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산시 빈집 실태 전수조사 맞춤형 정비
![]() |
군산시가 장기간 방치돼 사회 문제를 야기하는 빈집을 모두 조사한 뒤 상태와 용도에 맞게 재활용하기로 했다.
군산시와 한국국토정보공사(LX)는 도시 전역의 빈집을 유형별로 정리한 후 안전상태 등을 고려한 맞춤형 정비를 한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이달부터 8월까지 빈집 실태조사를 한 뒤 이를 바탕으로 내년 2월까지 정비계획을 수립해 빈집을 활용한 주거지 재생을 본격화할 방침이다.
실태조사는 최근 1년간 에너지 사용이 없어 빈집으로 추정되는 주택을 추출한 뒤 사전 조사와 현장 조사, 등급산정조사 등으로 나눠 추진된다.
이후 주택의 관리현황과 건물 안전상태 등을 따지고 빈집 소유자나 이해관계자 등과 협의를 거쳐 등급별 빈집 정비계획을 수립할 예정이다.
특히 노후도 및 불량상태에 따라 1∼4등급으로 분류한 뒤 붕괴 위험이 있는 3, 4등급 빈집에 대한 연차별 정비 및 관리 계획을 마련할 방침이다.
시는 지속적으로 빈집정비사업을 추진해 지난해까지 2000여동을 정비했으며, 올해도 5억2900만원을 투입해 140여동을 정비할 계획이다.
/군산=박금석 기자 nogusu@kwangju.co.kr
군산시와 한국국토정보공사(LX)는 도시 전역의 빈집을 유형별로 정리한 후 안전상태 등을 고려한 맞춤형 정비를 한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이달부터 8월까지 빈집 실태조사를 한 뒤 이를 바탕으로 내년 2월까지 정비계획을 수립해 빈집을 활용한 주거지 재생을 본격화할 방침이다.
이후 주택의 관리현황과 건물 안전상태 등을 따지고 빈집 소유자나 이해관계자 등과 협의를 거쳐 등급별 빈집 정비계획을 수립할 예정이다.
특히 노후도 및 불량상태에 따라 1∼4등급으로 분류한 뒤 붕괴 위험이 있는 3, 4등급 빈집에 대한 연차별 정비 및 관리 계획을 마련할 방침이다.
시는 지속적으로 빈집정비사업을 추진해 지난해까지 2000여동을 정비했으며, 올해도 5억2900만원을 투입해 140여동을 정비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