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년 계획만 세우고…5·18 사적지 정비 답보 ‘되풀이’
5·18 45주년 광주에서 세계로- 2 사적지 제대로 보존·활용하자
옛 교도소부지·505보안부대 등
우선 정비 6곳 마무리된 곳 없어
민주인권평화공원 조성 지지부진
홍남순 가옥도 지연돼 10월 개관
국군광주통합병원, 폐건물 방치
사적지 23곳 표지석 정비에 그쳐
옛 교도소부지·505보안부대 등
우선 정비 6곳 마무리된 곳 없어
민주인권평화공원 조성 지지부진
홍남순 가옥도 지연돼 10월 개관
국군광주통합병원, 폐건물 방치
사적지 23곳 표지석 정비에 그쳐
![]() |
광주시가 5·18의 전국화·세계화를 내세우면서도, 정작 광주 밖에서 찾아온 방문객에게 보여 줄 5·18 사적지를 제대로 관리하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매년 사적지 보존·활용을 위한 사업 계획만 세웠다가 예산 부족 등 이유로 사업이 정체되기를 반복하고 있기 때문이다.
광주시가 지난해 수립한 ‘5·18 사적지 보존 및 활용 중·장기 사업계획(안)’에 따르면 광주시에는 총 29곳의 5·18 사적지가 있다.
광주시는 이 중 옛 광주교도소 부지, 5·18구묘지, 홍남순 변호사 가옥, 505보안부대, 옛 광주 적십자병원, 국군광주통합병원 등 6곳을 ‘우선 정비 대상’으로 두고 정비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하지만 이 중 정비 사업이 제대로 마무리 된 곳은 지금까지 단 한 곳도 없다.
홍남순 변호사 가옥(사적지 29호, 동구 궁동)은 당초 이달 중 개관할 예정이었으나, 사유지 매입 관련 합의가 늦어진데다 아직까지 내부 콘텐츠도 미처 준비하지 못해 완공 시점을 5개월여 늘렸다. 그나마도 가옥 마당 일부분 사유지는 미처 매입하지 못해 정비 대상에 포함되지 않는 등 허술한 정비 공사가 이뤄지고 있다.
윤석열 전 정부가 약속했던 1400억원 규모의 옛 광주교도소(사적지 22호·북구 문흥동) 민주인권평화공원 조성사업은 진척이 없는 상태다.
이 부지는 당초 기획재정부 소유로, 기재부는 이곳을 선도사업지로 지정하고 민간 개발 아파트를 지을 계획을 세웠다. 이에 지난 2021년 5·18 단체로부터 “역사적으로 상징적인 장소를 수익성이 짙은 아파트 건립 사업지로 전락시켰다”는 비판에 부딪혔다.
이후 광주시는 4년 동안 해당 부지를 선도사업에서 제외시키고 행정안전부 주도로 공원을 조성해 달라고 요구하기만 반복하고 있다.
또한 505보안부대(사적지 26호·서구 화정동)는 지난 2023년 공사가 중지된 이후 현재까지 시설물 활용안조차 내놓지 못하고 있다. 당초 예산 57억원을 투입해 ‘기억의 공간’을 만들기로 했으나, 공사 과정에서 사적지 일부를 훼손할 수밖에 없는 상황에 놓이면서 보완 설계 시점이 늦춰지고 있다.
옛 광주 적십자병원(사적지 11호·동구 불로동)에 대한 활용 방안도 아직까지 나오지 않았다. 지난 2020년부터 5년 넘게 라키비움, 헌혈의 집, 문화예술창작소, 청년 공간 등 활용 방안 논의만 공전하고 있는 실정이다. 광주시는 오는 2027년 공사를 시작할 계획이지만, 매입 당시 예상된 175억 원보다 훨씬 많은 290억 원이 필요하다는 결론이 나오면서 이조차도 불투명한 상황이다.
옛 국군광주통합병원(사적지 23호·서구 화정동)은 폐건물에 울타리만 둘러놓은 채 방치되고 있다. 지난해 병원 건물 인근에 ‘화정근린공원’과 국립트라우마치유센터가 들어섰음에도 별다른 활용 방안이 없다며 손을 놓고 있는 것이다.
5·18구묘지(사적지 24호·북구 망월동)는 오는 6월께까지 건축기획용역을 거쳐 2027년께 착공할 예정이나, 효용성 논란을 안고 있는 국립5·18민주묘지와 구 묘역 간 지하도로 개설안 등 아직 구체적인 조성 방안을 확정짓지 못하고 있다.
광주시는 나머지 23곳의 사적지에 대해서는 예산 부족, 정비 어려움 등을 이유로 별다른 활용 방안을 모색하지도 않고 ‘표지석 정비’만 하고 있는 실정이다.
일각에서는 현재 광주시 사적지로만 지정돼 있는 것을 ‘국가 사적지’로 승격해야 한다는 주장도 나온다.
광주시에서는 해마다 예산 부족으로 모든 사적지를 관리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는 만큼, 체계적인 관리를 위해서라도 국가가 나서야 한다는 것이다. ‘국가 폭력’에 의해 발생한 사건인 터라 국가가 책임을 진다는 의미에서 국가가 직접 관리를 해야 한다는 주장도 나오고 있다.
광주시 관계자는 “매번 사적지 관리를 위해 국비 지원을 요청하고 있지만 대부분 ‘시비로 추진하라’는 답만 돌아오는 상황이다”며 “5·18은 대한민국 국민 모두의 것이다. 국가에서 책임을 진다는 차원에서 사적지 관리에 힘을 보태줬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최류빈 기자 rubi@kwangju.co.kr
매년 사적지 보존·활용을 위한 사업 계획만 세웠다가 예산 부족 등 이유로 사업이 정체되기를 반복하고 있기 때문이다.
광주시가 지난해 수립한 ‘5·18 사적지 보존 및 활용 중·장기 사업계획(안)’에 따르면 광주시에는 총 29곳의 5·18 사적지가 있다.
하지만 이 중 정비 사업이 제대로 마무리 된 곳은 지금까지 단 한 곳도 없다.
![]() 5·18민주화운동 사적지 29호인 광주시 동구 궁동 고(故) 홍남순 변호사 가옥이 정비 공사로 인해 출입 통제되고 있다. /최현배 기자 choi@kwangju.co.kr |
이 부지는 당초 기획재정부 소유로, 기재부는 이곳을 선도사업지로 지정하고 민간 개발 아파트를 지을 계획을 세웠다. 이에 지난 2021년 5·18 단체로부터 “역사적으로 상징적인 장소를 수익성이 짙은 아파트 건립 사업지로 전락시켰다”는 비판에 부딪혔다.
이후 광주시는 4년 동안 해당 부지를 선도사업에서 제외시키고 행정안전부 주도로 공원을 조성해 달라고 요구하기만 반복하고 있다.
또한 505보안부대(사적지 26호·서구 화정동)는 지난 2023년 공사가 중지된 이후 현재까지 시설물 활용안조차 내놓지 못하고 있다. 당초 예산 57억원을 투입해 ‘기억의 공간’을 만들기로 했으나, 공사 과정에서 사적지 일부를 훼손할 수밖에 없는 상황에 놓이면서 보완 설계 시점이 늦춰지고 있다.
옛 광주 적십자병원(사적지 11호·동구 불로동)에 대한 활용 방안도 아직까지 나오지 않았다. 지난 2020년부터 5년 넘게 라키비움, 헌혈의 집, 문화예술창작소, 청년 공간 등 활용 방안 논의만 공전하고 있는 실정이다. 광주시는 오는 2027년 공사를 시작할 계획이지만, 매입 당시 예상된 175억 원보다 훨씬 많은 290억 원이 필요하다는 결론이 나오면서 이조차도 불투명한 상황이다.
옛 국군광주통합병원(사적지 23호·서구 화정동)은 폐건물에 울타리만 둘러놓은 채 방치되고 있다. 지난해 병원 건물 인근에 ‘화정근린공원’과 국립트라우마치유센터가 들어섰음에도 별다른 활용 방안이 없다며 손을 놓고 있는 것이다.
5·18구묘지(사적지 24호·북구 망월동)는 오는 6월께까지 건축기획용역을 거쳐 2027년께 착공할 예정이나, 효용성 논란을 안고 있는 국립5·18민주묘지와 구 묘역 간 지하도로 개설안 등 아직 구체적인 조성 방안을 확정짓지 못하고 있다.
광주시는 나머지 23곳의 사적지에 대해서는 예산 부족, 정비 어려움 등을 이유로 별다른 활용 방안을 모색하지도 않고 ‘표지석 정비’만 하고 있는 실정이다.
일각에서는 현재 광주시 사적지로만 지정돼 있는 것을 ‘국가 사적지’로 승격해야 한다는 주장도 나온다.
광주시에서는 해마다 예산 부족으로 모든 사적지를 관리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는 만큼, 체계적인 관리를 위해서라도 국가가 나서야 한다는 것이다. ‘국가 폭력’에 의해 발생한 사건인 터라 국가가 책임을 진다는 의미에서 국가가 직접 관리를 해야 한다는 주장도 나오고 있다.
광주시 관계자는 “매번 사적지 관리를 위해 국비 지원을 요청하고 있지만 대부분 ‘시비로 추진하라’는 답만 돌아오는 상황이다”며 “5·18은 대한민국 국민 모두의 것이다. 국가에서 책임을 진다는 차원에서 사적지 관리에 힘을 보태줬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최류빈 기자 rubi@kwangju.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