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림마을 종가집서 2200년 시간여행
영암군, 15일~11월까지 추진
마을·인물 등 인문학적 성찰
마을·인물 등 인문학적 성찰
![]() 고즈넉한 영암 구림마을 돌담길. <영암군 제공> |
영암군이 오는 15일부터 11월까지 구림마을 일원에서 ‘영암 구림마을 종가여행’ 프로그램을 시작한다.
문화재청 공모 ‘고택종갓집 활용사업’으로 추진하는 이번 사업은 구림마을을 한 바퀴 돌아보며 곳곳에 숨어있는 마을 이야기, 사람 이야기, 나무 이야기, 건물 이야기 등을 인문학적으로 바라보는 프로그램이다.
영암 구림마을은 2200여년의 오랜 역사와 전통을 간직하고 있다. 이곳에는 450여년 전통의 대동계가 현존한다.
백제 왕인박사, 신라말 도선국사, 고려초 최지몽 선생, 1555년 을묘왜변(최경창), 1593년 이순신을 도운 연주현, 조선 후기 실학의 새로운 싹을 틔운 박세채와 박태초 등이 있었고 3·1 독립운동 때 의기를 모은 역사 현장이기도 하다.
구림마을은 다양한 문화유산이 잘 보존돼 자연과 함께 역사와 전통을 느낄 수 있는 곳이며 영암군의 문화유산 중 약 40%가 이곳에 자리하고 있다.
영암군 관계자는 “종가를 찾아가며 구림마을과 죽정마을 돌담길을 따라 한가로이 거닐며 마을을 돌아보는 재미가 쏠쏠하다”며 “구림마을에서 과거와 현재를 함께 만나는 시간여행을 즐길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영암=전봉헌 기자 jbh@kwangju.co.kr
문화재청 공모 ‘고택종갓집 활용사업’으로 추진하는 이번 사업은 구림마을을 한 바퀴 돌아보며 곳곳에 숨어있는 마을 이야기, 사람 이야기, 나무 이야기, 건물 이야기 등을 인문학적으로 바라보는 프로그램이다.
백제 왕인박사, 신라말 도선국사, 고려초 최지몽 선생, 1555년 을묘왜변(최경창), 1593년 이순신을 도운 연주현, 조선 후기 실학의 새로운 싹을 틔운 박세채와 박태초 등이 있었고 3·1 독립운동 때 의기를 모은 역사 현장이기도 하다.
구림마을은 다양한 문화유산이 잘 보존돼 자연과 함께 역사와 전통을 느낄 수 있는 곳이며 영암군의 문화유산 중 약 40%가 이곳에 자리하고 있다.
영암군 관계자는 “종가를 찾아가며 구림마을과 죽정마을 돌담길을 따라 한가로이 거닐며 마을을 돌아보는 재미가 쏠쏠하다”며 “구림마을에서 과거와 현재를 함께 만나는 시간여행을 즐길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