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학 무장기포지 사적 지정, 기념공간도 마련돼야”
고창서 동학농민혁명 학술대회
당시 사용 칼 패널 제작·전시도
당시 사용 칼 패널 제작·전시도
![]() 지난 10일 고창 동리국악당에서 열린 ‘제17회 동학농민혁명 학술대회’에서 동학농민혁명 당시 사용된 것으로 추정되는 조선후기 ‘칼’이 전시돼 눈길을 끌었다. <고창군 제공> |
동학농민혁명을 전국적인 ‘반봉건 반외세’ 투쟁으로 승화시킨 고창군 무장기포지가 사적지로 지정돼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고창군은 ㈔호남사회연구회와 함께 지난 10일 고창 동리국악당에서 ‘제17회 동학농민혁명 학술대회’를 개최했다.
‘고창 무장기포지 사적 지정과 기념공간 조성사업의 방향’을 주제로 열린 이날 학술대회는 역사교과서에 수록된 무장기포지를 사적으로 지정하고, 기념공간 마련의 당위성에 초점이 맞춰졌다.
이동희 전주역사박물관장(예원대 교수)은 ‘19세기 후반 무장일대의 지역정세와 무장기포의 역사적 의미’를 주제로 발표했다.
이 관장은 “동학지도자 전봉준이 고창 출신이었기에 고창에 협력기반이 많았고, 호남지역에서 가장 세력이 컸던 무장 손화중포의 인적·물적 동원능력에 착안해 대접주를 찾아와 피신하며 봉기를 준비했다”며 고창에서 대규모 농민봉기가 이뤄질 수 있었던 배경을 설명했다.
이어 이진주 현대문화재연구원장이 ‘조선후기 무장기포지 및 전봉준 생가터 일대의 지형연구’, 조법종 우석대 교수는 ‘무장기포지의 범위와 기포공간에 대한 연구’를 발표하며 힘을 보탰다.
김해곤 섬아트연구소 예술감독은 ‘전봉준 생가터와 무장기포지 기념공간 조성방안’을 주제로 발표했다.
신순철 책임연구원이 좌장을 맡아 무장기포지를 중심으로 한 전문가 토론도 진행됐다.
이날 학술대회에는 무장기포지 일대에서 발견돼 동학농민혁명 당시 사용된 것으로 추정되는 조선후기 칼(刀)에 대한 조사결과를 패널로 제작·전시 눈길을 끌었다.
/고창=김형조 기자 khj@kwangju.co.kr
고창군은 ㈔호남사회연구회와 함께 지난 10일 고창 동리국악당에서 ‘제17회 동학농민혁명 학술대회’를 개최했다.
‘고창 무장기포지 사적 지정과 기념공간 조성사업의 방향’을 주제로 열린 이날 학술대회는 역사교과서에 수록된 무장기포지를 사적으로 지정하고, 기념공간 마련의 당위성에 초점이 맞춰졌다.
이 관장은 “동학지도자 전봉준이 고창 출신이었기에 고창에 협력기반이 많았고, 호남지역에서 가장 세력이 컸던 무장 손화중포의 인적·물적 동원능력에 착안해 대접주를 찾아와 피신하며 봉기를 준비했다”며 고창에서 대규모 농민봉기가 이뤄질 수 있었던 배경을 설명했다.
김해곤 섬아트연구소 예술감독은 ‘전봉준 생가터와 무장기포지 기념공간 조성방안’을 주제로 발표했다.
신순철 책임연구원이 좌장을 맡아 무장기포지를 중심으로 한 전문가 토론도 진행됐다.
이날 학술대회에는 무장기포지 일대에서 발견돼 동학농민혁명 당시 사용된 것으로 추정되는 조선후기 칼(刀)에 대한 조사결과를 패널로 제작·전시 눈길을 끌었다.
/고창=김형조 기자 khj@kwangju.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