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시 “도시철도 첨단대교 구간 지하화 불가”
  전체메뉴
광주시 “도시철도 첨단대교 구간 지하화 불가”
시, 예산·공사기간 연장 문제에 지상화 결정…도심단절·소음 등 우려
강기정 시장, 주민 공청회서 교통체계 개선·교통혼잡 완화방안 등 설명
2025년 07월 13일(일) 20:15
광주시청 청사
광주시가 도시철도 2호선 2단계사업 중 첨단대교 구간에 대해 지상화가 불가피한 것으로 결론을 냈다.

지상화와 지하화를 두고 오락가락하다, 결국 예산과 공사기간 연장이 불가피함에 따라 지상화로 결정돼 교통혼잡과 소음과 진동, 도심 단절 등의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13일 광주시에 따르면 지난 11일 북구 종합사회복지관 5층에서 ‘광주 도시철도 2호선 2단계 11공구 건설공사 주민 공청회’가 진행됐다.

이 공청회는 강기정 광주시장이 주민들에게 첨단대교 구간 지상화로 인한 교통체계 개선과 교통혼잡 완화방안을 설명하는 자리로 마련됐다.

광주시 도시철도 2단계 사업은 당초 어린이 교통공원 앞 교차로(첨단대교 구간)와 임방울대로, 광신대교 등 3곳에 대해선 전체 사업비를 줄이기 위해 지상구간으로 설계됐다.

이들 구간을 지하화하면 최소 1500여 억원의 추가 사업비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지역 내에선 이들 구간의 지상화를 놓고 심각한 교통체증 발생과 지상화에 따른 교통사고 위험, 도시철도 운행 과정의 소음, 도심 단절 등 각종 부작용을 우려하는 의견이 제기됐다.

이에 광주시는 지난 2021년 기본계획 변경을 위한 주민 공청회와 의경수렴을 거쳐 어린이교통공원 앞 첨단대교 지상화를 제외하고 나머지 구간은 지하화 하기로 했다.

하지만 첨단대교 인근 주민들은 주민대책위를 마련해 지속적으로 지하화를 요구하고 있어 광주시가 주민들을 설득하기 위해 나선 것이다.

이날 강 시장은 “첨단대교 구간을 지하화하려면 막대한 예산도 문제지만 정부 승인도 어렵고 최소 2년 이상 공사가 지연되는 등 현실적으로 가능하지 않다”고 불가능하다는 입장을 밝혔다.

주민대책위가 제시한 지하차도나 고가차도를 건설 방안에도 난색을 표했다.

광주시 관계자는 “통과 교통량만 따지면 대책위의 제안이 매우 유리하지만 본선 도로 용량이 감소하고 주변의 극심한 교통 혼잡이 발생할 수 있다”며 “사업비는 전액 시비로 450억원에서 600억원이 필요한 제안이고 시 재정 여건을 고려하면 막대한 사업비를 조달할 수도 없다”고 설명했다.

결국 첨단대교 구간의 지상화로 인해 어린이공원 앞 삼거리 좌회전이 불가능해 질 전망이다. 이에 따라 우회거리가 늘어나고 보행로가 끊기게 될 것으로 예상된다.

광주시는 가장 문제되는 구간 2곳(추암로→첨단2지구, 첨단1지구→추암로)에 대한 차선 확장 등 교통 혼잡 개선 방안을 내놨다.

기존 4∼5차로로 운영하던 차선을 5∼6차로로 늘리면 도로 역량 대비 통행량 효과를 20% 늘릴 수 있고 대기행렬도 261m에서 193m로 줄일 수 있다고 분석했다.

우회로(엠코로, 첨단 중앙로 182번길)를 확보해 정비사업을 추진하고 보행 전용로 신설, 자전거 이용 환경 개선 등으로 불편을 줄이겠다는 방안도 내놨다.

하지만 일부 주민들은 여전히 지하화를 요구하거나 안전상의 문제를 제기하며 우려의 목소리를 내고 있다. 도시철도 지상화로 기존의 좌회전이 제한돼 출퇴근길 대란이 발생할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광주시는 출퇴근길 교통량 분석 등 전문기관 시뮬레이션 등을 통해 개선책을 검토한 뒤 주민대표들과 한차례 더 만나 설득을 할 방침이다.

/정병호 기자 jusbh@kwangju.co.kr

핫이슈

  • Copyright 2009.
  • 제호 : 광주일보
  • 등록번호 : 광주 가-00001 | 등록일자 : 1989년 11월 29일 | 발행·편집·인쇄인 : 김여송
  • 주소 : 광주광역시 동구 금남로 224(금남로 3가 9-2)
  • TEL : 062)222-8111 (代) | 청소년보호책임자 : 채희종
  • 개인정보취급방침
  • 광주일보의 모든 컨텐츠를 무단복제 사용할 경우에는 저작권법에 의해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