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철수 신당이 제대로 되려면…
신항락
이사, 논설주간
이사, 논설주간
박빙의 선거에서 그 결과란 “하늘도 모른다”고 했다. 과거 노무현 후보가, 또 박근혜 후보가 대통령에 당선됐지만 선거 직전까지는 하늘도 모를 일이었다. 이회창, 문재인 후보는 다 된 밥이라고 여겼으나 결과적으로 설익은 밥이 된 것이다. 날씨와 전체 투표율, 연령대 투표율, 보수와 진보세(勢)의 변화 등이 큰 변수로 작용하면서 빚어진 일이다.
하지만 호남과 영남에서 치러진 총선과 지방선거에서만큼은 어린애도 이미 결과를 알 수 있었다. 호남에선 민주당의 노란 깃발이, 영남에선 새누리당(전 한나라당)의 파란 깃발만이 나부꼈다. 물론 부산의 민주당 조경태 의원과 김두관 전 경남지사가 있기는 하나 노무현 전 대통령의 그늘에서 자란 돌연변이일 뿐이다.
오는 6월4일 치러지는 지방선거에서도 경상도 판은 흔들릴 수 없다는 게 다수의 시각이다. 소위 안철수 신당이 파고들 여력이 없는 데다 그 쪽의 정치성향 또한 녹록지 않기 때문이다. 더욱이 안 의원의 태생지인 부산에서조차 열기를 찾기는 어렵다.
이에 반해 섬진강을 건너뛴 호남에서의 분위기는 심상치 않다. 지난해 10월 이후 아직 만들어지지도 않은 안 신당이 민주당에 비해 2배 가까이 상승곡선을 그리면서 파괴력을 키워온 것이다.
안 의원과 신당에 대한 지지 열기는 무엇보다 차기 수권(受權) 대상으로 호남사람들의 열망에 가장 근접해 있다는 데 있다. 민주당에 기대기엔 더 이상 희망이 없다는 얘기다. 대선 이후 그 많은 기회를 얻고서도 위기로 내몰리고, 친노(親盧)의 프레임에 갇혀 운신의 폭을 스스로 좁힌 탓이다. 김한길 대표가 13일 지방선거 승리를 향한 변화와 혁신을 강조했으나 의지만이 아니냐는 시각이 우세하다.
그렇다고 안 신당도 의지만으로 지지율을 붙잡아 둘 수는 없다. 현재 광주·전남에서의 지지도는 내리막 추세다. 광주일보가 지난 10∼11일 지역민 211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민주당과 안 신당 지지율 조사 결과를 보더라도 민심의 변화를 확연하게 읽을 수 있다. 민주당에 2배나 앞섰던 안 신당이 광주에서 30.6%로 민주당(34.0%)에 밀리고, 전남에선 23.0%대 43.5%로 오히려 반토막이 되면서 추월을 당했다.
이러한 민심의 이반은 무엇보다 안철수 신당의 비정상화와 불확실성에 있다. 비정상화의 첫 번째는 야권과의 연대 거부다. 안 의원 측 ‘새정치추진위원회’ 윤여준 의장은 최근 “야권 연대란 있을 수 없으며, 광역단체장 후보는 다 내야 하고, 서울을 비롯한 수도권은 필연이다”고 거듭 강조했다.
이게 현실화될 경우 민주당 박원순 서울시장과 송영길 인천시장 후보가 당선되리라는 보장은 없다. 재선이 확실시 되지만 신당이 그럴듯한 인물로 맞불을 놓는다면 그 득표율만큼 새누리당 후보가 어부지리를 얻을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자당 후보로는 승산이 없다는 것을 뻔히 알면서도 민주당을 의도적으로 허물어 그를 밟고 세(勢)를 넓히려 한다면 안 의원이든, 신당이든 살아남기 어려울 것이다. 호남에서의 하락세는 이를 염두에 둔 지역민의 판단이라 할 수 있다. 안 의원은 그동안 한국 정치사에서 숱하게 사라졌던 제3당의 운명을 겸허히 새겨야 한다.
또 하나, 안 신당이 호남만을 가지고 일정 지분을 챙기려 한다면 그 건 오산이다. 광역단체장 1∼2석 정도, 시·군 단체장 몇 십 석을 교두보로 삼아 지방선거 이후 전국을 상대로 ‘스펀지 효과’를 노리겠다는 계산일진 데, 이는 손가락 셈법에 지나지 않는다.
출신지인 부산과 경남에서 노무현 후보가 얻었던 30% 이상의 지지를 일구어 대구·경북, 충청, 강원, 수도권으로 외연을 확대해야 한다. 그게 호남사람들의 바람이자 지지에 대한 응답이다.
신당에 참여한 인사들의 면면도 시원치 않다. 여기에, 야권의 퇴물 정치인 내지 일부 현역의원들을 빼 내가는 식이라면 ‘그 나물에 그 밥’이자 그가 주창하는 새정치와도 거리가 멀다.
모호한 정체성과 불확실한 로드맵도 그에겐 아킬레스건이다. 새정치, 즉 변화와 개혁을 강조하지만 실체는 없고, 현상만 있다는 지적들이 많다. 새정치추진위원회가 이르면 27일께 창당 일정을 확정, 발표할 것으로 알려졌으나 이 역시 급조라는 인상을 지울 수 없다.
이번 6·4지방선거는 무엇보다 박근혜 정부에 대한 중간평가 성격이 강하다. 대선 이후 착잡한 심경으로 지낸 호남사람들이 안 신당의 움직임과 선거 결과에 주목할 수밖에 없는 이유다.
이제 신당이 제대로 된 창당을 하려면 이 모두가 비정상화에서 정상화로, 불확실성에서 확실성으로 탈바꿈해야 한다. 하늘도 알고, 너도 알고, 나도 알게 하려면 그 길로 가야 한다. 아니라면 하락세는 멈추지 않을 것이다.
/hlshin@kwangju.co.kr
오는 6월4일 치러지는 지방선거에서도 경상도 판은 흔들릴 수 없다는 게 다수의 시각이다. 소위 안철수 신당이 파고들 여력이 없는 데다 그 쪽의 정치성향 또한 녹록지 않기 때문이다. 더욱이 안 의원의 태생지인 부산에서조차 열기를 찾기는 어렵다.
안 의원과 신당에 대한 지지 열기는 무엇보다 차기 수권(受權) 대상으로 호남사람들의 열망에 가장 근접해 있다는 데 있다. 민주당에 기대기엔 더 이상 희망이 없다는 얘기다. 대선 이후 그 많은 기회를 얻고서도 위기로 내몰리고, 친노(親盧)의 프레임에 갇혀 운신의 폭을 스스로 좁힌 탓이다. 김한길 대표가 13일 지방선거 승리를 향한 변화와 혁신을 강조했으나 의지만이 아니냐는 시각이 우세하다.
그렇다고 안 신당도 의지만으로 지지율을 붙잡아 둘 수는 없다. 현재 광주·전남에서의 지지도는 내리막 추세다. 광주일보가 지난 10∼11일 지역민 211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민주당과 안 신당 지지율 조사 결과를 보더라도 민심의 변화를 확연하게 읽을 수 있다. 민주당에 2배나 앞섰던 안 신당이 광주에서 30.6%로 민주당(34.0%)에 밀리고, 전남에선 23.0%대 43.5%로 오히려 반토막이 되면서 추월을 당했다.
이러한 민심의 이반은 무엇보다 안철수 신당의 비정상화와 불확실성에 있다. 비정상화의 첫 번째는 야권과의 연대 거부다. 안 의원 측 ‘새정치추진위원회’ 윤여준 의장은 최근 “야권 연대란 있을 수 없으며, 광역단체장 후보는 다 내야 하고, 서울을 비롯한 수도권은 필연이다”고 거듭 강조했다.
이게 현실화될 경우 민주당 박원순 서울시장과 송영길 인천시장 후보가 당선되리라는 보장은 없다. 재선이 확실시 되지만 신당이 그럴듯한 인물로 맞불을 놓는다면 그 득표율만큼 새누리당 후보가 어부지리를 얻을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자당 후보로는 승산이 없다는 것을 뻔히 알면서도 민주당을 의도적으로 허물어 그를 밟고 세(勢)를 넓히려 한다면 안 의원이든, 신당이든 살아남기 어려울 것이다. 호남에서의 하락세는 이를 염두에 둔 지역민의 판단이라 할 수 있다. 안 의원은 그동안 한국 정치사에서 숱하게 사라졌던 제3당의 운명을 겸허히 새겨야 한다.
또 하나, 안 신당이 호남만을 가지고 일정 지분을 챙기려 한다면 그 건 오산이다. 광역단체장 1∼2석 정도, 시·군 단체장 몇 십 석을 교두보로 삼아 지방선거 이후 전국을 상대로 ‘스펀지 효과’를 노리겠다는 계산일진 데, 이는 손가락 셈법에 지나지 않는다.
출신지인 부산과 경남에서 노무현 후보가 얻었던 30% 이상의 지지를 일구어 대구·경북, 충청, 강원, 수도권으로 외연을 확대해야 한다. 그게 호남사람들의 바람이자 지지에 대한 응답이다.
신당에 참여한 인사들의 면면도 시원치 않다. 여기에, 야권의 퇴물 정치인 내지 일부 현역의원들을 빼 내가는 식이라면 ‘그 나물에 그 밥’이자 그가 주창하는 새정치와도 거리가 멀다.
모호한 정체성과 불확실한 로드맵도 그에겐 아킬레스건이다. 새정치, 즉 변화와 개혁을 강조하지만 실체는 없고, 현상만 있다는 지적들이 많다. 새정치추진위원회가 이르면 27일께 창당 일정을 확정, 발표할 것으로 알려졌으나 이 역시 급조라는 인상을 지울 수 없다.
이번 6·4지방선거는 무엇보다 박근혜 정부에 대한 중간평가 성격이 강하다. 대선 이후 착잡한 심경으로 지낸 호남사람들이 안 신당의 움직임과 선거 결과에 주목할 수밖에 없는 이유다.
이제 신당이 제대로 된 창당을 하려면 이 모두가 비정상화에서 정상화로, 불확실성에서 확실성으로 탈바꿈해야 한다. 하늘도 알고, 너도 알고, 나도 알게 하려면 그 길로 가야 한다. 아니라면 하락세는 멈추지 않을 것이다.
/hlshin@kwangju.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