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흥유자축제’ 대한민국 대표 축제 가능성 봤다
3일간 10만여명 방문 ‘역대 최대’…경제적 파급효과 100억
중국·유럽 수출협약 성과…체험·편의시설 등 콘텐츠 보강
중국·유럽 수출협약 성과…체험·편의시설 등 콘텐츠 보강
![]() 고흥유자축제에 유자전시관이 마련되어 있다. /김진아 기자 jinggi@kwangju.co.kr |
고흥군 대표 축제인 ‘제3회 고흥유자축제’가 역대 최대의 방문객 기록을 세우면서 대한민국 대표 축제로의 가능성을 확인했다.
고흥군은 지난 3일부터 5일까지 3일간 열린 고흥유자축제는 10만여 명 이상의 방문객이 찾으면서 지역경제 활성화에 기여했다고 밝혔다.
각종 체험 부스, 유자 판매 등 120여 개의 부스와 먹거리에도 방문객들로 문전성시를 이뤄 경제적 파급효과도 100억 원에 달하는 등 실질적인 돈이 되는 축제가 되었다는 평가다.
특히 축제 첫날 주무대에서는 고흥 농수산물 수출 확대를 위한 중국 칭다오 하이린생물과학기술 유한공사와 농수산물 500만 달러 수출협약을 맺었으며, 유럽 세계적인 맥주 기업과 고흥 유자를 원재료로 유자맥주 생산을 위한 업무 협약 또한 이루어져, 고흥 농수산물의 새로운 수출 시장을 확보했다.
이번 축제는 개막식에서 군수 기념사를 비롯해 내빈들의 공식 축사를 과감히 없애 새 패러다임의 특별한 지역축제로 자리매김했으며, 주무대 앞 관람석을 축제의 주인공인 군민들과 관광객들에게 내어주어 획기적인 축제의 장이 마련됐다.
지난해와 확연히 달라진 축제장 구성과 고객 중심의 편의시설, 유자 체험 콘텐츠를 강화하는 등 수준 높은 프로그램을 선보여 관광객들에게 감동을 선사했다.
올해 새롭게 선보인 유자 농가 400여 명이 참여한 유자C 퍼레이드는 주민과 관광객이 함께하는 화합의 장을 연출했다.
또 유자밭을 화려하게 수놓은 포토존과 야간경관을 12만 평에 조성한 ‘유유자적 유자 탐방로’에서는 유자 캠핑과 유자 마임공연 등이 어우러지면서 축제 개막전부터 방문객들의 반응이 뜨거웠으며, 1000대의 개막 드론쇼 및 멀티미디어 불꽃쇼 등은 관람객들의 호응을 얻었다.
향토음식관은 테이크아웃 방식으로 개선해 바가지 없는 저렴한 가격과 더할 나위 없는 맛, 생선숯불구이, 유자 한우 등 최고의 먹거리에 축제기간 내 연일 재료가 소진되는 등 성황을 이뤘다.
군은 축제가 끝나더라도 유자밭 경관을 보기 위해 많은 관광객이 찾을 것으로 보고 야간 탐방로는 11월 말까지 그대로 유지해 놓을 예정이다.
공영민 고흥군수는 “고흥 유자축제가 대한민국 대표축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해, 관람객 모두가 안전하고 기쁨을 만끽할 수 있는 축제로 만들어 나가겠다”고 말했다.
/고흥=주각중 기자 gjju@kwangju.co.kr
고흥군은 지난 3일부터 5일까지 3일간 열린 고흥유자축제는 10만여 명 이상의 방문객이 찾으면서 지역경제 활성화에 기여했다고 밝혔다.
각종 체험 부스, 유자 판매 등 120여 개의 부스와 먹거리에도 방문객들로 문전성시를 이뤄 경제적 파급효과도 100억 원에 달하는 등 실질적인 돈이 되는 축제가 되었다는 평가다.
이번 축제는 개막식에서 군수 기념사를 비롯해 내빈들의 공식 축사를 과감히 없애 새 패러다임의 특별한 지역축제로 자리매김했으며, 주무대 앞 관람석을 축제의 주인공인 군민들과 관광객들에게 내어주어 획기적인 축제의 장이 마련됐다.
올해 새롭게 선보인 유자 농가 400여 명이 참여한 유자C 퍼레이드는 주민과 관광객이 함께하는 화합의 장을 연출했다.
또 유자밭을 화려하게 수놓은 포토존과 야간경관을 12만 평에 조성한 ‘유유자적 유자 탐방로’에서는 유자 캠핑과 유자 마임공연 등이 어우러지면서 축제 개막전부터 방문객들의 반응이 뜨거웠으며, 1000대의 개막 드론쇼 및 멀티미디어 불꽃쇼 등은 관람객들의 호응을 얻었다.
향토음식관은 테이크아웃 방식으로 개선해 바가지 없는 저렴한 가격과 더할 나위 없는 맛, 생선숯불구이, 유자 한우 등 최고의 먹거리에 축제기간 내 연일 재료가 소진되는 등 성황을 이뤘다.
군은 축제가 끝나더라도 유자밭 경관을 보기 위해 많은 관광객이 찾을 것으로 보고 야간 탐방로는 11월 말까지 그대로 유지해 놓을 예정이다.
공영민 고흥군수는 “고흥 유자축제가 대한민국 대표축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해, 관람객 모두가 안전하고 기쁨을 만끽할 수 있는 축제로 만들어 나가겠다”고 말했다.
/고흥=주각중 기자 gjju@kwangju.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