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류인플루엔자 5년만에 ‘0’
위기경보단계 평시 전환
겨울마다 발생하던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AI)가 올해는 2014년 이래 5년 만에 처음으로 단 한 건도 발생하지 않았다.
농림축산식품부는 지난해 10월부터 운영하던 ‘조류인플루엔자·구제역 특별방역대책기간’을 마치고, 4월1일부로 위기경보 단계를 ‘주의’에서 ‘관심’으로 내려 평시 방역체계로 전환한다고 지난 31일 밝혔다.
고병원성 AI는 2014년 1월 이래 매년 수백건씩 발생해 가금류 농가와 방역 당국을 괴롭혀왔다. 2014∼2015년 391건, 2016∼2017년 421건, 2017∼2018년 22건이 각각 발생했다.
지난 겨울에는 야생조류에서 70건의 AI 항원이 검출됐지만 모두 저병원성으로 확진됐다.
농식품부는 “소독 등 철저한 방역으로 가금 농가에서 고병원성 AI는 발생하지 않아 살처분 같은 피해가 없었다”고 설명했다.
농식품부는 AI 방역과 관련, “겨울 철새가 우리나라를 떠나 북상하고 있지만, AI 항원이 산발적으로 검출되고 있어 전국 상시 예찰·점검으로 발생 위험성을 줄이고, 전통시장 등 취약지 방역 관리를 강화하겠다”고 설명했다.
가금 농가 CCTV 설치 의무화, AI 방역실시 요령, 긴급행동지침 등 방역 관련 규정 홍보도 이어갈 방침이다.
/연합뉴스
농림축산식품부는 지난해 10월부터 운영하던 ‘조류인플루엔자·구제역 특별방역대책기간’을 마치고, 4월1일부로 위기경보 단계를 ‘주의’에서 ‘관심’으로 내려 평시 방역체계로 전환한다고 지난 31일 밝혔다.
지난 겨울에는 야생조류에서 70건의 AI 항원이 검출됐지만 모두 저병원성으로 확진됐다.
농식품부는 “소독 등 철저한 방역으로 가금 농가에서 고병원성 AI는 발생하지 않아 살처분 같은 피해가 없었다”고 설명했다.
농식품부는 AI 방역과 관련, “겨울 철새가 우리나라를 떠나 북상하고 있지만, AI 항원이 산발적으로 검출되고 있어 전국 상시 예찰·점검으로 발생 위험성을 줄이고, 전통시장 등 취약지 방역 관리를 강화하겠다”고 설명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