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말 전남 잇단 스피드 대향연
23~24일 영암서 질주 본능 ‘전남 GT’
국내 최대 모터스포츠 축제
이틀간 무관중 온라인 중계
국내 최대 규모의 모터스포츠 축제인 ‘2021 전남GT 대회’가 23일부터 이틀간 영암 국제자동차경주장에서 무관중으로 치러진다.
GT는 자동차 경주를 위해 제작된 덮개(지붕)가 없는 레이싱 전용차량과 달리 일반인 판매를 위해 개발한 고성능 자동차다. ‘전남GT 대회’는 국내 모터스포츠를 총결산하는 화합의 장을 마련하기 위해 전남도가 매년 개최하고 있다. 자동차, 모터사이클, 드래그레이스, 오프로드 등 7개 종목, 250여 대가 참여한다.
아시아를 대표하는 스피드 축제로 매년 11월 전세계 40만 명이 찾는 ‘마카오 그랑프리’를 본보기 삼은 ‘전남GT’는 모터스포츠와 자동차 복합문화를 기반으로 전남의 차별화한 관광 콘텐츠로 발전하고 있다.
‘전남GT’는 대회별 대표 클래스가 동시에 개최돼 국내 최고 수준의 프로대회 ‘슈퍼6000’부터 영국 레이싱 전용차량인 ‘레디컬’, 1000cc 모터사이클 종목인 ‘슈퍼바이크’까지 국내 모터스포츠의 정상급 경주를 한 자리에서 볼 수 있다. 종목별로 ‘전남내구’는 차종 구분없이 마력을 기준으로 등급을 구분해 프로, 아마추어가 함께 주행한다. 정해진 시간 동안 얼마나 먼 거리를 주행하느냐에 따라 승부를 가리는 종목으로, 지난해보다 30분 늘려 총 90분 동안 치러진다.
‘슈퍼6000’은 6200cc, 436마력의 스톡카가 참여하며, 32바퀴를 가장 빠르게 주행하는 차량이 우승한다. ‘레디컬’은 1340cc의 레이싱 전용차량이 시속 200km를 넘는 속도로 15바퀴를 주행한다. 특별 이벤트인 ‘슈퍼카 타임트라이얼’에 페라리, 포르쉐, 람보르기니, BMW 등 400~500마력의 무제한 차량이 참가하며, 30분 동안 1바퀴를 빠르게 주행한 기록으로 순위를 결정한다.
1000cc급 200마력 모터사이클이 참가하는 ‘슈퍼바이크’는 코리아 로드레이싱 챔피언십(KRRC), 코리아 슈퍼바이크(KSBK) 2개 대회가 통합전으로 열린다. 400m 단거리를 빠르게 주행하는 ‘드래그레이스’와, 비포장 서킷에서 열리는 ‘오프로드’ 클래스는 색다른 볼거리를 제공한다.
국제자동차경주장을 3구역으로 구분하고 상설트랙에서 자동차, 모터사이클, F1트랙 결승전 부근의 드래그레이스, 제2트랙에 자동차 오프로드가 열리며, 23일은 연습주행 및 예선, 24일은 각 종목 결승전이 펼쳐진다.
전남도는 코로나19로부터 안전한 대회를 치르기 위해 선수와 관계자 등 최소 인원으로 출입통제하고 PCR검사서 의무제출, 발열검사, 마스크 착용, 비대면 브리핑, 식사시간 이원화, 경주장 내 거리두기 등 대회 준비에 최선을 다하고 있다.
강상구 전남도 기업도시담당관은 “코로나19 4차 유행이 지난 7월부터 이어져 많은 분이 어려움을 겪는 힘든 시기에 ‘전남GT’가 잠시나마 위안이 되길 바란다”며 “중계방송을 함께하는 시청자의 많은 응원과 격려 부탁드린다”고 말했다.
22~25일 여수서 남해안컵 국제요트대회
전남·부산·경남도 공동 개최
세계 11개국 34척 기량 겨뤄
세계 11개국 34척의 요트가 바다를 가르며 힘찬 경연을 펼칠 제2회 ‘2021 남해안컵국제요트대회’가 22일 여수에서 개막한다.
전남도와 부산시, 경남도가 공동 개최하는 남해안컵국제요트대회는 4일간 여수 웅천 원형마리나를 시작으로 경남 통영 도남항을 거쳐 부산 수영만 요트경기장까지 거침없이 물살을 가른다.
제1구간은 여수 웅천마리나에서 오전 6시 출발해 통영 도남항까지, 제2구간은 통영 도남항에서 부산 수영만까지로, 남해안 바다를 누비는 세계 요트인의 박진감 넘치는 경주가 펼쳐진다.
우리나라와 미국, 러시아 등 11개 나라에서 총 34척, 291명의 선수가 기량을 겨루며, 경기수역 안전관리는 해양경찰청 해상교통관제센터, 여수해양경찰서, 여수지방해양수산청, 한국도선사협회 여수지회 등의 협조로 이뤄진다.
코로나19 상황에 대응해 방역관리에 중점을 둬 참가 등록시 PCR검사 음성확인 증명과 백신접종 증명서를 제출받고 외국인 선수는 국내에 거주하는 외국인들로만 구성해 무관중으로 진행한다.
대회 기간 세계 저명 스포츠채널, 유튜브, SNS 홍보 등을 통해 해상에서 진행하는 박진감 넘치는 요트경기를 간접적으로 관람하도록 할 예정이다.
김영록 전남지사는 “2021 남해안컵 국제요트대회는 남해안권 3개 시·도의 상생발전과 협력의 상징”이라며 “남해안의 그림 같은 비경과 매력적인 해양관광도시를 세계에 알리고, 국내 요트 대중화와 요트문화 저변을 확대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윤현석 기자 chadol@kwangju.co.kr
국내 최대 모터스포츠 축제
이틀간 무관중 온라인 중계
국내 최대 규모의 모터스포츠 축제인 ‘2021 전남GT 대회’가 23일부터 이틀간 영암 국제자동차경주장에서 무관중으로 치러진다.
GT는 자동차 경주를 위해 제작된 덮개(지붕)가 없는 레이싱 전용차량과 달리 일반인 판매를 위해 개발한 고성능 자동차다. ‘전남GT 대회’는 국내 모터스포츠를 총결산하는 화합의 장을 마련하기 위해 전남도가 매년 개최하고 있다. 자동차, 모터사이클, 드래그레이스, 오프로드 등 7개 종목, 250여 대가 참여한다.
‘전남GT’는 대회별 대표 클래스가 동시에 개최돼 국내 최고 수준의 프로대회 ‘슈퍼6000’부터 영국 레이싱 전용차량인 ‘레디컬’, 1000cc 모터사이클 종목인 ‘슈퍼바이크’까지 국내 모터스포츠의 정상급 경주를 한 자리에서 볼 수 있다. 종목별로 ‘전남내구’는 차종 구분없이 마력을 기준으로 등급을 구분해 프로, 아마추어가 함께 주행한다. 정해진 시간 동안 얼마나 먼 거리를 주행하느냐에 따라 승부를 가리는 종목으로, 지난해보다 30분 늘려 총 90분 동안 치러진다.
1000cc급 200마력 모터사이클이 참가하는 ‘슈퍼바이크’는 코리아 로드레이싱 챔피언십(KRRC), 코리아 슈퍼바이크(KSBK) 2개 대회가 통합전으로 열린다. 400m 단거리를 빠르게 주행하는 ‘드래그레이스’와, 비포장 서킷에서 열리는 ‘오프로드’ 클래스는 색다른 볼거리를 제공한다.
국제자동차경주장을 3구역으로 구분하고 상설트랙에서 자동차, 모터사이클, F1트랙 결승전 부근의 드래그레이스, 제2트랙에 자동차 오프로드가 열리며, 23일은 연습주행 및 예선, 24일은 각 종목 결승전이 펼쳐진다.
전남도는 코로나19로부터 안전한 대회를 치르기 위해 선수와 관계자 등 최소 인원으로 출입통제하고 PCR검사서 의무제출, 발열검사, 마스크 착용, 비대면 브리핑, 식사시간 이원화, 경주장 내 거리두기 등 대회 준비에 최선을 다하고 있다.
강상구 전남도 기업도시담당관은 “코로나19 4차 유행이 지난 7월부터 이어져 많은 분이 어려움을 겪는 힘든 시기에 ‘전남GT’가 잠시나마 위안이 되길 바란다”며 “중계방송을 함께하는 시청자의 많은 응원과 격려 부탁드린다”고 말했다.
22~25일 여수서 남해안컵 국제요트대회
전남·부산·경남도 공동 개최
세계 11개국 34척 기량 겨뤄
세계 11개국 34척의 요트가 바다를 가르며 힘찬 경연을 펼칠 제2회 ‘2021 남해안컵국제요트대회’가 22일 여수에서 개막한다.
전남도와 부산시, 경남도가 공동 개최하는 남해안컵국제요트대회는 4일간 여수 웅천 원형마리나를 시작으로 경남 통영 도남항을 거쳐 부산 수영만 요트경기장까지 거침없이 물살을 가른다.
제1구간은 여수 웅천마리나에서 오전 6시 출발해 통영 도남항까지, 제2구간은 통영 도남항에서 부산 수영만까지로, 남해안 바다를 누비는 세계 요트인의 박진감 넘치는 경주가 펼쳐진다.
우리나라와 미국, 러시아 등 11개 나라에서 총 34척, 291명의 선수가 기량을 겨루며, 경기수역 안전관리는 해양경찰청 해상교통관제센터, 여수해양경찰서, 여수지방해양수산청, 한국도선사협회 여수지회 등의 협조로 이뤄진다.
코로나19 상황에 대응해 방역관리에 중점을 둬 참가 등록시 PCR검사 음성확인 증명과 백신접종 증명서를 제출받고 외국인 선수는 국내에 거주하는 외국인들로만 구성해 무관중으로 진행한다.
대회 기간 세계 저명 스포츠채널, 유튜브, SNS 홍보 등을 통해 해상에서 진행하는 박진감 넘치는 요트경기를 간접적으로 관람하도록 할 예정이다.
김영록 전남지사는 “2021 남해안컵 국제요트대회는 남해안권 3개 시·도의 상생발전과 협력의 상징”이라며 “남해안의 그림 같은 비경과 매력적인 해양관광도시를 세계에 알리고, 국내 요트 대중화와 요트문화 저변을 확대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윤현석 기자 chadol@kwangju.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