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리호 우주로
오후 6시 24분 발사 예정
![]() 한국형 발사체 누리호(KSLV-Ⅱ)가 3차 발사를 하루 앞둔 23일, 고흥군 나로우주센터에 기립된 누리호가 발사대에 고정돼 있다. /연합뉴스 |
한국 독자 기술로 만든 발사체 ‘누리호’가 우주를 향한 세번째 여정을 시작한다. 누리호는 24일 오후 6시 24분 우주로 향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항공우주연구원(항우연)은 23일 오전 고흥군 나로우주센터에서 누리호 발사대 기립 및 고정작업이 완료됐다고 밝혔다.
항우연에 따르면 누리호는 이날 오전 7시 20분께 무인특수이동차량(트랜스포터)에 실려 고흥군 나로우주센터 내 발사대 종합조립동을 출발해 1.8㎞를 이동, 1시간 34분 후인 오전 8시 54분께 발사대에 도착했다.
발사대에 도착한 누리호는 기립 장치인 ‘이렉터’에 실려 발사패드에 수직으로 세워진 뒤 발사대에 고정됐다.
누리호의 하부는 4개의 고리가 달린 지상고정장치(VHD)를 이용해 단단히 고정된다. 이 장치는 누리호 발사 직전 엔진이 최대 추력에 도달하면 고정을 해제한다.
이후 오후에는 누리호에 전원과 연료, 산화제 등 추진제를 충전하기 위한 엄빌리칼 연결과 추진제가 새지 않을지 확인하는 기밀점검 등 발사 준비작업을 수행 중이다.
과기정통부는 발사일인 24일 오후에 누리호 발사관리위원회를 다시 열어 누리호 추진제 충전 여부를 결정하고 기술적 준비 상황과 기상 상황, 발사 가능 시간, 우주물체 충돌 가능성 등을 종합 검토해 누리호 발사 시각을 결정할 예정이다.
별다른 문제가 없다면 발사는 예정대로 24일 오후 6시 24분에 이뤄질 전망이다.
기체에 문제가 없는 이상 발사에 유일한 걸림돌이 될 수 있는 발사 당일 기상조건 전망은 양호한 상태다.
기상청에 따르면 발사대가 있는 고흥군 봉래면 나로우주센터 날씨의 발사 당일(24일) 아침 최저기온과 낮 최고기온이 각각 16도와 21도로 예보됐다. 제주도 남쪽해상에서 북동쪽으로 이동하는 고기압의 영향을 받아 맑겠지만 가끔 구름이 많을 것으로 보인다. 강수확률도 0∼20%에 그치고, 바람 역시 1∼4㎧로 잔잔하겠다.
항공우주연구원에 따르면 누리호를 성공적으로 발사하기 위해서는 기온이 영하 10도에서 영상 35도 사이여야 한다. 구름이나 비는 영향을 주지 않지만, 궤도를 바꿀 수 있는 지상풍은 평균 풍속이 15㎧, 순간최대풍속이 21㎧를 넘으면 안 된다.
/김민석 기자 mskim@kwangju.co.kr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항공우주연구원(항우연)은 23일 오전 고흥군 나로우주센터에서 누리호 발사대 기립 및 고정작업이 완료됐다고 밝혔다.
항우연에 따르면 누리호는 이날 오전 7시 20분께 무인특수이동차량(트랜스포터)에 실려 고흥군 나로우주센터 내 발사대 종합조립동을 출발해 1.8㎞를 이동, 1시간 34분 후인 오전 8시 54분께 발사대에 도착했다.
누리호의 하부는 4개의 고리가 달린 지상고정장치(VHD)를 이용해 단단히 고정된다. 이 장치는 누리호 발사 직전 엔진이 최대 추력에 도달하면 고정을 해제한다.
이후 오후에는 누리호에 전원과 연료, 산화제 등 추진제를 충전하기 위한 엄빌리칼 연결과 추진제가 새지 않을지 확인하는 기밀점검 등 발사 준비작업을 수행 중이다.
별다른 문제가 없다면 발사는 예정대로 24일 오후 6시 24분에 이뤄질 전망이다.
기체에 문제가 없는 이상 발사에 유일한 걸림돌이 될 수 있는 발사 당일 기상조건 전망은 양호한 상태다.
기상청에 따르면 발사대가 있는 고흥군 봉래면 나로우주센터 날씨의 발사 당일(24일) 아침 최저기온과 낮 최고기온이 각각 16도와 21도로 예보됐다. 제주도 남쪽해상에서 북동쪽으로 이동하는 고기압의 영향을 받아 맑겠지만 가끔 구름이 많을 것으로 보인다. 강수확률도 0∼20%에 그치고, 바람 역시 1∼4㎧로 잔잔하겠다.
항공우주연구원에 따르면 누리호를 성공적으로 발사하기 위해서는 기온이 영하 10도에서 영상 35도 사이여야 한다. 구름이나 비는 영향을 주지 않지만, 궤도를 바꿀 수 있는 지상풍은 평균 풍속이 15㎧, 순간최대풍속이 21㎧를 넘으면 안 된다.
/김민석 기자 mskim@kwangju.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