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대강 생태복원 국정과제 채택하라” 나주서 전국회의
317개 기관·시민단체 집결…각 당 대선후보에 공식 전달
![]() ‘국가하구 생태복원 국정과제 채택 전국회의’는 지난 7일 나주시청에서 출범식을 갖고 4대강 생태복원을 대선 국정과제로 채택해 줄것을 촉구했다. <나주시 제공> |
4대강 생태복원을 위해 영산강, 한강 유역 전국 317개 기관·단체로 구성된 ‘국가하구 생태복원 국정과제 채택 전국회의’가 나주에서 열렸다.
나주시는 지난 7일 나주시청 대회의실에서 나주시 민관공동위 영산강위원회, 영산강살리기 네트워크, 금강하구 자연성회복 추진위원회를 비롯한 영산강, 한강 등 4대강 유역 전국 317개 기관·단체로 구성된 ‘국가하구 생태복원 국정과제 채택 전국회의’(이하 전국회의)가 출범식을 갖고 제20대 대선 후보들에게 국가하구 생태복원을 위한 국정과제안을 공식 전달했다고 밝혔다.
이날 전국회의는 국가하구 해수유통을 시작으로 기수역 취양수장 이전, 국가하구 생태복원 특별법 제정, 각 유역별 국가통합물관리센터 건립 등 영산강·금강·낙동강·한강 등 4대강 생태복원을 위해서 대선 국정과제 채택을 강력히 촉구했다.
전국회의 공동의장단은 양금봉 충남도의회 금강권역 친환경적 발전을 위한 특별위원회 위원장, 최송춘 나주시 민관공동위 영산강위원회 공동위원장, 김광훈 영산강살리기 네트워크 상임대표, 문성호 금강하구 자연성회복 추진위원회 상임대표, 이준경 낙동강하구 기수생태계복원협의회 공동대표, 최혜자 한강유역네트워크 공동대표, 우승희 전남도의회 기후위기 대응 및 그린뉴딜 특별위원회 위원장 등 10명으로 구성됐다.
나주시 민관공동위 영산강위원회 공동위원장인 전승수 전남대 지구환경과학부 명예교수는 주제발표를 통해 ‘4대강 국가하구 생태복원 방안과 국정과제안’을 발표했다.
전 교수는 “영산강, 금강, 낙동강 하구둑에서 10~15㎞구간의 기수역을 갑문의 부분개방 또는 작은 터널을 통한 부분 해수유통에 의해 복원해야 한다”며 “하구기능, 수질과 생태계의 복원과 함께 광범위한 하구역의 지속가능한 이용은 낙후한 지역의 새로운 자연 자원으로 지역발전을 견인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전국회의는 ‘국가하구 대선 국정과제 채택 촉구안’을 통해 ▲국가하구 생태복원 대선 국정과제 채택 ▲국가하구 해수유통 국가과제 시행 ▲국가차원의 기수역 구간 취·양수장 이전 ▲국가하구 생태복원을 위한 특별법 제정 ▲국가하구 유역별 국립통합물관리센터 건립을 강력히 촉구했다.
/나주=손영철 기자 ycson@kwangju.co.kr
나주시는 지난 7일 나주시청 대회의실에서 나주시 민관공동위 영산강위원회, 영산강살리기 네트워크, 금강하구 자연성회복 추진위원회를 비롯한 영산강, 한강 등 4대강 유역 전국 317개 기관·단체로 구성된 ‘국가하구 생태복원 국정과제 채택 전국회의’(이하 전국회의)가 출범식을 갖고 제20대 대선 후보들에게 국가하구 생태복원을 위한 국정과제안을 공식 전달했다고 밝혔다.
전국회의 공동의장단은 양금봉 충남도의회 금강권역 친환경적 발전을 위한 특별위원회 위원장, 최송춘 나주시 민관공동위 영산강위원회 공동위원장, 김광훈 영산강살리기 네트워크 상임대표, 문성호 금강하구 자연성회복 추진위원회 상임대표, 이준경 낙동강하구 기수생태계복원협의회 공동대표, 최혜자 한강유역네트워크 공동대표, 우승희 전남도의회 기후위기 대응 및 그린뉴딜 특별위원회 위원장 등 10명으로 구성됐다.
전 교수는 “영산강, 금강, 낙동강 하구둑에서 10~15㎞구간의 기수역을 갑문의 부분개방 또는 작은 터널을 통한 부분 해수유통에 의해 복원해야 한다”며 “하구기능, 수질과 생태계의 복원과 함께 광범위한 하구역의 지속가능한 이용은 낙후한 지역의 새로운 자연 자원으로 지역발전을 견인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전국회의는 ‘국가하구 대선 국정과제 채택 촉구안’을 통해 ▲국가하구 생태복원 대선 국정과제 채택 ▲국가하구 해수유통 국가과제 시행 ▲국가차원의 기수역 구간 취·양수장 이전 ▲국가하구 생태복원을 위한 특별법 제정 ▲국가하구 유역별 국립통합물관리센터 건립을 강력히 촉구했다.
/나주=손영철 기자 ycson@kwangju.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