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모티콘 40년-김미은 문화부장
남들보다 꽤 늦게 스마트폰 사용자가 됐을 때 이모티콘을 주고받는 게 때늦은 즐거움 중 하나였다. 처음 구입한 이모티콘은 좋아하는 조경구 만화가의 원작에서 따온 음식 이모티콘 ‘오므라이스 잼잼’. 햄버거·초밥·김밥·커피 등 온갖 음식 이모티콘을 문자와 함께 보내고 나면 왠지 기분이 좋았다. 요즘엔 토끼 이모티콘을 즐겨 사용한다. 귀엽기도 하고, 때론 주책맞기도 한데 어떨 땐 내 마음을 딱 표현해 주는 것 같아 설명이 필요 없다.
세계 첫 이모티콘이 온라인에 등장한 지 지난 19일로 40주년이 됐다고 CNN이 보도했다. 이모티콘(emotion+icon)은 ‘컴퓨터나 휴대전화의 문자와 기호, 숫자 등을 조합해 만든 그림문자로 감정이나 느낌을 전달할 때 사용하는 것’으로 정의된다.
이모티콘은 카네기멜런대 컴퓨터사이언스학과 스콧 팔먼 교수가 1982년 9월 19일 오전 11시 44분 텍스트만 쓸 수 있던 대학 게시판에 콜론(:)과 하이픈(-), 괄호())를 결합해 웃는 표정을 표현한 ‘:-)’ 을 올린 게 그 출발이었다. 그 이후 이모티콘은 얼굴 표정이나 사물을 나타내는 그림 아이콘인 이모지(emoji)로 발전했다. 팔먼 교수는 온라인상의 농담 전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모티콘을 사용했다. 그는 “텍스트만 쓸 수 있는 인터넷 미디어를 사용하던 시대에는 몸짓이나 표정을 알 수 없어 농담 여부를 가려낼 수 없었다”고 말했다.
언제부턴가 사람들은 메시지를 보낼 때 ‘글’만 보내지 않는다. 축하하고, 위로하고, 즐거운 마음을 전할 때 이모티콘을 함께 보내면 그 마음이 커지는 것 같다. 속상하고, 화가 날 때도 그런 마음이 담긴 이모티콘을 지인에게 보내고 나면 조금은 해소가 되는 듯하다. 때론 내용 없이도 이모티콘 홀로 ‘모든 의미’를 표현하기도 한다. 지난해말 국내 이모티콘 시장 규모는 7000억 원, 10년간 누적 발신량은 2200억 건에 달했다.
팔먼 교수는 “내 전공인 인공지능(AI) 분야에서 어떤 성과를 내더라도 부고 첫 줄은 이모티콘과 관련된 것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는데, 이모티콘은 커뮤니케이션의 혁명적 변화를 일으켰다고 할 수 있다. ‘^^’이 갖고 있는 놀랄 만한 효과를 알고 있다면 다들 수긍하지 않을까.
/김미은 문화부장 mekim@kwangju.co.kr
이모티콘은 카네기멜런대 컴퓨터사이언스학과 스콧 팔먼 교수가 1982년 9월 19일 오전 11시 44분 텍스트만 쓸 수 있던 대학 게시판에 콜론(:)과 하이픈(-), 괄호())를 결합해 웃는 표정을 표현한 ‘:-)’ 을 올린 게 그 출발이었다. 그 이후 이모티콘은 얼굴 표정이나 사물을 나타내는 그림 아이콘인 이모지(emoji)로 발전했다. 팔먼 교수는 온라인상의 농담 전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모티콘을 사용했다. 그는 “텍스트만 쓸 수 있는 인터넷 미디어를 사용하던 시대에는 몸짓이나 표정을 알 수 없어 농담 여부를 가려낼 수 없었다”고 말했다.
팔먼 교수는 “내 전공인 인공지능(AI) 분야에서 어떤 성과를 내더라도 부고 첫 줄은 이모티콘과 관련된 것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는데, 이모티콘은 커뮤니케이션의 혁명적 변화를 일으켰다고 할 수 있다. ‘^^’이 갖고 있는 놀랄 만한 효과를 알고 있다면 다들 수긍하지 않을까.
/김미은 문화부장 mekim@kwangju.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