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시 ‘직장 내 괴롭힘’ 적극 대처로 근절해야
  전체메뉴
광주시 ‘직장 내 괴롭힘’ 적극 대처로 근절해야
2023년 03월 24일(금) 00:00
광주시와 산하 공공기관에서 직장 내 괴롭힘 사례가 끊이지 않고 있는데도 광주시의 대응은 너무 안일하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광주시의회 채은지 의원은 그제 임시회 5분 발언을 통해 “최근 3년간 광주시 산하 공공기관에서만 32건의 직장 내 갑질 신고가 접수됐다”고 밝혔다. 채 의원은 이는 공공기관 특성상 신고가 어려운 현실과 착오·허위 신고를 감안하더라도 적지 않은 횟수라고 강조했다.

또한 지난해 광주시 공무원 인권 실태조사에서는 ‘직장 내 괴롭힘을 한 번이라도 직접 또는 간접 경험한 적이 있다’고 답한 공무원이 56.1%로 응답자의 절반을 넘었다. 유형별로는 ‘부당한 지시’가 23.7%로 가장 많았고, ‘언어폭력’(20.7%) ‘따돌림·차별 대우’(20.5%) 순으로 조사됐다.

하지만 이에 대한 광주시의 대응은 엉성하고 소극적이기만 하다. 앞선 실태조사에서 응답자의 76.8%는 ‘(갑질 이후) 아무런 일도 일어나지 않았다’며 사후 조치의 허술함을 지적했다. ‘피해자가 되레 불이익을 당했다’는 응답도 25.1%에 달해 ‘가해자에 대한 불이익’(15.3%)보다 10%포인트 가까이 높았다.

채 의원은 직장 내 괴롭힘이 끊이지 않는 원인으로 전담 인력 부족과 솜방망이 처벌을 꼽았다. 광주시 37개 산하기관 중 26개 기관은 갑질 업무 담당 인력이 단 한 명뿐이어서 기관 규모에 맞는 인력 조정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또한 김대중컨벤션센터 사장의 직원 괴롭힘이 조사 결과 사실로 드러났지만 처벌은 인권 교육과 과태료 처분에 그쳤다.

근로자에게 신체적·정신적 고통을 주고 근무 환경을 악화시키는 직장 내 괴롭힘을 뿌리 뽑기 위해서는 가해자에 대한 엄중 처벌과 전담 인력 및 신고센터 보강 등 광주시의 적극적인 대처가 필요하다. 공무원들도 권위적인 공직 문화를 타파하고 서로 존중하는 직장 문화가 구현될 수 있도록 함께 노력해야 할 것이다.

핫이슈

  • Copyright 2009.
  • 제호 : 광주일보
  • 등록번호 : 광주 가-00001 | 등록일자 : 1989년 11월 29일 | 발행·편집·인쇄인 : 김여송
  • 주소 : 광주광역시 동구 금남로 224(금남로 3가 9-2)
  • TEL : 062)222-8111 (代) | 청소년보호책임자 : 채희종
  • 개인정보취급방침
  • 광주일보의 모든 컨텐츠를 무단복제 사용할 경우에는 저작권법에 의해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