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시, 간선급행버스체계 구축…“탄소중립 도시 속도”
용역 착수보고회 개최
광주시가 대·자·보(대중교통·자전거·보도)도시 추진을 위한 간선급행버스체계(BRT) 개발계획을 수립한다.
7일 광주시에 따르면 이날 시청 소회의실에서 ‘광주권 간선급행버스체계(BRT) 개발계획 수립용역 착수보고회’가 열렸다.
광주시가 추진하는 ‘대·자·보(대중교통·자전거·보행) 도시 조성 사업’의 큰 축인 BRT(Bus Rapid Transit)는 버스의 통행을 일반 차량과 분리하여 정시성과 수용량을 향상시킨 대중교통 시스템을 말한다.
광주시는 광주 남북축에 신속성·정시성 등을 갖춘 BRT를 도입해 교통혼잡을 해소하고 친환경 교통체계를 구축해 탄소중립 도시로의 전환을 가속화 한다는 계획이다.
광주시는 이번 용역을 통해 ‘제1차 간선급행버스체계(BRT) 종합계획 수정계획(2021~2030)’에 반영된 광주 백운광장(옛 대동고)~농성역~광천사거리~경신여고~광주공고(8.67㎞)를 잇는 ‘백운-매곡 BRT’ 노선의 개발계획 수립뿐만 아니라 신규 노선 발굴까지 진행할 예정이다.
2026년 기본 및 실시설계, 2027년 개통을 목표로 추진하고 있다.
이날 착수보고회에는 광주시, 시의회, 관할 자치구, 광주경찰청, 한국교통연구원, 한국도로교통공단, 광주연구원 등 교통전문가 및 관계자들이 참석해 광주권 간선급행버스체계(BRT) 구축 방향과 추진 전략을 공유하고 다양한 의견을 수렴했다.
김종호 광역교통과장은 “대자보 시대를 열어가고 시민의 삶을 크게 바꿀 수 있는 광주시의 새로운 대중교통수단을 도입하는 사업인 만큼 관계기관과 전문가들의 지속적이고 적극적인 자문과 협조를 요청드린다”고 말했다.
/정병호 기자 jusbh@kwangju.co.kr
7일 광주시에 따르면 이날 시청 소회의실에서 ‘광주권 간선급행버스체계(BRT) 개발계획 수립용역 착수보고회’가 열렸다.
광주시가 추진하는 ‘대·자·보(대중교통·자전거·보행) 도시 조성 사업’의 큰 축인 BRT(Bus Rapid Transit)는 버스의 통행을 일반 차량과 분리하여 정시성과 수용량을 향상시킨 대중교통 시스템을 말한다.
광주시는 이번 용역을 통해 ‘제1차 간선급행버스체계(BRT) 종합계획 수정계획(2021~2030)’에 반영된 광주 백운광장(옛 대동고)~농성역~광천사거리~경신여고~광주공고(8.67㎞)를 잇는 ‘백운-매곡 BRT’ 노선의 개발계획 수립뿐만 아니라 신규 노선 발굴까지 진행할 예정이다.
이날 착수보고회에는 광주시, 시의회, 관할 자치구, 광주경찰청, 한국교통연구원, 한국도로교통공단, 광주연구원 등 교통전문가 및 관계자들이 참석해 광주권 간선급행버스체계(BRT) 구축 방향과 추진 전략을 공유하고 다양한 의견을 수렴했다.
김종호 광역교통과장은 “대자보 시대를 열어가고 시민의 삶을 크게 바꿀 수 있는 광주시의 새로운 대중교통수단을 도입하는 사업인 만큼 관계기관과 전문가들의 지속적이고 적극적인 자문과 협조를 요청드린다”고 말했다.
/정병호 기자 jusbh@kwangju.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