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폰 자주 보는 유아 뇌 발달 지연
  전체메뉴
스마트폰 자주 보는 유아 뇌 발달 지연
美 아동병원 연구팀, 스크린 노출 하루 1시간내 제한 권장
2019년 11월 07일(목) 04:50
유아기(2~6세)에 스마트폰, TV, 태블릿 컴퓨터를 자주 보면 뇌 기능 발달이 늦어진다는 새로운 연구결과가 나왔다.

미국 신시내티 아동병원의 존 허튼 박사 연구팀이 3~5세 아이들 47명(남아 20명, 여아 27명)의 뇌 MRI 영상, 인지기능 테스트, 스크린 노출 시간에 관한 자료를 비교 분석한 결과 이 같은 사실이 확인됐다고 CNN 뉴스 인터넷판과 헬스데이 뉴스가 5일 보도했다.

뇌 MRI 영상 분석에서는 스크린 노출 시간이 많은 아이일수록 뇌 백질의 발달 속도가 느린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뇌 전체 신경세포에 전기적 신호를 신속하게 전달하는 신경 임펄스 속도가 느렸다.

연구팀은 특히 뇌의 백질을 잘 살펴볼 수 있는 확산 텐서 MRI를 이용했다.

뇌의 백질은 특히 언어(읽기, 쓰기 등), 정신 조절, 자기 조절 기능이 발달하는 곳이다.

실제로 인지기능 테스트에서 스크린 노출 시간이 많은 아이는 물건의 이름을 빨리 대는 정신처리속도와 읽기-쓰기 능력이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발달 과정에 있는 뇌는 다른 사람들 그리고 실생활로부터의 자극이 있어야 기능이 향상된다고 허튼 박사는 설명했다. 어린아이는 사람들과의 관계, 실생활과의 상호작용, 스스로의 감각을 이용하면서 성장한다고 그는 강조했다.

스크린 노출 시간이 많아 지연된 뇌 기능 발달은 나중에 만회될 수 있겠지만 시간을 놓치면 뇌의 변화가 그만큼 어려워진다고 그는 지적했다.

미국 소아과학회는 생후 18개월 이전에는 스크린 노출을 절대 피해야 하고 생후 18~24개월에는 양질의 프로그램만 보게 하되 반드시 부모가 함께 볼 것이며 2~5세에는 노출 시간을 하루 1시간으로 제한하도록 권장하고 있다.

이 연구결과는 미국 의사협회 저널 소아과학(JAMA Pediatrics) 온라인판(11월 4일 자)에 발표됐다. /연합뉴스

핫이슈

  • Copyright 2009.
  • 제호 : 광주일보
  • 등록번호 : 광주 가-00001 | 등록일자 : 1989년 11월 29일 | 발행·편집·인쇄인 : 김여송
  • 주소 : 광주광역시 동구 금남로 224(금남로 3가 9-2)
  • TEL : 062)222-8111 (代) | 청소년보호책임자 : 채희종
  • 개인정보취급방침
  • 광주일보의 모든 컨텐츠를 무단복제 사용할 경우에는 저작권법에 의해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