느슨한 공직 기강…광주시 산하기관 줄줄이 ‘중징계’
감사위 종합감사…중복계상·공사 하자 등 경고·시정 등 조치
광주시감사위원회가 광주시관광공사에 기관장 경고, 광주시립도서관에 시정·주의 조치를 요구했다.
광주시 감사위원회(위원회)는 지난 4월 진행한 광주관광공사와 시립도서관 종합감사를 벌여 관광공사에 주의 5건·통보 2건·권고 1건·시정 1건과 기관장 경고 1건 등 조치를 내렸다. 광주시립도서관은 주의 5건·시정 4건·권고 1건·통보 1건과 함께 부당지급·예산 중복계상으로 총 645만여 원 환수 조치를 요구받았다.
관광공사는 직위 공모 절차를 사장 면담 중심으로 진행하고 일부 직위는 공모 제외 사유를 명기하지 않거나 공석을 겸직으로 돌리는 등 부적절한 인사행정이 지적됐다.
임대료 납부 관리, 재산심의회 운영, 공사 주관 전시회 관련 업무도 주의·통보 조치 대상이 됐다.
시립도서관의 경우 전기차 충전설비를 외부 사업자가 설치·운영하는 과정에서 사용료도 개시일로부터 18일이나 지나 부과했다.
공사 70건 가운데 정기 하자검사 미이행 5건, 최종 하자검사 미이행 20건도 드러났다.
기간제·단시간근로자 252명 중 168명은 근로계약서조차 없이 근로를 제공해 ‘시정·주의’ 조치가 내려졌다.
민간위탁 관리에서는 회계연도 독립 원칙을 어겼다. 시각장애인 도서관 위탁 운영 과정에서 전기료와 홈페이지 유지보수 용역비 등 2590만원을 선집행했고 이 가운데 1747만5000원은 다음 해 예산에 중복 계상됐다. 도서 구입 마일리지 82만1540원은 대장 관리 없이 적립·사용됐고, 이 중 55만0870원은 도서 외 사무용품 구입에 쓰인 사실도 확인됐다.
도서관 운영의 공공성도 도마에 올랐다. 개인연구실 33석의 하루 평균 실제 이용은 2.8명(8.4%)에 그쳤고, 6개월 이상 장기 이용자가 37.1%를 차지해 소수가 좌석을 장기간 점유하는 구조였다. 감사위는 문화·커뮤니티 공간 전환 등 운영 방식에 대한 전면 재검토를 권고했다.
/정병호 기자 jusbh@kwangju.co.kr
광주시 감사위원회(위원회)는 지난 4월 진행한 광주관광공사와 시립도서관 종합감사를 벌여 관광공사에 주의 5건·통보 2건·권고 1건·시정 1건과 기관장 경고 1건 등 조치를 내렸다. 광주시립도서관은 주의 5건·시정 4건·권고 1건·통보 1건과 함께 부당지급·예산 중복계상으로 총 645만여 원 환수 조치를 요구받았다.
임대료 납부 관리, 재산심의회 운영, 공사 주관 전시회 관련 업무도 주의·통보 조치 대상이 됐다.
시립도서관의 경우 전기차 충전설비를 외부 사업자가 설치·운영하는 과정에서 사용료도 개시일로부터 18일이나 지나 부과했다.
공사 70건 가운데 정기 하자검사 미이행 5건, 최종 하자검사 미이행 20건도 드러났다.
민간위탁 관리에서는 회계연도 독립 원칙을 어겼다. 시각장애인 도서관 위탁 운영 과정에서 전기료와 홈페이지 유지보수 용역비 등 2590만원을 선집행했고 이 가운데 1747만5000원은 다음 해 예산에 중복 계상됐다. 도서 구입 마일리지 82만1540원은 대장 관리 없이 적립·사용됐고, 이 중 55만0870원은 도서 외 사무용품 구입에 쓰인 사실도 확인됐다.
도서관 운영의 공공성도 도마에 올랐다. 개인연구실 33석의 하루 평균 실제 이용은 2.8명(8.4%)에 그쳤고, 6개월 이상 장기 이용자가 37.1%를 차지해 소수가 좌석을 장기간 점유하는 구조였다. 감사위는 문화·커뮤니티 공간 전환 등 운영 방식에 대한 전면 재검토를 권고했다.
/정병호 기자 jusbh@kwangju.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