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도 나주혁신도시 일대 ‘에너지밸리 강소특구’ 추진
23일 한전 본사서 공청회
연간 100억 국비 지원 받아
연간 100억 국비 지원 받아
전남도가 광주전남 빛가람혁신도시 일대를 ‘에너지밸리 강소연구개발특구’ 지정을 본격 추진한다.
전남도는 오는 23일 나주시 한국전력공사 본사 비전홀에서 혁신도시 에너지밸리를 강소연구개발특구로 조성하기 위한 공청회를 연다.
강소연구개발특구는 기존 특구와 같은 대규모가 아닌, 비교적 적은 면적에 집약적으로 연구개발 핵심기관과 기업을 모아 관련 사업의 시너지를 극대화하기 위한 것으로, 전남도는 혁신도시 일대 2.3㎢를 지정한다는 계획이다.
전남도는 이번 공청회에서 한전을 에너지밸리 강소특구의 기술핵심기관으로 삼고 혁신 일반산단(기술생태계 순환지구·0.95㎢), 혁신도시 산·학·연 클러스터(기술사업화 핵심지구·0.41㎢), 한전공대 연구소 및 클러스터 (기술이전 확산지구·0.80㎢) 일대를 배후공간으로 2.3㎢의 특구를 구성한다는 구상을 설명하고 의견을 수렴할 계획이다.
공청회에서는 에너지밸리를 사업화 거점으로 삼아 친환경에너지 신기술 거점을 구축하고 한전공대를 연계한 글로벌 과학거점으로 키우는 개발 구상도 발표된다.
전남도는 한전공대를 중심으로 에너지 전환·디지털변환·전력 ICT 융합 등 친환경 에너지신산업을 특화분야로 구성하는 방안을 추진중이다.
공청회에서는 또 특구육성방안을 담은 주제발표(광주전남연구원 박웅희 박사), 문채주 에너지밸리산학융합원장, 한경남 한전 기술전략실장 등이 참여하는 전문가 토론, 질의응답 등이 진행된다.
강소연구개발특구로 지정되면 연간 100억원 규모의 국비 지원을 받을 수 있고 입주기업들의 R&D 촉진 및 기업 유치 활성화에 도움이 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광주·대덕 연구개발특구도 지정 3년 만에 매출액 42% 신장, 기업수 51% 증가, 고용은 35% 증가한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전남도는 공청회를 통해 수렴한 의견을 반영, 오는 30일 과학기술부에 강소연구개발특구 지정을 위한 신청서를 제출할 예정이다.
전남도는 앞서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 특구 지정을 신청하기 위한 첫걸음으로, 나주시·한전과 ‘강소연구개발특구 육성 및 지정을 위한 관계기관 협약’을 체결한 바 있다. 특구 지정을 위해서는 기술핵심기관과 지자체 간 협약을 의무화하고 연구개발사업비 20%와 시설투자비 50%를 지자체가 부담하도록 하고 있다. /김지을 기자 dok2000@
전남도는 오는 23일 나주시 한국전력공사 본사 비전홀에서 혁신도시 에너지밸리를 강소연구개발특구로 조성하기 위한 공청회를 연다.
강소연구개발특구는 기존 특구와 같은 대규모가 아닌, 비교적 적은 면적에 집약적으로 연구개발 핵심기관과 기업을 모아 관련 사업의 시너지를 극대화하기 위한 것으로, 전남도는 혁신도시 일대 2.3㎢를 지정한다는 계획이다.
공청회에서는 에너지밸리를 사업화 거점으로 삼아 친환경에너지 신기술 거점을 구축하고 한전공대를 연계한 글로벌 과학거점으로 키우는 개발 구상도 발표된다.
공청회에서는 또 특구육성방안을 담은 주제발표(광주전남연구원 박웅희 박사), 문채주 에너지밸리산학융합원장, 한경남 한전 기술전략실장 등이 참여하는 전문가 토론, 질의응답 등이 진행된다.
강소연구개발특구로 지정되면 연간 100억원 규모의 국비 지원을 받을 수 있고 입주기업들의 R&D 촉진 및 기업 유치 활성화에 도움이 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광주·대덕 연구개발특구도 지정 3년 만에 매출액 42% 신장, 기업수 51% 증가, 고용은 35% 증가한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전남도는 공청회를 통해 수렴한 의견을 반영, 오는 30일 과학기술부에 강소연구개발특구 지정을 위한 신청서를 제출할 예정이다.
전남도는 앞서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 특구 지정을 신청하기 위한 첫걸음으로, 나주시·한전과 ‘강소연구개발특구 육성 및 지정을 위한 관계기관 협약’을 체결한 바 있다. 특구 지정을 위해서는 기술핵심기관과 지자체 간 협약을 의무화하고 연구개발사업비 20%와 시설투자비 50%를 지자체가 부담하도록 하고 있다. /김지을 기자 dok2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