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림에서 세계유산까지”…광주시, 한국 기독선교유산 등재 학술회의 연다
호남신학대서 20~21일 개최…8개 지자체·학계 참여, 대구와 ‘달빛동맹’ 문화협력 확대
![]() |
광주시가 양림동을 중심으로 남은 기독교 선교유산의 세계유산 등재 발걸음을 본격화한다.
19일 광주시에 따르면 시는 20~21일 호남신학대학교 일원에서 열리는 ‘한국기독선교유산 세계유산 등재 추진 학술회의와 워크숍’을 통해 등재 필요성과 공동 추진전략을 한자리에 모은다.
이번 학술회의는 광주시가 주최하고 광주관광공사·광주기독교단협의회·한국선교유적연구회가 주관한다.
광주 남구와 대구 중구를 비롯해 청주·공주·전주·김제·목포·순천 등 한국 기독선교기지를 보유한 8개 지자체 관계자와 교계·학계 전문가들이 참석해 유산 가치 평가와 협력 체계를 점검한다.
학교·병원·교회·선교사 주택과 묘역이 집적된 복합유산이라는 점에서, 양림동 선교유산군을 축으로 한 공동 등재 모델이 타당한지에 대한 검토도 이뤄진다.
주제발표는 세계유산 관점의 보편적 가치와 보존·활용 과제를 짚는 내용으로 구성됐다.
한국선교유적연구회가 한국 기독유산의 세계유산적 가치를 총괄 제시하고, 한남대학교가 광주의 선교사 활동사가 도시 형성과 교육·의료 보급에 미친 영향력을 정리한다.
건축사 관점의 유형별 특성 분석과 함께, 한국전통문화대학교는 보존관리와 브랜드화 전략, 향후 등재 로드맵을 제안할 계획이다.
발표 뒤에는 이코모스 전직 위원장과 지역 대학 교수진, 순례길 전문가 등이 참여하는 종합토론이 이어져 지자체 간 역할 분담과 거버넌스 틀을 구체화한다.
둘째 날에는 학술회의 참가자들이 양림동 일대 현장을 둘러보는 답사가 진행된다.
오웬기념각, 우일선 선교사 사택, 선교사 묘역, 수피아여중·고 캠퍼스 내 기념 홀 등 대표 유산을 직접 확인하며 관리 현황과 해설 체계를 점검하고, 동선 연계와 스토리텔링 보강 과제를 도출한다.
시는 학술회의 결과를 토대로 보존관리계획을 보강하고, 시민·교단·대학이 함께하는 해설·교육 프로그램을 확대해 일상 속 유산 활용도를 높일 계획이다.
광주시는 이번 자리를 계기로 대구와의 ‘달빛동맹’을 문화유산 분야로 넓혀 공동 연구, 시민 참여 프로그램, 국제 심포지엄 유치 등 협력 의제를 상시화할 방침이다.
시는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 요건에 부합하는 ‘탁월한 보편적 가치’ 입증과 ‘완전성·진정성’ 확보를 위해 학술축적과 도시 차원의 보존관리 기준을 정비하고, 여러 도시가 참여하는 연속유산 혹은 공동 등재 방식도 병행 검토한다.
강기정 시장은 “양림동 선교유산은 근대 교육과 의학, 여성교육, 사회복지, 인권의 진전을 이끈 살아있는 기록이자 광주가 민주·인권·평화의 도시로 서는 데 밑거름이 됐다”며 “이번 학술회의를 세계유산 도전의 출발점으로 삼아 국제적 위상을 넓히겠다”고 밝혔다.
한편 양림동 기독선교유산은 선교사 사택과 기념관, 묘역, 교육시설이 촘촘히 남아 있어 국내에서도 드문 복합유산 지대를 이룬다.
/정병호 기자 jusbh@kwangju.co.kr
19일 광주시에 따르면 시는 20~21일 호남신학대학교 일원에서 열리는 ‘한국기독선교유산 세계유산 등재 추진 학술회의와 워크숍’을 통해 등재 필요성과 공동 추진전략을 한자리에 모은다.
이번 학술회의는 광주시가 주최하고 광주관광공사·광주기독교단협의회·한국선교유적연구회가 주관한다.
학교·병원·교회·선교사 주택과 묘역이 집적된 복합유산이라는 점에서, 양림동 선교유산군을 축으로 한 공동 등재 모델이 타당한지에 대한 검토도 이뤄진다.
주제발표는 세계유산 관점의 보편적 가치와 보존·활용 과제를 짚는 내용으로 구성됐다.
건축사 관점의 유형별 특성 분석과 함께, 한국전통문화대학교는 보존관리와 브랜드화 전략, 향후 등재 로드맵을 제안할 계획이다.
발표 뒤에는 이코모스 전직 위원장과 지역 대학 교수진, 순례길 전문가 등이 참여하는 종합토론이 이어져 지자체 간 역할 분담과 거버넌스 틀을 구체화한다.
둘째 날에는 학술회의 참가자들이 양림동 일대 현장을 둘러보는 답사가 진행된다.
오웬기념각, 우일선 선교사 사택, 선교사 묘역, 수피아여중·고 캠퍼스 내 기념 홀 등 대표 유산을 직접 확인하며 관리 현황과 해설 체계를 점검하고, 동선 연계와 스토리텔링 보강 과제를 도출한다.
시는 학술회의 결과를 토대로 보존관리계획을 보강하고, 시민·교단·대학이 함께하는 해설·교육 프로그램을 확대해 일상 속 유산 활용도를 높일 계획이다.
광주시는 이번 자리를 계기로 대구와의 ‘달빛동맹’을 문화유산 분야로 넓혀 공동 연구, 시민 참여 프로그램, 국제 심포지엄 유치 등 협력 의제를 상시화할 방침이다.
시는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 요건에 부합하는 ‘탁월한 보편적 가치’ 입증과 ‘완전성·진정성’ 확보를 위해 학술축적과 도시 차원의 보존관리 기준을 정비하고, 여러 도시가 참여하는 연속유산 혹은 공동 등재 방식도 병행 검토한다.
강기정 시장은 “양림동 선교유산은 근대 교육과 의학, 여성교육, 사회복지, 인권의 진전을 이끈 살아있는 기록이자 광주가 민주·인권·평화의 도시로 서는 데 밑거름이 됐다”며 “이번 학술회의를 세계유산 도전의 출발점으로 삼아 국제적 위상을 넓히겠다”고 밝혔다.
한편 양림동 기독선교유산은 선교사 사택과 기념관, 묘역, 교육시설이 촘촘히 남아 있어 국내에서도 드문 복합유산 지대를 이룬다.
/정병호 기자 jusbh@kwangju.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