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 당원주권 시대…광주·전남 신규 권리당원 모집 열풍
14일까지 신규 당원 가입하면 내년 지방선거 경선에서 권리행사
광주시당 입력 요원 알바 고용…주소지· 필체 같으면 반려 되기도
광주시당 입력 요원 알바 고용…주소지· 필체 같으면 반려 되기도
![]() |
더불어민주당 텃밭인 광주·전남에서 신규 권리당원 모집 ‘열풍’이 불고 있다.
최근 정청래 민주당 신임 당대표가 전당대회에서 일반 당원의 압도적 지지를 통해 당선된 뒤 내년 지방선거에 나설 입후보자들의 권리당원 모집도 더욱 치열해지고 있어서다.
특히 정 대표가 당원 중심 경선을 예고하면서 내년 지방선거를 앞두고 오는 14일까지 진행되는 신규 권리당원 가입도 폭증할 것으로 예상된다.
4일 더불어민주당 광주시당과 전남도당에 따르면 최근 광주·전남지역의 신규 권리당원 신청이 부쩍 늘어나고 있다.
민주당 당원 복당 신청은 7일까지이며, 신규 당원 신청은 14일까지다. 입당원서 처리기간이 최대 2주가 소요된다는 점에서 14일까지 신청된 신규 당원이 내년 지방선거 경선에서 권리를 행사할 수 있게 된다.
내년 지방선거 후보 공천을 위한 권리행사 시행일은 2026년 3월 1일이며, 6개월 전인 이번달 31일까지 입당을 해야한다.
올해 3월1일부터 내년 2월 28일까지 6회 이상 당비를 납부한 당원에 한해 내년 지방선거에서 권리당원 선거인단 자격이 부여된다.
시·도당은 현재까지 정확한 신청 건수를 밝힐 수 없다는 입장이지만, 예년보다 신청이 급증하고 있어 당원 명단 입력을 위한 임시 아르바이트 생까지 고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광주시당만 10여명의 아르바이트생을 고용한 상황으로, 앞으로 권리당원 신청이 더 많아지면 아르바이트생을 추가 고용할 계획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처럼 신규 권리당원이 급격히 늘어나고 있는 배경에는 내년 6월 치러질 전국동시지방선거 출마 예정자들이 당내 경선에 대비해 권리당원 확보에 열을 올리고 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최근 선출된 정청래 당 대표가 ‘당원 주권’과 ‘노 컷오프’ 경선을 주요 공약으로 내세웠다는 점에서 내년 지방선거에서 권리당원 표심이 경선 향배를 좌우할 가능성이 커졌기 때문이다.
모든 출마자에게 경선 기회를 보장하는 노 컷오프와 공정한 당내 경쟁을 통해 더 강한 후보를 지방선거에 내세우겠다고 밝혔다는 점에서 현역이나 신인 등이 모두 경선에 나와 경쟁을 해야 한다는 점에서 권리당원 확보에 사활이 걸린 것이다.
내년 지방선거 출마를 타진하고 있는 출마 예정자들은 권리당원 확보를 위한 물밑 경쟁을 벌이면서 지역 조직을 총동원해 입당 원서 확보에 열을 올리고 있다.
현역 자치단체장과 기초·광역의원들은 그간 다져놓은 조직력과 인맥을 활용할 수 있어 비교적 우위를 점하고 있는 반면 신인인 도전자는 불리한 여건 극복을 위해 권리당원 확보에 목을 메고있다.
권리당원 명단이 후보자에게 제공되지 않기 때문에, 자신이 직접 가입시킨 당원이 당내 경선에서 사실상 자신을 위한 ‘확실한 표’가 된다는 점에서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시·도당에 몰리는 신규 당원 신청서가 중복되는 부작용도 상당수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기존 당원의 경우 이미 입력된 주소지가 다를 경우 반려가 되기도 하고, 입당 신청서에 필체가 다른 경우에도 무더기로 반려되고 있다.
개인 신상 정보와 주소지 등의 수기란에 적힌 필체가 다른 경우까지 모두 받아주면 한 주소지 기준 4명까지 입당을 허용하고 있는 상황에서 한 주소지에 수십명의 당원이 접수되고 있는 부작용을 막기 위한 것이다
최근 ‘밀실 쪽지 투표’ 논란으로 물의를 빚어 민주당 광주시당 윤리심판원에 무더기로 회부된 광주시의회 시의원 10명도 권리당원 확보를 위해 더 열을 올리고 있다는 이야기 까지 나오고 있다.
더불어민주당 광주시당 관계자는 “내년 지방선거 경선에서 당심(黨心)비중이 높아질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는 점에서 입당 신청이 잇따르고 있다”면서 “당원모집 경쟁이 과열되지 않도록 공정하고 객관적인 절차를 진행 할 것”이라고 말했다.
/정병호 기자 jusbh@kwangju.co.kr
최근 정청래 민주당 신임 당대표가 전당대회에서 일반 당원의 압도적 지지를 통해 당선된 뒤 내년 지방선거에 나설 입후보자들의 권리당원 모집도 더욱 치열해지고 있어서다.
특히 정 대표가 당원 중심 경선을 예고하면서 내년 지방선거를 앞두고 오는 14일까지 진행되는 신규 권리당원 가입도 폭증할 것으로 예상된다.
민주당 당원 복당 신청은 7일까지이며, 신규 당원 신청은 14일까지다. 입당원서 처리기간이 최대 2주가 소요된다는 점에서 14일까지 신청된 신규 당원이 내년 지방선거 경선에서 권리를 행사할 수 있게 된다.
내년 지방선거 후보 공천을 위한 권리행사 시행일은 2026년 3월 1일이며, 6개월 전인 이번달 31일까지 입당을 해야한다.
시·도당은 현재까지 정확한 신청 건수를 밝힐 수 없다는 입장이지만, 예년보다 신청이 급증하고 있어 당원 명단 입력을 위한 임시 아르바이트 생까지 고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광주시당만 10여명의 아르바이트생을 고용한 상황으로, 앞으로 권리당원 신청이 더 많아지면 아르바이트생을 추가 고용할 계획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처럼 신규 권리당원이 급격히 늘어나고 있는 배경에는 내년 6월 치러질 전국동시지방선거 출마 예정자들이 당내 경선에 대비해 권리당원 확보에 열을 올리고 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최근 선출된 정청래 당 대표가 ‘당원 주권’과 ‘노 컷오프’ 경선을 주요 공약으로 내세웠다는 점에서 내년 지방선거에서 권리당원 표심이 경선 향배를 좌우할 가능성이 커졌기 때문이다.
모든 출마자에게 경선 기회를 보장하는 노 컷오프와 공정한 당내 경쟁을 통해 더 강한 후보를 지방선거에 내세우겠다고 밝혔다는 점에서 현역이나 신인 등이 모두 경선에 나와 경쟁을 해야 한다는 점에서 권리당원 확보에 사활이 걸린 것이다.
내년 지방선거 출마를 타진하고 있는 출마 예정자들은 권리당원 확보를 위한 물밑 경쟁을 벌이면서 지역 조직을 총동원해 입당 원서 확보에 열을 올리고 있다.
현역 자치단체장과 기초·광역의원들은 그간 다져놓은 조직력과 인맥을 활용할 수 있어 비교적 우위를 점하고 있는 반면 신인인 도전자는 불리한 여건 극복을 위해 권리당원 확보에 목을 메고있다.
권리당원 명단이 후보자에게 제공되지 않기 때문에, 자신이 직접 가입시킨 당원이 당내 경선에서 사실상 자신을 위한 ‘확실한 표’가 된다는 점에서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시·도당에 몰리는 신규 당원 신청서가 중복되는 부작용도 상당수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기존 당원의 경우 이미 입력된 주소지가 다를 경우 반려가 되기도 하고, 입당 신청서에 필체가 다른 경우에도 무더기로 반려되고 있다.
개인 신상 정보와 주소지 등의 수기란에 적힌 필체가 다른 경우까지 모두 받아주면 한 주소지 기준 4명까지 입당을 허용하고 있는 상황에서 한 주소지에 수십명의 당원이 접수되고 있는 부작용을 막기 위한 것이다
최근 ‘밀실 쪽지 투표’ 논란으로 물의를 빚어 민주당 광주시당 윤리심판원에 무더기로 회부된 광주시의회 시의원 10명도 권리당원 확보를 위해 더 열을 올리고 있다는 이야기 까지 나오고 있다.
더불어민주당 광주시당 관계자는 “내년 지방선거 경선에서 당심(黨心)비중이 높아질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는 점에서 입당 신청이 잇따르고 있다”면서 “당원모집 경쟁이 과열되지 않도록 공정하고 객관적인 절차를 진행 할 것”이라고 말했다.
/정병호 기자 jusbh@kwangju.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