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구, 청년예술인 창작실험실 ‘서남예술촌’ 만든다
  전체메뉴
동구, 청년예술인 창작실험실 ‘서남예술촌’ 만든다
행안부, ‘청년마을 만들기 사업’ 12개 마을 조성…전남 보성도 선정
3년간 최대 6억원 사업비 지원…재생형 로컬아트 팝업스토어 진행
2025년 04월 23일(수) 20:27
광주시 동구 서남동 인쇄거리 내 인쇄컬렉션에서 열렸던 ‘활자, 다시 피어나다’ 전시회 장면. <광주일보 자료>
광주시 동구가 행정안전부가 주관하는 ‘청년마을 만들기 사업’에 최종 선정됐다. 선정 단체는 향후 3년간 최대 6억원의 사업비를 지원해 청년들이 살아갈 수 있는 마을을 조성하게 된다.

동구는 행정안전부가 주관하는 청년마을 만들기 사업에 최종 선정됐다고 23일 밝혔다. 전국에서 147개 청년단체가 지원해 총 12개 마을이 선정됐으며, 지역에서는 동구를 비롯해 보성군이 이름을 올렸다.

동구는 문화기획단체 1995헤르츠(Hz)가 지역 재생형 로컬아트 창작 실험실인 ‘서남예술촌’을 조성할 계획이다. 회화 예술가들을 위한 ‘오메메 레시피: 미술인’, 영화를 주제로 청년 예술가들이 활동할 터전을 마련하는 ‘반틈 씨네 클럽’ 등 프로그램을 추진한다.

지역 청년예술인을 유입시키고 예술 인프라를 구축하기 위해 서남형 공공 디자이너 양성 프로젝트 ‘Lab.1930’을 운영하고 지역 전문인력 유입도 모색할 방침이다.

마을로 유입된 청년 예술가들이 자신만의 아트 상품을 개발할 수 있도록 비즈니스 모델 여건도 개선한다. 또한 서남동 인쇄소 거리의 유휴공간을 활성화시켜 서점, 로컬, 아트샵 등 복합문화공간으로 조성하겠다는 계획도 있다.

이를 위해 사무실 1개, 창업 공간 2개, 코워킹 스페이스 1개를 조성하는 한편 비거주형 레지던시에 청년 예술가 총 10명(이주인원 5명·참여인원 5명)이 동참하도록 유도한다. 이들은 인문도시 동구의 특징을 활용해 서남동 인쇄거리를 책과 지역이 교차하는 공간으로 재구성한다.

거점 공간에 생기를 불어넣기 위해 중고도서 판매 프로젝트인 ‘일시적인 한 근 서점’, 미술장터 릴레이 전시 ‘계림보부상 서남C’도 추진한다.

특히 로컬 아트 팝업스토어 ‘인사이트 오브 서남동’은 2030 세대를 타겟으로 팝업스토어를 진행, 청년 유입을 촉진하고 로컬 및 타지역 브랜드와 협업을 통해 지역 상품을 육성한다는 내용이다. 또한 사업화, 제품화 실험을 통해 마을 청년들이 자신의 제품을 시판할 수 있도록 도우며 11월까지는 청년 예술인들이 주가 되는 네트워크 행사도 펼친다.

아울러 전남에서는 유일하게 보성군이 최종 선정됐다. 공모 선정 단체인 ‘그린티모시레’는 지난해부터 보성군 회천면 영천마을에 거주하며 차 재배를 해온 단체로, 관련 프로젝트를 추진할 예정이다.

한편 2018년부터 시행된 청년마을 사업은 청년들에게 일정 기간 지역에 머무를 기회를 제공하고, 직접 활동 공간을 기획하고 운영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을 골자로 한다.

/최류빈 기자 rubi@kwangju.co.kr

핫이슈

  • Copyright 2009.
  • 제호 : 광주일보
  • 등록번호 : 광주 가-00001 | 등록일자 : 1989년 11월 29일 | 발행·편집·인쇄인 : 김여송
  • 주소 : 광주광역시 동구 금남로 224(금남로 3가 9-2)
  • TEL : 062)222-8111 (代) | 청소년보호책임자 : 채희종
  • 개인정보취급방침
  • 광주일보의 모든 컨텐츠를 무단복제 사용할 경우에는 저작권법에 의해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