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 죽녹원, 지방정원 등록…순천만 이어 두번째
전남도가 담양 죽녹원을 지방정원으로 등록했다.
15일 전남도에 따르면 지난 2015년 7월 순천만정원에 이어 4년여 만에 담양 죽녹원을 두 번째 지방정원 명단에 포함했다. 전국적으로도 순천만국가정원, 울산 태화강국가정원, 경기 세미원에 이어 네 번째다.
담양 죽녹원은 대나무 원림과 시가문화원 등 15ha 면적에 문화정원, 체험식물정원, 역사정원, 누정정원, 전통정원, 5개의 주제별 정원으로 알차게 구성됐다. 2005년 개장 후 연간 140만 명이 다녀가는 명소로 성장했다. 다만 개장 후 15년이 지나 새로운 성장동력을 위한 정원 리뉴얼이 필요하다는 것이 전남도의 판단이다.
지방정원 등록 심사위원들은 “죽녹원은 대나무 숲과 한국전통정원이 어우러져 그 아름다움을 뽐내고 있어 새로운 식물소재 도입과 다양한 연출로 한국전통정원 유형의 국가정원으로까지 발전이 가능한 정원”이라고 호평했다.
이에 전남도와 담양군은 지방정원 등록을 시작으로 오는 2022년까지 200억원을 들여 담양에 조성하는 국립한국정원센터와 함께 대한민국 전통정원 문화를 보존·육성할 수 있는 청정 전남의 ‘블루 투어’ 중심지로 만들어나갈 방침이다.
/윤현석 기자 chadol@kwangju.co.kr
15일 전남도에 따르면 지난 2015년 7월 순천만정원에 이어 4년여 만에 담양 죽녹원을 두 번째 지방정원 명단에 포함했다. 전국적으로도 순천만국가정원, 울산 태화강국가정원, 경기 세미원에 이어 네 번째다.
담양 죽녹원은 대나무 원림과 시가문화원 등 15ha 면적에 문화정원, 체험식물정원, 역사정원, 누정정원, 전통정원, 5개의 주제별 정원으로 알차게 구성됐다. 2005년 개장 후 연간 140만 명이 다녀가는 명소로 성장했다. 다만 개장 후 15년이 지나 새로운 성장동력을 위한 정원 리뉴얼이 필요하다는 것이 전남도의 판단이다.
이에 전남도와 담양군은 지방정원 등록을 시작으로 오는 2022년까지 200억원을 들여 담양에 조성하는 국립한국정원센터와 함께 대한민국 전통정원 문화를 보존·육성할 수 있는 청정 전남의 ‘블루 투어’ 중심지로 만들어나갈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