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 쓰레기 소각장 주민 수용성 강화부터
  전체메뉴
광주 쓰레기 소각장 주민 수용성 강화부터
2023년 03월 28일(화) 00:00
광주시가 대규모 쓰레기 소각장 건립을 위한 후보지 선정 절차에 착수한다. 환경오염을 막기 위해 오는 2030년부터는 생활 쓰레기 직접 매립이 금지되는 것에 대비하기 위해서다.

광주시는 내일 김대중컨벤션센터에서 자원 회수 시설(소각장) 건립 타당성 조사 용역 중간 보고회를 개최한다. 보고회에서는 지난해 11월부터 시작된 용역 결과를 토대로 주민들에게 시설 규모, 부지 면적, 주변 주민 지원, 환경오염 물질 관리 계획, 입지 선정 절차 등을 설명한다.

광주시는 이날 제시된 주민 의견을 수렴해 시설 및 입지 선정 계획을 확정하고 다음 달 중 공모 절차에 들어갈 예정이다. 개인·단체가 건립을 희망하면 후보지 타당성을 조사하는 방식이다. 폐기물관리법 시행 규칙에 따라 2030년부터 생활 쓰레기 직매립이 금지되면 광주시의 경우 2029년까지는 소각장을 완공해야 한다. 하루 650t을 처리할 수 있는 시설을 건립할 경우 4000억 원 안팎의 사업비가 소요될 될 것으로 전망된다.

하지만 소각장이 기피 시설로 꼽히는 만큼 건립 후보지 인근 주민들의 반발로 향후 과정이 순탄하지는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2016년 말 폐쇄된 상무소각장도 2000년 9월 완공됐지만 집단 시위와 법정 소송 등 우여곡절을 거쳐 2001년 말부터 겨우 가동됐다.

현재 광주시의 생활 쓰레기는 남구 양과동 위생매립장에 매립되거나 나주의 고형폐기물 열병합발전소로 보내 처리된다. 하지만 머지않아 직매립이 금지되는 만큼 독자적인 소각 처리 역량을 갖출 필요가 있다. 관건은 주민 수용성을 어떻게 높이느냐이다. 쓰레기 처리 시설은 지하로 넣고 지상엔 공원·체육시설을 조성해 오염 물질 배출을 최소화한 경기 하남시의 사례처럼 자연 친화형 시설로 부정적 인식부터 바꿔야 한다. 아울러 지역 주민에 대한 다양한 지원책과 상생 방안을 논의하는 협의체를 꾸려 협치를 모색해야 할 것이다.

핫이슈

  • Copyright 2009.
  • 제호 : 광주일보
  • 등록번호 : 광주 가-00001 | 등록일자 : 1989년 11월 29일 | 발행·편집·인쇄인 : 김여송
  • 주소 : 광주광역시 동구 금남로 224(금남로 3가 9-2)
  • TEL : 062)222-8111 (代) | 청소년보호책임자 : 채희종
  • 개인정보취급방침
  • 광주일보의 모든 컨텐츠를 무단복제 사용할 경우에는 저작권법에 의해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