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서 홍수 발생하면 주민 13만6천명 재해위험에 노출
전남연구원 ‘홍수 위험 특성 분석’ 보고서 발간…고령자 많아 대책 마련 시급
나주·담양·구례 등 100년 빈도 확률 강우량 초과하는 ‘극한 호우’로 피해 극심
나주·담양·구례 등 100년 빈도 확률 강우량 초과하는 ‘극한 호우’로 피해 극심
![]() |
전남지역에서 홍수가 발생하면 주민 13만6000명이 재해 위험에 노출될 것으로 분석됐다.
특히 홍수 위험지역 거주 인구 가운데 65세 이상 고령자는 3만8000여명에 달하는 것으로 분석돼 대책 마련이 시급한 것으로 지적됐다.
4일 전남연구원이 발간한 ‘전남의 홍수 위험 특성 분석 및 정책 방향’ 보고서에서 유인상 부연구위원은 이같은 분석결과를 제시했다. 이는 환경부의 홍수위험지도와 지리정보시스템, 침수흔적도 등 데이터를 활용해 100년 빈도 홍수 발생 시 잠재적으로 홍수 피해가 예측되는 지역 주민을 추정한 것이다.
분석결과 100년 빈도 홍수 발생 시 잠재적으로 홍수 피해가 예측되는 지역 주민은 13만6000명으로 집계했다. 전남도 전체 인구의 7.6%에 해당하는 수치로, 순천이 2만 4000명(18%)으로 가장 많았고, 여수 2만 2000명(17%), 나주 1만 2000명(9%) 순이었다.
홍수 위험 지역 거주 인구 중 65세 이상 고령인구는 3만 8000명으로 집계됐다. 전남 시·군별 홍수 위험 지역 거주 인구 대비 고령인구 비율은 평균 30%로 영광, 강진, 고흥, 보성, 구례, 해남, 목포 등 9개 지역의 경우 최대 35%로 높았다.
실제 최근 전남지역에는 100년 빈도 확률 강우량을 초과하는 극한 호우가 내리면서 대규모 홍수 피해가 발생하고 있다.
올해 나주와 담양에는 각각 200년 빈도(394㎜, 333㎜)를 초과하는 418㎜, 381㎜ 의 비가 하루 동안 내렸다. 함평에도 100년 빈도(338㎜)를 넘어선 384㎜ 극한호우가 내리면서 주거지와 상가, 농작물, 가축 피해가 속출했다. 5년 전인 2020년 구례와 담양지역의 호우도 200년 빈도를 초과하면서 큰 피해를 낳았다. 전남에서는 최근 10년 간 전국에서 두번째로 많은 419차례 호우 특보가 발효되기도 했다.
잦은 호우 특보만큼 피해액도 많았다. 최근 10년간 전남지역 자연피해의 70% 이상은 호우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다. 2014년부터 2023년까지 자연피해 4218억원 중 77%(3284억원)가 호우 때문이었다. 특히 최근 5년간(2019~2023년)의 호우피해가 최근 10년 자연피해액의 96%를 차지한 것으로 조사됐다.
피해가 가장 큰 곳은 담양군(505억원)으로 뒤이어 구례군(418억원), 곡성군(295억원), 장성군(248억원), 해남군(156억 원) 순으로 많았다. 이들 지역은 영산강, 섬진강, 황룡강 본류, 해안과 가까워 피해가 컷던 것으로 분석됐다.
유 부연구위원은 “예측하기 어려운 극한호우와 이로인한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전남 고유 데이터를 활용한 지역 맞춤형 홍수 리스크 평가 및 재난관리 통합 플랫폼 구축이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전남이 보유한 정책 기반의 홍수 관련 상세 자료와 중앙정부의 과학 기반 홍수 수치모델링 자료를 종합적으로 활용해 ‘홍수 리스크 지도’를 작성하고 활용하자는 것이다.
‘재난관리 통합 플랫폼’을 개발해 문서 중심의 자료를 전산화하고, 법정 계획 산출물과 홍수 리스크 지도를 과학적으로 관리해야 한다고도 덧붙였다.
고령자, 장애인, 독거노인, 저소득층 등 재난 취약계층 대상 ‘재난 취약계층 사전 등록제’를 시행하고 거동 가능 여부와 대피소 접근성 등을 고려해 대피 지원 전담 요원을 지정하고 세대별 맞춤형 대피계획도 절실한 것으로 지적됐다.
유 부연구위원은 “상습 침수 지역의 지하·반지하·노후 건축물 대상 방수판, 역류방지 밸브, 소형 자동 배수펌프 설치 등을 지원하고 장비에 대한 주기적 점검 및 사용 방법 교육도 동반되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민석 기자 mskim@kwangju.co.kr
특히 홍수 위험지역 거주 인구 가운데 65세 이상 고령자는 3만8000여명에 달하는 것으로 분석돼 대책 마련이 시급한 것으로 지적됐다.
4일 전남연구원이 발간한 ‘전남의 홍수 위험 특성 분석 및 정책 방향’ 보고서에서 유인상 부연구위원은 이같은 분석결과를 제시했다. 이는 환경부의 홍수위험지도와 지리정보시스템, 침수흔적도 등 데이터를 활용해 100년 빈도 홍수 발생 시 잠재적으로 홍수 피해가 예측되는 지역 주민을 추정한 것이다.
홍수 위험 지역 거주 인구 중 65세 이상 고령인구는 3만 8000명으로 집계됐다. 전남 시·군별 홍수 위험 지역 거주 인구 대비 고령인구 비율은 평균 30%로 영광, 강진, 고흥, 보성, 구례, 해남, 목포 등 9개 지역의 경우 최대 35%로 높았다.
![]() |
올해 나주와 담양에는 각각 200년 빈도(394㎜, 333㎜)를 초과하는 418㎜, 381㎜ 의 비가 하루 동안 내렸다. 함평에도 100년 빈도(338㎜)를 넘어선 384㎜ 극한호우가 내리면서 주거지와 상가, 농작물, 가축 피해가 속출했다. 5년 전인 2020년 구례와 담양지역의 호우도 200년 빈도를 초과하면서 큰 피해를 낳았다. 전남에서는 최근 10년 간 전국에서 두번째로 많은 419차례 호우 특보가 발효되기도 했다.
잦은 호우 특보만큼 피해액도 많았다. 최근 10년간 전남지역 자연피해의 70% 이상은 호우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다. 2014년부터 2023년까지 자연피해 4218억원 중 77%(3284억원)가 호우 때문이었다. 특히 최근 5년간(2019~2023년)의 호우피해가 최근 10년 자연피해액의 96%를 차지한 것으로 조사됐다.
피해가 가장 큰 곳은 담양군(505억원)으로 뒤이어 구례군(418억원), 곡성군(295억원), 장성군(248억원), 해남군(156억 원) 순으로 많았다. 이들 지역은 영산강, 섬진강, 황룡강 본류, 해안과 가까워 피해가 컷던 것으로 분석됐다.
유 부연구위원은 “예측하기 어려운 극한호우와 이로인한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전남 고유 데이터를 활용한 지역 맞춤형 홍수 리스크 평가 및 재난관리 통합 플랫폼 구축이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전남이 보유한 정책 기반의 홍수 관련 상세 자료와 중앙정부의 과학 기반 홍수 수치모델링 자료를 종합적으로 활용해 ‘홍수 리스크 지도’를 작성하고 활용하자는 것이다.
‘재난관리 통합 플랫폼’을 개발해 문서 중심의 자료를 전산화하고, 법정 계획 산출물과 홍수 리스크 지도를 과학적으로 관리해야 한다고도 덧붙였다.
고령자, 장애인, 독거노인, 저소득층 등 재난 취약계층 대상 ‘재난 취약계층 사전 등록제’를 시행하고 거동 가능 여부와 대피소 접근성 등을 고려해 대피 지원 전담 요원을 지정하고 세대별 맞춤형 대피계획도 절실한 것으로 지적됐다.
유 부연구위원은 “상습 침수 지역의 지하·반지하·노후 건축물 대상 방수판, 역류방지 밸브, 소형 자동 배수펌프 설치 등을 지원하고 장비에 대한 주기적 점검 및 사용 방법 교육도 동반되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민석 기자 mskim@kwangju.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