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지나 동국대교수·영화평론가] 경쟁을 넘어 고독과 친구 되기
  전체메뉴
[유지나 동국대교수·영화평론가] 경쟁을 넘어 고독과 친구 되기
2017년 09월 19일(화) 00:00
거리, 지하철, 엘리베이터…. 어디서나 사람들이 휴대전화로 SNS에 접속하는 모습은 일상적 풍경이다. 이렇게 공기처럼 퍼진 소셜미디어 소용돌이에 휘말려든 중년 남성이 고뇌에 사로잡혀 갈등하는 영화가 등장했다. ‘괜찮아요, 미스터 브래드’(2017, 마이크 화이트)에서 브래드(벤 스틸러)는 ‘카페인 증후군’(카카오톡,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앞 글자를 딴 신조어)에 시달린다.

20여 년 전, 보스턴에 있는 명문 대학을 졸업한 그는 현재 비영리단체에서 공익적 일을 하며 평범하게 살아간다. 그런데 그가 SNS로 찾아본 동창들은 물질적 자본에서 그를 압도한다. 이를테면 백악관에서 일한 경력에 베스트셀러 작가이자 하버드대 겸임 교수이기도 한 동창, 헤지펀드로 거부가 된 동창, 일찍이 큰돈을 벌고 은퇴해서 젊은 여성과 하와이에서 사는 동창도 있다. 이렇게 한때 같이 공부했던 동창들은 대부분 성공해서 잘사는데, 그는 명분 있는 일을 하지만 돈은 많이 벌지 못해, 닥쳐올 아들 대학 학비를 걱정하며 열등 콤플렉스에 빠져든다.



SNS에 뜬 성공한 동창들



빠르게 변하는 삶의 속도를 따라잡으며 SNS 과잉 정보에 휘말린 주인공 브래드는 정보화 혁명 시대의 자화상처럼 보인다. 영화의 원제목 ‘브래드의 사회적 지위’(Brad’s status)에서 짐작할 수 있듯, 신자유주의 경쟁에서 뒤처진 자신의 사회적 지위에 패배감까지 느낀다. 그 와중에 음악 재능이 있는 아들이 하버드 대학에 입학하면 보상받을 것이라는 희망을 갖기도 한다. 그런데 보스턴 거리의 악사를 보며 음악 재능만으론 돈 벌기 힘든 아들의 앞날도 걱정한다. 이렇게 희망과 절망 사이를 오가며 그는 자본주의적으로 성공한 동창과 자신을 끊임없이 비교한다.

그러나 그는 SNS에 뜬 동창들의 화려한 삶의 이면을 조금씩 발견하면서 그들과의 경쟁을 넘어 자신을 외롭게 성찰하는 탈주를 시도한다. 남들이 자신을 패배자로 여길까 전전긍긍하는 그를 부끄럽게 여기던 아들은 이렇게 말한다. “다들 자기 자신만 생각하니까. 아빠를 진심으로 생각하는 건 나뿐이야.” 굳이 부자 관계가 아니더라도 수많은 사람 속에서 자신을 성찰하는 나 홀로의 인생길이 와닿는 순간이다.

이렇듯 무한 정보 접속이 가능한 SNS 시대, 자기 자신과의 관계는 본질적 토대로 작동한다. 압축 성장을 해 온 한국인의 집단 무의식에는 대가족 관계를 중시하며 외로움을 꺼리는 관습이 그 잔영을 드리우고 있다. 유독 세대 차이가 심한 이유도 그 여파일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혼자 즐기는 ‘욜로’(YOLO)식 생활양식은 자신에게 몰입하는 삶의 방식으로 뜨고 있다. 먹기, 영화 보기, 여행 가기를 일컫는 신조어, ‘혼밥’, ‘혼영’, ‘혼행’ 등은 SNS 정보와 접속하며 혼자 삶을 즐기는 현상이다. 4인 가족을 넘어 빠르게 증가하는 1인 가구 통계가 보여 주듯이, 1인 중심 용품이 ‘1코노미’란 신조어를 파생시키며 번창하는 중이다.(2015년 통계청 발표에 따르면 1인 가구는 전체의 27.2%를 차지하며, 18.8%를 차지하는 4인 가구를 넘어섰다).

때론 ‘외로움’을 부정적으로, ‘고독’을 긍정적으로 나누어 다르게 해석하기도 하지만, 외로움과 고독은 유사어이기도 하다. 정보화 시대 이전에도 ‘나의 고독’(Ma Solitude)이란 샹송으로 세계적 인기를 얻은 음유시인 조르주 무스타키의 가사처럼, 고독과 함께 잠을 자기에 고독은 연인 같고, 그림자처럼 믿을 만한 친구로 나를 따라다니기에 나 자신이 나의 가장 친한 친구임을 보여 준다. 고독한 산책이 사상가를 길러 내는 것도 그런 이치일 것이다.



외톨이는 적극적 관찰자



독일의 저술가 마리엘라 자르토리우스는 ‘외톨이는 혼자의 삶에서도 대가이지만 늘 사람에 대한 호기심을 잃지 않는 적극적인 관찰자’(‘고독이 나를 위로한다’에서)라며 고독을 권한다. 임재범의 노래 ‘비상’에서도 “고독이 꼭 나쁜 것은 아니야/ 외로움은 나에게 누구도 말하지 않을/ 소중한 걸 깨닫게 했으니까”라고 노래하며, 고독과 외로움을 기쁘게 수용한다. 세상과 무한 접속하는 정보화 혁명의 파고를 타며, 고독을 친구로 삼으며, 거기서 깨닫는 기쁨은 내가 나에게 주는 선물인 셈이다.

핫이슈

  • Copyright 2009.
  • 제호 : 광주일보
  • 등록번호 : 광주 가-00001 | 등록일자 : 1989년 11월 29일 | 발행·편집·인쇄인 : 김여송
  • 주소 : 광주광역시 동구 금남로 224(금남로 3가 9-2)
  • TEL : 062)222-8111 (代) | 청소년보호책임자 : 채희종
  • 개인정보취급방침
  • 광주일보의 모든 컨텐츠를 무단복제 사용할 경우에는 저작권법에 의해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