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노·지성 짝 이뤄야 변화 창출- 문인 광주 북구청장
  전체메뉴
분노·지성 짝 이뤄야 변화 창출- 문인 광주 북구청장
2025년 10월 31일(금) 00:20
국내 대기업은 우수 인력을 확보하기 위해 생산시설 대부분을 수도권에 두고 있다. 삼성전자가 화성·평택, SK하이닉스가 이천, 국가 주도로 진행 중인 반도체 클러스터가 용인에 둥지를 틀었다.

이재명 대통령 대선 공약인 국가 AI컴퓨팅센터 공모에서 삼성SDS가 전남과 손을 맞잡았다. 기대만큼 실망이 큰 법. 그동안 광주 유치를 위해 백방으로 뛰던 각계 노력이 무산되자 질타와 우려의 목소리가 터져 나왔다. 광주시청 비상회의에서 제기된 소외론 등 분노 표출은 당연하다.

‘당국자미 방관자청(當局者迷 傍觀者淸)’이라던가. 훈수 두는 사람에게 장기판이 더 잘 보이는 법이다. 삼성과 정부의 낙점은 불가피한 선택지라는 데 공감한다. 풍부한 전력과 기반시설, 오픈AI·SK 투자, 에너지고속도로 등 수도권과 멀지만 해남 솔라시도는 자본 투자에 매력적인 곳이다. ‘대선 공약’ 허들을 뛰어넘을 만큼 구미가 당겼을 것이다. 대통령실 정책실장이 지난 27일 이례적으로 광주시청을 찾는다는 소식에 마지막 희망을 걸었지만 소득이 없었다.

요즘처럼 ‘분노는 지성과 짝을 이룰 때 의미 있는 변화를 창출한다’는 격언이 와닿는 때가 없다. 돌이켜보면 광주는 ‘정부가 무엇을 줄 것인가’에만 기대를 걸고 있지 않았나 반성하게 된다. 확고부동한 논리를 세우고 신념에 찬 비전을 먼저 제시했어야 옳았다는 후회가 밀려온다.

6월 말, 이 대통령이 광주 타운홀미팅에서 ‘구체적으로 무엇을 어떻게 해주면 됩니까?’라고 되묻던 게 뇌리에 자꾸 떠오르는 것은 우연이 아니다. 그렇다면 광주경제를 살릴 미래지향적 대안은 무엇일까 곰곰이 상념에 잠기게 된다.

지구촌은 ‘저비용, 고효율’ 중심 글로벌 분업체계에서 점차 벗어나는 추세다. ‘내수 확보와 기술 자립’을 강화하는 움직임이 뚜렷하다.

현대모비스, 삼성전자가 차량용 반도체 국산화, 국내 자생형 밸류체인 창출, 설계·생산능력 동시 확보에 나서는 흐름과 일맥상통한다. 글로벌 전력 반도체 사업 후발주자라는 불리한 여건에도 대기업들은 상용기술 확보와 공급망 내재화를 위해 투자를 진행 중이다.

이 같은 관점에서 광주는 리쇼어링(국내생산) 차원에서 공급망을 재편 중인 산업계 맥락을 눈여겨봐야 한다. 광주는 국내에서 유일하게 2개의 완성차 생산공장이 조업 중이다. 국가 AI데이터센터는 2단계 예타 통과 이후 탄력을 받고 있다. 한전공대, 광주과기원, 전남대, AI영재고, AI사관학교 등 인적 자원을 넉넉히 배출하고 있다. 기지개를 켜는 단계지만 미래차 국가산단, 첨단산단, 광산업 집적단지 등 AI 산업체가 들어설 산업단지도 풍부하다.

광주가 가진 필요충분 조건을 십분 활용해야 한다. 전략적 접근과 지역적 강점을 최대한 살려야 한다는 것이다. 이를 통해 AI+모빌리티, AI+차량용·전력 반도체, 광산업과 연계한 AI+K방산클러스터에 대한 투자를 끌어내야 한다. 수익성을 볼모로 광주 경제발전 발목을 잡는 예타 통과와 균형발전 취지와 다른 지역균형발전 특별회계 배분도 빠뜨릴 수 없다.

예타 기준에 지역 특성을 최대한 반영하고 광역시 중 최저 배정이 관행이 된 균특 회계를 손질한다면 지역발전은 수월할 것이다.

국가 부담 원칙이 지켜져야 할 호남고속도로 건설도 마찬가지다. 도심 통과를 이유로 지방비 부담 비율이 높게 책정된 측면이 강하다. 정부 대 지자체 비율을 5대5가 아니라 8대2 또는 그 이상으로 바꿔야 한다. 이 같은 대안이 실현된다면 광주·전남은 한 시간대 단일 생활권으로 묶인다. 인재와 대기업이 필요로 하는 ‘상수(常數)’를 확보하게 된다는 의미다.

광주는 AI 중심도시 위상을 굳혀왔다. 이를 토대로 정부의 ‘5극 3특’ 균형발전 전략에 기초한 시·도 통합형 연합체계를 구축해 대형 프로젝트에서 실질적 성과를 내야 한다.

종착역은 광주·전남 상생을 담보하는 행정구역 통합이다. 두 광역단체가 장기적으로 한 깃발 아래 뭉쳐야 경쟁력을 가질 수 있다. 군·민간 공항 이전 문제 등에서 드러난 소모적 경쟁은 상생을 향한 원동력으로 서둘러 전환해야 한다.

핫이슈

  • Copyright 2009.
  • 제호 : 광주일보
  • 등록번호 : 광주 가-00001 | 등록일자 : 1989년 11월 29일 | 발행·편집·인쇄인 : 김여송
  • 주소 : 광주광역시 동구 금남로 224(금남로 3가 9-2)
  • TEL : 062)222-8111 (代) | 청소년보호책임자 : 채희종
  • 개인정보취급방침
  • 광주일보의 모든 컨텐츠를 무단복제 사용할 경우에는 저작권법에 의해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