李, 시도지사 첫 간담회…광주, 군공항·전남, 특별재난지역 건의
강기정 시장 “AI 중심도시 사업·군사시설 이전 ‘2+4 현안’”
김영록 지사 “여수·광양항, 북극항로 거점항만 육성” 요청
김영록 지사 “여수·광양항, 북극항로 거점항만 육성” 요청
![]() /시도지사 간담회 대통령실 제공 |
강기정 광주시장과 김영록 전남도지사가 지난 1일 이재명 대통령을 만나 지역현안에 대한 지원을 요청했다.
광주시는 AI중심도시 조성을 포함한 주요 현안을 전남도는 집중 호우 피해지역의 특별재난지역 추가 지정, 북극항로 거점항만 육성을 위한 국가지원 강화를 건의했다.
3일 광주시와 전남도에 따르면 지난 1일 이재명 대통령 주재로 대통령실에서 ‘시도지사 간담회’가 열렸다. 강 시장, 김영록 전남지사 등 17개 시도지사, 김민석 국무총리, 김경수 지방시대위원장, 윤호중 행정안전부 장관 등 20여명이 참석했다.
이날 간담회는 이재명 정부 출범 이후 열린 첫 현장 간담회로 지방분권 및 국가균형발전과 자연재난 대응과 민생회복 소비쿠폰의 원활한 지급·사용 등에 대한 논의가 진행됐다.
강 시장은 광주시의 시급한 현안(‘2+4 현안’)을 구체적으로 전달했다. 2가지 현안은 광주의 미래 먹거리를 위한 AI중심도시 조성 사업으로, AI 2단계 사업 예비타당성조사 면제, 국가AI컴퓨팅센터 신속 공모 등이다.
강 시장은 “광주는 연간 4000여명에 달하는 인공지능(AI)·반도체 인재를 육성하고 있고, 인재양성을 기반으로 299개 인공지능(AI)기업과 협약을 체결해 158개 기업이 광주에 사무실을 개소해 637명이 근무 중이며, 이 규모는 점차 늘어날 것”이라면서 “광주는 여기에 머무르지 않고 시민 누구나 인공지능(AI)을 일상에서 체감할 수 있도록 도시생활 실증 사업 등을 포함한 6000억원 규모의 인공지능(AI) 2단계 사업을 기재부와 마무리 협의 중에 있으며, 조속한 예타 면제 확정이 절실하다”고 건의했다.
이어 “국가AI데이터센터를 통해 현재 900여개 기업이 2000여건의 과제를 수행하고 있는데, 속도와 집적이 가장 중요한 AI 산업의 특성을 고려해 현 집적단지 인근에 국가AI컴퓨팅센터 유치를 준비하고 있다”며 “지난 6월 유찰된 국가AI컴퓨팅센터 공모사업도 신속히 추진해 달라”고 요청했다.
추가로 건의한 4가지 현안은 광주 군공항 이전 사업으로 광주군공항, 마륵동 탄약고, 평동 포사격장, 무등산방공포대 등 군사시설 이전 현안 4개다.
강 시장은 또 집중호우로 인한 시민 피해가 큰 만큼 특별재난지역 선포와 상습침수지역 개선사업 등 정부의 다각적인 지원을 요구하고 다음달 3일 개최 예정인 ‘광주2025세계양궁선수권대회’ 오프닝 쇼에 이 대통령 참석을 건의했다.
김영록 전남도지사는 최근 집중 호우로 전남지역에 큰 피해가 발생한 만큼 재난대응과 피해복구 지원을 논의하고 여수·광양항을 북극항로 거점항만으로 육성해달라고 요청했다.
김영록 지사는 “최근 집중호우로 큰 피해를 입은 나주와 전남지역 9개 읍면도 신속히 특별재난지역으로 추가 지정해 줄 것을 요청한다”며 “올해부터 국고 지원 피해 기준액이 대폭 상향돼 많은 피해 지역이 국고 지원에서 제외되고 있다”고 밝히면서 피해액이 10억원 이상인 시·군에 대해서도 국비를 지원해줄 것을 강력히 건의했다.
김 지사는 재해보험 제도의 개선 필요성도 제시했다. 김 지사는 “집중호우, 폭염 등 자연재해 피해가 반복되는 상황에서 농어가의 유일한 보호장치인 농어업재해보험 제도 개선이 시급하다”며 “현재 50%까지 과도하게 부과되는 보험금 할증률을 30% 이내로 완화해달라”고 이 대통령에게 건의했다.
김 지사는 최근 이재명 정부가 중점 추진하기로 한 북극항로 개척과 관련해 여수·광양항을 북극항로 거점항만으로 중점 육성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냈다.
김영록 지사는 “북극항로를 이용하는 화물의 99%가 원유·LNG 등 비컨테이너 화물인데, 여수·광양항은 이러한 비컨테이너 화물 운송에 특화된 항만이어서 산업적으로 밀접하게 연계돼 있다”며 “독보적 경쟁력을 갖춘 여수·광양항을 북극항로 거점항만으로 국가 차원에서 육성할 것”을 요청했다.
/정병호 기자 jusbh@kwangju.co.kr
/김민석 기자 mskim@kwangju.co.kr
광주시는 AI중심도시 조성을 포함한 주요 현안을 전남도는 집중 호우 피해지역의 특별재난지역 추가 지정, 북극항로 거점항만 육성을 위한 국가지원 강화를 건의했다.
3일 광주시와 전남도에 따르면 지난 1일 이재명 대통령 주재로 대통령실에서 ‘시도지사 간담회’가 열렸다. 강 시장, 김영록 전남지사 등 17개 시도지사, 김민석 국무총리, 김경수 지방시대위원장, 윤호중 행정안전부 장관 등 20여명이 참석했다.
강 시장은 광주시의 시급한 현안(‘2+4 현안’)을 구체적으로 전달했다. 2가지 현안은 광주의 미래 먹거리를 위한 AI중심도시 조성 사업으로, AI 2단계 사업 예비타당성조사 면제, 국가AI컴퓨팅센터 신속 공모 등이다.
이어 “국가AI데이터센터를 통해 현재 900여개 기업이 2000여건의 과제를 수행하고 있는데, 속도와 집적이 가장 중요한 AI 산업의 특성을 고려해 현 집적단지 인근에 국가AI컴퓨팅센터 유치를 준비하고 있다”며 “지난 6월 유찰된 국가AI컴퓨팅센터 공모사업도 신속히 추진해 달라”고 요청했다.
추가로 건의한 4가지 현안은 광주 군공항 이전 사업으로 광주군공항, 마륵동 탄약고, 평동 포사격장, 무등산방공포대 등 군사시설 이전 현안 4개다.
강 시장은 또 집중호우로 인한 시민 피해가 큰 만큼 특별재난지역 선포와 상습침수지역 개선사업 등 정부의 다각적인 지원을 요구하고 다음달 3일 개최 예정인 ‘광주2025세계양궁선수권대회’ 오프닝 쇼에 이 대통령 참석을 건의했다.
김영록 전남도지사는 최근 집중 호우로 전남지역에 큰 피해가 발생한 만큼 재난대응과 피해복구 지원을 논의하고 여수·광양항을 북극항로 거점항만으로 육성해달라고 요청했다.
김영록 지사는 “최근 집중호우로 큰 피해를 입은 나주와 전남지역 9개 읍면도 신속히 특별재난지역으로 추가 지정해 줄 것을 요청한다”며 “올해부터 국고 지원 피해 기준액이 대폭 상향돼 많은 피해 지역이 국고 지원에서 제외되고 있다”고 밝히면서 피해액이 10억원 이상인 시·군에 대해서도 국비를 지원해줄 것을 강력히 건의했다.
김 지사는 재해보험 제도의 개선 필요성도 제시했다. 김 지사는 “집중호우, 폭염 등 자연재해 피해가 반복되는 상황에서 농어가의 유일한 보호장치인 농어업재해보험 제도 개선이 시급하다”며 “현재 50%까지 과도하게 부과되는 보험금 할증률을 30% 이내로 완화해달라”고 이 대통령에게 건의했다.
김 지사는 최근 이재명 정부가 중점 추진하기로 한 북극항로 개척과 관련해 여수·광양항을 북극항로 거점항만으로 중점 육성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냈다.
김영록 지사는 “북극항로를 이용하는 화물의 99%가 원유·LNG 등 비컨테이너 화물인데, 여수·광양항은 이러한 비컨테이너 화물 운송에 특화된 항만이어서 산업적으로 밀접하게 연계돼 있다”며 “독보적 경쟁력을 갖춘 여수·광양항을 북극항로 거점항만으로 국가 차원에서 육성할 것”을 요청했다.
/정병호 기자 jusbh@kwangju.co.kr
/김민석 기자 mskim@kwangju.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