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정편의주의에 막힌 무등산 산책길
추락사 원인 밝혀진 증심사 구름다리 석달 넘게 폐쇄 왜?
동구청 “개보수 요청 경찰이 거부”
동부서 “요청 받은 적도 없다”
시민들 “전형적 탁상행정” 불만
동구청 “개보수 요청 경찰이 거부”
동부서 “요청 받은 적도 없다”
시민들 “전형적 탁상행정” 불만
![]() 추락사고로 폐쇄된 광주시 동구 운림동 무등산 증심사지구 내 산책로 구름다리. |
광주 동구가 60대 여성 추락사 후 3개월이 넘도록 사고 지점인 무등산 산책길을 폐쇄해 시민들의 불만을 사고 있다.
이미 사고원인까지 모두 밝혀졌지만, 앞으로 예정된 민사소송에 대비한 현장 보존과 해당 사건을 맡고 있는 경찰의 개통 거부 등에 따른 것이라는 게 동구의 해명이다.
지역민들은 이 같은 동구의 더딘행정에 대해 주민편의를 무시한 전형적인 ‘탁상행정’이라며 비판의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11일 광주 동구와 동부경찰에 따르면 지난 7월 31일 오후 7시께 광주시 동구 운림동 무등산 증심사지구 내 산책로 구름다리 있던 한모(여·69)씨는 기대고 있던 난관이 파손되면서 구름다리 3m 아래로 떨어졌다. 한씨는 병원으로 옮겨졌으나 다음날 오전 숨졌다.
경찰은 최근 국립과학수사연구원의 감식 결과 등을 토대로 다리 관리 부실에 따른 난관 붕괴를 사고 원인으로 지목했다.
다만 사고 후 3개월이 넘도록 관계 공무원과 다리 제작사 등을 대상으로 한 사고 책임자 등에 대한 수사는 아직도 진행중이다.
동구청은 경찰측이 아직 수사가 진행중인 만큼 개·보수를 허락하지 않고 있다며 산책로도 폐쇄한 상태다.
이 때문에 이 곳 산책로를 이용해 온 시민들의 불만은 높아지고 있다.
지난 8일 찾아간 광주시 동구 운림동 무등산 증심사 지구내 산책로 구름다리는 여전히 출입금지를 알리는 현수막과 노란 폴리스라인이 설치돼 등산객과 주민들의 출입을 제한하고 있었다.
이날 무등산 산책로를 찾은 김윤택(61·광주시 북구)씨는 “구름다리 산책로는 경사가 완만해 시민들에게 인기가 많은 곳”이라면서 “난간만 수리하면 될텐데, 100일 넘도록 고치지도 않고 통행을 금지하는 이유를 모르겠다”고 분통을 터트렸다.
이에 대해 동구청은 경찰의 더딘 수사 등을 핑계로 대고 있다.
동구 관계자는 “나중에 민사소송 문제 가능성 등이 있어 다리를 보수하지 않고 폐쇄하고 있다”면서 “특히 관련 민원이 많아 동부경찰에 개·보수를 하겠다고 수차례 요청도 해봤지만, 거부해 수리를 못하고 있다”고 해명했다. 이 관계자는 “수사가 끝나는대로 담당과에서 개·보수에 들어갈 예정이지만 당분간 수리는 어려울 것 같다”고 덧붙였다.
반면 경찰은 동구청의 이 같은 반응에 어이가 없다는 반응이다.
동부서 관계자는 “개·보수를 하겠다는 동구청의 요청은 들은 바 없으며, 다리의 개·보수는 구청이 알아서 할 일이다. 경찰이 이를 막을 권한도 없다”면서 “다리를 개·보수해서 시민들에게 공개하면 될 텐데 (동구청이) 왜 방치하고 있는 지 의문”이라고 말했다.
한편 경찰은 국과수 감식결과 설계상 문제는 없었지만 관리 부실 등으로 인한 사고로 드러난 만큼 현재 담당 공무원 등에 대해 업무상 과실치사 혐의 적용 등을 검토하고 있다.
/김한영 기자 young@kwangju.co.kr
이미 사고원인까지 모두 밝혀졌지만, 앞으로 예정된 민사소송에 대비한 현장 보존과 해당 사건을 맡고 있는 경찰의 개통 거부 등에 따른 것이라는 게 동구의 해명이다.
지역민들은 이 같은 동구의 더딘행정에 대해 주민편의를 무시한 전형적인 ‘탁상행정’이라며 비판의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경찰은 최근 국립과학수사연구원의 감식 결과 등을 토대로 다리 관리 부실에 따른 난관 붕괴를 사고 원인으로 지목했다.
다만 사고 후 3개월이 넘도록 관계 공무원과 다리 제작사 등을 대상으로 한 사고 책임자 등에 대한 수사는 아직도 진행중이다.
이 때문에 이 곳 산책로를 이용해 온 시민들의 불만은 높아지고 있다.
지난 8일 찾아간 광주시 동구 운림동 무등산 증심사 지구내 산책로 구름다리는 여전히 출입금지를 알리는 현수막과 노란 폴리스라인이 설치돼 등산객과 주민들의 출입을 제한하고 있었다.
이날 무등산 산책로를 찾은 김윤택(61·광주시 북구)씨는 “구름다리 산책로는 경사가 완만해 시민들에게 인기가 많은 곳”이라면서 “난간만 수리하면 될텐데, 100일 넘도록 고치지도 않고 통행을 금지하는 이유를 모르겠다”고 분통을 터트렸다.
이에 대해 동구청은 경찰의 더딘 수사 등을 핑계로 대고 있다.
동구 관계자는 “나중에 민사소송 문제 가능성 등이 있어 다리를 보수하지 않고 폐쇄하고 있다”면서 “특히 관련 민원이 많아 동부경찰에 개·보수를 하겠다고 수차례 요청도 해봤지만, 거부해 수리를 못하고 있다”고 해명했다. 이 관계자는 “수사가 끝나는대로 담당과에서 개·보수에 들어갈 예정이지만 당분간 수리는 어려울 것 같다”고 덧붙였다.
반면 경찰은 동구청의 이 같은 반응에 어이가 없다는 반응이다.
동부서 관계자는 “개·보수를 하겠다는 동구청의 요청은 들은 바 없으며, 다리의 개·보수는 구청이 알아서 할 일이다. 경찰이 이를 막을 권한도 없다”면서 “다리를 개·보수해서 시민들에게 공개하면 될 텐데 (동구청이) 왜 방치하고 있는 지 의문”이라고 말했다.
한편 경찰은 국과수 감식결과 설계상 문제는 없었지만 관리 부실 등으로 인한 사고로 드러난 만큼 현재 담당 공무원 등에 대해 업무상 과실치사 혐의 적용 등을 검토하고 있다.
/김한영 기자 young@kwangju.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