 낙찰된 해상풍력 사업들의 총 발전 용량의 58%에 달하는 수치다.
앞서 정부는 2023년 ‘제 10차 전력수급기본계획(전기본)’을 통해 오는 2030년까지 14.3GW의 해상풍력을 보급하겠다는 계획을 제시했다. 해당 계획은 올해 초 확정 발표된 ‘제 11차 전기본’에서 육상풍력을 더해 18.3GW 보급으로 확대됐지만, 육상풍력을 제외한 해상풍력 보급 목표 용량은 기존과 비슷한 수준일 것으로 전해졌다.
정부는 기존 계획을 달성하기 위해 매년 해상풍력 보급 용량을 확대하고 있다. 연도별 해상풍력 발전사업 규모는 2023년 1400MW, 2024년 1800MW 등이다.
올해는 기존과 다르게 상반기와 하반기로 나눠 해상풍력 발전사업 입찰 공고를 받고 있으며, 상반기에 689MW 규모의 해상풍력 발전사업이 선정됐다. 올 상반기 진행된 공공주도형 해상풍력 고정가격 경쟁입찰의 경우 공공기관이 주도하는 해상풍력 발전사업 추진, 국내 산업 생태계 활성화 등을 고려해 해상풍력을 체계적으로 보급하기 위해 올해 최초로 도입됐다. 낙찰된 발전 사업자의 경우 향후 20년 간 생산 전력을 고정가격에 판매할 수 있을 만큼 안정적인 수익 확보에 기여할 것으로 분석된다.
또 공공기관의 해상풍력 보급 지분이 높아짐에 따라 국산 터빈 등을 적용할 경우 한전의 전북 서남권 해상풍력 사업에서만 6조원 안팎의 수입대체 효과가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올 10~11월께 진행될 2025 하반기 해상풍력 입찰에서는 상반기보다 더 큰 규모로 사업이 진행될 예정이다. 현재 국내에 보급되고 있는 해상풍력은 탐라해상풍력(30MW), 영광해상풍력(35MW), 서남해해상풍력(60MW), 한림해상풍력(100MW), 전남해상풍력1(96MW) 등 350MW 수준이다. 다만 정부의 목표 제시 이후 2년이 지났지만 목표치의 2%를 겨우 넘긴 만큼 해상풍력 보급이 지지부진하다는 지적도 나온다.
산업부 관계자는 “2023년도에 진행됐던 진도 해상풍력 사업 등이 내년부터 순차적으로 보급될 예정”이라며 “계획 수립 이후 실제 보급까지 단계적으로 진행하고 있는 만큼 내년부터는 해상풍력 보급에 속도가 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장윤영 기자 zzang@kwangju.co.kr
다만 한전 등 공공부문과 민간부문이 공동으로 정부의 2030년 14.3GW 해상풍력 보급 목표 달성을 위해 인프라 구축에 손을 보태고 있지만, 실제 보급이 완료된 해상풍력 용량은 정부 목표치의 2.4%에 불과해 사업 확대 전략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해당 사업은 한전과 발전 공기업이 100% 지분을 보유하고 있는 한국해상풍력㈜가 개발하고 있는 사업으로, 올 상반기 경쟁입찰에서 낙찰된 ‘신안 압해 해상풍력(80MW)’, ‘다대포 해상풍력(99MW)’, ‘한동·평대 해상풍력(100MW)’를 비롯한 4개 사업 중 최대 규모를 자랑한다. 올 상반기 낙찰된 해상풍력 사업들의 총 발전 용량의 58%에 달하는 수치다.
정부는 기존 계획을 달성하기 위해 매년 해상풍력 보급 용량을 확대하고 있다. 연도별 해상풍력 발전사업 규모는 2023년 1400MW, 2024년 1800MW 등이다.
올해는 기존과 다르게 상반기와 하반기로 나눠 해상풍력 발전사업 입찰 공고를 받고 있으며, 상반기에 689MW 규모의 해상풍력 발전사업이 선정됐다. 올 상반기 진행된 공공주도형 해상풍력 고정가격 경쟁입찰의 경우 공공기관이 주도하는 해상풍력 발전사업 추진, 국내 산업 생태계 활성화 등을 고려해 해상풍력을 체계적으로 보급하기 위해 올해 최초로 도입됐다. 낙찰된 발전 사업자의 경우 향후 20년 간 생산 전력을 고정가격에 판매할 수 있을 만큼 안정적인 수익 확보에 기여할 것으로 분석된다.
또 공공기관의 해상풍력 보급 지분이 높아짐에 따라 국산 터빈 등을 적용할 경우 한전의 전북 서남권 해상풍력 사업에서만 6조원 안팎의 수입대체 효과가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올 10~11월께 진행될 2025 하반기 해상풍력 입찰에서는 상반기보다 더 큰 규모로 사업이 진행될 예정이다. 현재 국내에 보급되고 있는 해상풍력은 탐라해상풍력(30MW), 영광해상풍력(35MW), 서남해해상풍력(60MW), 한림해상풍력(100MW), 전남해상풍력1(96MW) 등 350MW 수준이다. 다만 정부의 목표 제시 이후 2년이 지났지만 목표치의 2%를 겨우 넘긴 만큼 해상풍력 보급이 지지부진하다는 지적도 나온다.
산업부 관계자는 “2023년도에 진행됐던 진도 해상풍력 사업 등이 내년부터 순차적으로 보급될 예정”이라며 “계획 수립 이후 실제 보급까지 단계적으로 진행하고 있는 만큼 내년부터는 해상풍력 보급에 속도가 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장윤영 기자 zzang@kwangju.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