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기 내줘서 감사”…전두환 손자 전우원씨, 5.18 피해자·광주시민에 ‘사죄’
  전체메뉴
“용기 내줘서 감사”…전두환 손자 전우원씨, 5.18 피해자·광주시민에 ‘사죄’
5·18기념문화센터서 유족·피해자 만나 사죄
국립5·18민주묘지 찾아 외투로 묘비 닦기도
2023년 03월 31일(금) 14:12
전두환씨의 손자인 전우원씨가 31일 오전 광주 북구 국립5 ·18민주묘지의 故 문재학 열사의 묘소를 찾아 자신의 옷으로 묘비를 닦으며 넋을 위로하고 있다. /김진수 기자 jeans@kwangju.co.kr
전두환 손자 전우원(27)씨가 31일 광주에서 5·18 광주 학살 피해자와 유가족, 광주 시민에게 사죄했다.

전씨는 이날 광주시 서구 치평동 5·18기념문화센터에서 공법3단체(5·18유족회·부상자회·공로자회)와 5·18기념재단, 도청지킴이 어머니 등 유족·피해자들과 만났다.

이어 오후에는 국립5·18민주묘지를 찾아 오월영령에 고개를 숙여 용서를 구했다.

전씨는 기념재단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 “저의 할아버지(전두환)는 5·18 앞에 너무나 큰 죄를 지은 죄인이다”며 “5·18은 다시 있어서는 안 될 비극이며 그 주범은 저의 할아버지 전두환이다”고 밝혔다.

또 “저희 가족들뿐만 아니라 저 또한 너무 취약한 죄인이다”며 “죽어 마땅한 저를 광주시민들이 따뜻하게 맞아주고, 사죄할 기회를 주셔서 정말 감사드린다”고 전했다.

전씨는 “5·18진상규명을 위한 도움도 아끼지 않겠다”는 뜻도 밝혔으며, 5·18민주화운동 진상규명조사위원회에서 참고인으로서 조사를 받을 마음도 있다고 전했다.

다만 가족끼리는 5·18에 대한 이야기를 잘 하지 않은 터라 최초 발포 명령 등에 대해서는 아는 바가 없다고 설명했다.

이날 고(故) 문재학 열사의 어머니인 김길자 여사, 계엄군 집단 발포에 총상을 입은 김태수씨, 항쟁 이후 상무대에서 구금 및 폭행·고문에 시달렸던 김관씨 등 5·18 피해자들은 전씨를 직접 만나 사죄를 받았다. 이들은 한 목소리로 “용기를 내줘서 감사하다”고 말하며 전씨를 차례로 끌어안고 사죄를 받아들였다.

전씨는 5·18기념공원에 있는 추모승화공간도 들러 5·18 피해 보상을 받은 사망자와 부상자, 행방불명자 등 4296명의 이름이 적힌 명패를 둘러보기도 했다.

이후 광주시 북구 망월동 국립5·18민주묘지를 찾아 헌화 및 참배했다. 5·18 첫 희생자인 고(故) 김경철 열사와 공식 사망자 중 가장 어린 고(故) 전재수(11살·광주 효덕초 4년)군, 아직 시신을 찾지 못한 행방불명자 묘역을 차례로 참배했다. 또 무명열사의 묘 4기에 차례로 참배한 뒤 제2묘역을 찾아 지난해 별세한 고(故) 정동년 전 5·18기념재단 이사장의 묘도 참배했다.

전씨는 자신의 외투를 벗어 이들의 묘비를 닦아 주며 애도를 표했다.

전씨는 방명록에는 “저라는 어둠을 빛으로 밝혀주셔서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민주주의의 진정한 아버지는 여기 묻혀 계신 모든 분이십니다”라고 썼다.

전씨는 이후로도 당분간 광주에 머무르며 사죄 행보를 이어갈 방침인 것으로 전해졌다.

5·18유족·피해자들은 이번 사죄 행보가 일회성으로 그치지 않고 다른 양심고백과 사죄가 이어지길 바란다는 바람도 전했다.

유족 김길자 여사는 “그동안 얼마나 두렵고 힘들었을지, 사죄 결정을 하기까지 얼마나 고통이 컸을까 하는 생각하면 가슴이 아프다”면서도 “아직도 많은 가해자들이 전두환이 사망한 이후로도 침묵하고 있는데, 오늘을 계기로 많은 양심 고백이 나왔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정성국 5·18공로자회 회장도 “할아버지 잘못을 사죄하기 위해 먼 길을 마다하지 않고 광주에 온 전우원씨의 용기에 박수를 보낸다”며 “이제 우원씨와 같이 다른 가족들도 용기를 내야한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유연재 기자 yjyou@kwangju.co.kr

핫이슈

  • Copyright 2009.
  • 제호 : 광주일보
  • 등록번호 : 광주 가-00001 | 등록일자 : 1989년 11월 29일 | 발행·편집·인쇄인 : 김여송
  • 주소 : 광주광역시 동구 금남로 224(금남로 3가 9-2)
  • TEL : 062)222-8111 (代) | 청소년보호책임자 : 채희종
  • 개인정보취급방침
  • 광주일보의 모든 컨텐츠를 무단복제 사용할 경우에는 저작권법에 의해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