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도, 첫 수소 국제 포럼 개최…수소산업 발전 방안 모색
국내외 전문가 등 300여 명 참석
여수·광양 수소 배관망 구축 협약도
여수·광양 수소 배관망 구축 협약도
![]() 김영록 전남지사가 4일 광양 성황스포츠센터 다목적실에서 열린 ‘제1회 전남 청정수소 국제포럼’에서 주요 참석자들과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전남도 제공> |
전남도가 처음으로 수소 에너지와 관련 이탈리아, 일본 등의 전문가가 참석하는 국제 포럼을 개최하며 전남의 잠재력을 확인했다.
이날 전남도가 주도해 여수·순천·광양, 여수산단 기업 및 한국남동·동서·서부발전 3개사 등 16개 기관이 ‘여수·광양 청정수소 배관망 구축 업무협약’도 체결해 눈길을 끌었다.
전남도는 4일 광양 성황스포츠센터에서 제1회 전남 청정수소 국제포럼을 열어 국내외 전문가들과 함께 탄소중립과 에너지 대전환 시대, 전남이 글로벌 수소경제 메카로 우뚝 서기 위한 수소산업 발전 방안을 모색했다.
포럼은 전남도와 여수·순천·광양 행정협의회가 공동 주최해 김영록 전남지사, 정인화 광양시장, 정기명 여수시장, 에너지기업·연구기관·학계 관계자, 대학생, 지역주민 등 300여 명이 참석했다.
‘수소로 여는 미래, 에너지 수도 전남’을 주제로 진행된 이날 포럼에선 문재도 (사)에너지밸리포럼이 ‘국내 수소 정책 및 전망’ 기조연설을 했다. 이어 이탈리아 안젤로모레노 H2IT 이사와 일본 요스케 후지이 NEDO 책임연구원이 각각 ‘이탈리아 수소정책 및 유럽 수소 운송 인프라 구축 프로젝트 현황’, ‘일본 수소기본전략 추진현황 및 한-일 협력방안’을 주제로 발표했다.
발표 후 한종희 한국에너지공대 석좌교수가 좌장을 맡아 ‘수소로 여는 미래, 에너지수도 전남’을 주제로 패널토론을 했다.
김영록 지사는 “광양만권 화학·철강 중심 국가산단을 그린산단으로 탈바꿈하고, 동·서부권에 조성 중인 대규모 해상풍력단지와 연계해 청정수소 생산·발전단지를 조성해 전국 최초 청정수소 공급 배관망을 설치하겠다”며 전남을 글로벌 수소경제 메카로 육성하겠다는 비전을 밝혔다.
‘전남 청정수소 국제포럼’은 2024년 전남도 신규시책으로 올해 광양시를 시작으로, 2025년 순천시, 2026년 여수시에서 개최될 예정이다.
/윤현석 기자 chadol@kwangju.co.kr
이날 전남도가 주도해 여수·순천·광양, 여수산단 기업 및 한국남동·동서·서부발전 3개사 등 16개 기관이 ‘여수·광양 청정수소 배관망 구축 업무협약’도 체결해 눈길을 끌었다.
포럼은 전남도와 여수·순천·광양 행정협의회가 공동 주최해 김영록 전남지사, 정인화 광양시장, 정기명 여수시장, 에너지기업·연구기관·학계 관계자, 대학생, 지역주민 등 300여 명이 참석했다.
‘수소로 여는 미래, 에너지 수도 전남’을 주제로 진행된 이날 포럼에선 문재도 (사)에너지밸리포럼이 ‘국내 수소 정책 및 전망’ 기조연설을 했다. 이어 이탈리아 안젤로모레노 H2IT 이사와 일본 요스케 후지이 NEDO 책임연구원이 각각 ‘이탈리아 수소정책 및 유럽 수소 운송 인프라 구축 프로젝트 현황’, ‘일본 수소기본전략 추진현황 및 한-일 협력방안’을 주제로 발표했다.
김영록 지사는 “광양만권 화학·철강 중심 국가산단을 그린산단으로 탈바꿈하고, 동·서부권에 조성 중인 대규모 해상풍력단지와 연계해 청정수소 생산·발전단지를 조성해 전국 최초 청정수소 공급 배관망을 설치하겠다”며 전남을 글로벌 수소경제 메카로 육성하겠다는 비전을 밝혔다.
‘전남 청정수소 국제포럼’은 2024년 전남도 신규시책으로 올해 광양시를 시작으로, 2025년 순천시, 2026년 여수시에서 개최될 예정이다.
/윤현석 기자 chadol@kwangju.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