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빛원전 수명 연장 ‘급할수록 돌아가라’
영광 한빛원전 1·2호기의 수명 연장은 지역 사회의 현안 가운데 하나다. 한빛원전 1호기는 2025년 12월, 2호기는 2026년 9월에 설계수명(40년)이 만료된다. 이에 따라 원전 관리 주체인 한국수력원자력(한수원)은 수명 연장을 위해 주민 공청회를 진행하고 있다.
지난 7월 1차 공청회는 지역민과 환경단체의 반대로 무산됐고 2차 공청회는 그제 영광에서 우여곡절 끝에 열렸다. 하지만 폐쇄적인 운영과 형식적인 답변 등으로 주민들과 소통이 부족한 일방통행식 공청회란 비판을 받고 있다.
가장 큰 문제는 주민이 요청한 전문가를 공청회에 참석시키기로 영광군과 합의했는데도 이를 지키지 않은 점이다. 장소가 좁다는 이유로 환경단체와 타 지역 주민의 입장을 막은 것도 스스로 소통을 차단했다는 비판에서 자유롭지 못한 점이다. 환경단체들은 공청회 사회자와 좌장 선정에 있어 주민과 최소한의 논의조차 하지 않았다고 비판하고 있는데 이런 비판을 자초한 측면도 있다.
공청회에 참석한 주민들 사이에서도 비판이 쏟아졌다. 주민들이 가장 민감하게 생각하는 방사선 영향평가에 대한 설명이 너무 어려웠고 ‘질문이 너무 많다’는 이유로 질문권이 묵살당했다는 하소연이 나온 점도 한수원측이 새겨야 한다. 1차 수명 연장을 위한 공청회 자리에서 한수원 간부가 개인적인 의견을 전제로 2차 수명 연장 발언을 한 것은 주민들의 불안감을 자극했다.
한빛원전 수명 연장은 현 정부의 원전 강화 정책에 따른 것이다. 원전 수명 연장은 안전성에 대한 담보 없이는 불가능하다. 한수원은 수명 연장에 대해 불안해 하는 주민들을 상대로 공청회를 개최하는 목적이 어디에 있는지 되새겨 보아야 한다. ‘급할수록 돌아가라’는 말처럼 시간을 가지고 주민들의 불안감을 불식시키는 노력이 우선일 것이다.
지난 7월 1차 공청회는 지역민과 환경단체의 반대로 무산됐고 2차 공청회는 그제 영광에서 우여곡절 끝에 열렸다. 하지만 폐쇄적인 운영과 형식적인 답변 등으로 주민들과 소통이 부족한 일방통행식 공청회란 비판을 받고 있다.
한빛원전 수명 연장은 현 정부의 원전 강화 정책에 따른 것이다. 원전 수명 연장은 안전성에 대한 담보 없이는 불가능하다. 한수원은 수명 연장에 대해 불안해 하는 주민들을 상대로 공청회를 개최하는 목적이 어디에 있는지 되새겨 보아야 한다. ‘급할수록 돌아가라’는 말처럼 시간을 가지고 주민들의 불안감을 불식시키는 노력이 우선일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