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라질, 너 잘 만났다”
태극전사 내일 새벽 ‘세계 최강’ 브라질과 16강 대결
손흥민·이강인·조규성·황희찬 ‘행복한 반란’ 꿈꿔
손흥민·이강인·조규성·황희찬 ‘행복한 반란’ 꿈꿔
![]() 3일 오전(한국시간) 카타르 알라이얀의 에듀케이션 시티 스타디움에서 열린 ‘2022 카타르 월드컵’ 조별리그 H조 3차전 대한민국과 포르투갈 경기에서 2-1로 승리, 16강 진출에 성공한 한국 대표팀 선수들이 세리머니를 하고 있다. /연합뉴스 |
대한민국 축구대표팀이 사상 최초로 월드컵 원정 8강 신화에 도전한다.
파울루 벤투 감독이 이끄는 한국 축구대표팀이 6일 새벽 4시 카타르 도하의 974 스타디움에서 브라질과 2022 국제축구연맹(FIFA) 카타르 월드컵 16강전을 치른다.
한국은 3일 포르투갈과의 대회 조별리그 H조 마지막 3차전에서 후반 46분 터진 황희찬(울버햄프턴)의 극적인 결승 골로 2-1 역전승을 거두고 16강에 진출했다.
나란히 1승 1무 1패(승점 4)를 기록한 우루과이와 골 득실 차까지 같았지만, 다득점에서 앞선 우리나라가 포르투갈(2승 1패)에 이은 조 2위로 16강에 오르는 기적을 만들었다. 우리나라가 월드컵에서 16강에 오른 것은 2010년 남아프리카공화국 대회 이후 12년 만이자 4강 신화를 쓴 2002년 한일 대회를 포함해 통산 세 번째다.
한국은 애초 목표였던 16강 진출을 달성해 분위기가 욱일승천(旭日昇天)이다.
8강 상대 브라질도 해볼만하다는 결기가 매섭다. 세계 데이터 업계가 전망한 16강 진출 확률(11%)이 숫자에 불과하다는 것을 현실로 입증했다.
팬들은 이제 2002년 월드컵 4강에 오른 대한민국의 저력을 떠올리며 행복한 반란을 꿈꾸고 있다.
캡틴 손흥민이 경기 감각을 최고조로 끌어올리고 있다는 점은 긍정적이다. 손흥민은 전력 질주로 조별리그 최종전에서 포르투갈 우측 공간을 파고들어 수비진 6명을 따돌리고 골에 버금가는 도움을 황희찬에게 연결, 컨디션 회복을 알렸다. 이강인의 왼발이 여전히 매섭고 위기 때마다 골을 터트린 황희찬과 조규성의 골감각도 최상이다.
한국이 브라질을 꺾으면 사상 처음으로 원정 월드컵 8강 진출의 대업을 이룬다.
하지만, 월드컵 최다 5회 우승 기록을 보유한 브라질은 자타공인 ‘세계 최강’이다.
현재 국제축구연맹(FIFA) 랭킹 1위에 올라있다. 한국(28위)보다 27계단 높다.
한국은 그동안 브라질과 7차례 A매치를 치러 딱 한 번 이겼다.
1999년 3월 잠실종합운동장에서 치러진 3번째 대결에서 김도훈 전 울산 감독의 결승골로 1-0으로 승리했다.
나머지 6경기에서는 한국이 다 졌다. 특히 최근 3차례 대결에서 모두 2점 이상의 격차로 패했다.
최근인 올해 6월 서울월드컵경기장에서 치른 맞대결에서는 1-5로 대패했다.
다만, 그동안 성적은 월드컵 매치가 아니라 평가전이다.
브라질 치치 감독도 “(지난 6월) 친선 경기 때와는 많은 변화가 있다고 알고 있다”며 긴장감을 늦추지 않고 있다.
브라질은 현재 최강 전력이 아니라는 점은 대한민국에 호재다. 카메룬과 최종전에서 1.5군으로 경기를 치러야 했다. 16강 진출을 확정한 탓도 있지만 주전들의 부상이 심상치 않다.
알렉스 텔리스(세비야)와 가브리에우 제주스(아스널)가 오른쪽 무릎 부상으로 출장이 불가능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네이마르(파리 생제르맹)가 세르비아와 1차전을 치르다 오른쪽 발목을 다쳐 예선 두 경기에 출전하지 못했고, 다닐루와 알렉스 산드루(이상 유벤투스)도 각각 발목, 엉덩이 근육을 다쳐 카메룬전에 결장했다.
세계 축구계는 한국과 브라질의 대결은 다윗과 골리앗의 싸움으로 본다. 조별 예선에서 기적의 주인공으로 세계의 주목을 받은 태극전사가 어떤 결과를 만들어낼지 다시 한번 이목이 쏠리고 있다.
/윤영기 기자 penfoot@kwangju.co.kr
파울루 벤투 감독이 이끄는 한국 축구대표팀이 6일 새벽 4시 카타르 도하의 974 스타디움에서 브라질과 2022 국제축구연맹(FIFA) 카타르 월드컵 16강전을 치른다.
한국은 3일 포르투갈과의 대회 조별리그 H조 마지막 3차전에서 후반 46분 터진 황희찬(울버햄프턴)의 극적인 결승 골로 2-1 역전승을 거두고 16강에 진출했다.
한국은 애초 목표였던 16강 진출을 달성해 분위기가 욱일승천(旭日昇天)이다.
8강 상대 브라질도 해볼만하다는 결기가 매섭다. 세계 데이터 업계가 전망한 16강 진출 확률(11%)이 숫자에 불과하다는 것을 현실로 입증했다.
캡틴 손흥민이 경기 감각을 최고조로 끌어올리고 있다는 점은 긍정적이다. 손흥민은 전력 질주로 조별리그 최종전에서 포르투갈 우측 공간을 파고들어 수비진 6명을 따돌리고 골에 버금가는 도움을 황희찬에게 연결, 컨디션 회복을 알렸다. 이강인의 왼발이 여전히 매섭고 위기 때마다 골을 터트린 황희찬과 조규성의 골감각도 최상이다.
한국이 브라질을 꺾으면 사상 처음으로 원정 월드컵 8강 진출의 대업을 이룬다.
하지만, 월드컵 최다 5회 우승 기록을 보유한 브라질은 자타공인 ‘세계 최강’이다.
현재 국제축구연맹(FIFA) 랭킹 1위에 올라있다. 한국(28위)보다 27계단 높다.
한국은 그동안 브라질과 7차례 A매치를 치러 딱 한 번 이겼다.
1999년 3월 잠실종합운동장에서 치러진 3번째 대결에서 김도훈 전 울산 감독의 결승골로 1-0으로 승리했다.
나머지 6경기에서는 한국이 다 졌다. 특히 최근 3차례 대결에서 모두 2점 이상의 격차로 패했다.
최근인 올해 6월 서울월드컵경기장에서 치른 맞대결에서는 1-5로 대패했다.
다만, 그동안 성적은 월드컵 매치가 아니라 평가전이다.
브라질 치치 감독도 “(지난 6월) 친선 경기 때와는 많은 변화가 있다고 알고 있다”며 긴장감을 늦추지 않고 있다.
브라질은 현재 최강 전력이 아니라는 점은 대한민국에 호재다. 카메룬과 최종전에서 1.5군으로 경기를 치러야 했다. 16강 진출을 확정한 탓도 있지만 주전들의 부상이 심상치 않다.
알렉스 텔리스(세비야)와 가브리에우 제주스(아스널)가 오른쪽 무릎 부상으로 출장이 불가능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네이마르(파리 생제르맹)가 세르비아와 1차전을 치르다 오른쪽 발목을 다쳐 예선 두 경기에 출전하지 못했고, 다닐루와 알렉스 산드루(이상 유벤투스)도 각각 발목, 엉덩이 근육을 다쳐 카메룬전에 결장했다.
세계 축구계는 한국과 브라질의 대결은 다윗과 골리앗의 싸움으로 본다. 조별 예선에서 기적의 주인공으로 세계의 주목을 받은 태극전사가 어떤 결과를 만들어낼지 다시 한번 이목이 쏠리고 있다.
/윤영기 기자 penfoot@kwangju.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