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중의 지모를 믿었던 세계주의자 최한기
![]() |
혜강(惠岡) 최한기(崔漢綺)는 한국 실학사의 대미를 장식한 존재이다. 그는 1803년에 태어나서 조선 왕국이 근대적 세계로 문을 연 개항이 이루어진 이듬해인 1877년에 세상을 떠났다. 그의 학문은 자기 시대를 대변하듯 개방적 성격을 강렬하게 띠었다.
전 지구가 하나로 소통하는 ‘만국일통’을 고도로 강조하고, 온 누리에 안녕이 깃드는 ‘우내녕정’(宇內寧靖)을 가장 소망한 것이다. 그는 진정한 의미의 세계주의자, 지구촌의 평화를 창도한 사상가다.
혜강의 생애를 알려 주는 자료는 이상할 만큼 찾아보기 어렵다. 근래 요행히 영재 이건창이 쓴 전기적 기록이 발견되었는데 지식으로 향하는 그의 욕구가 대단했음을 흥미롭게 전하고 있다. 그는 개성의 부호 출신으로 서울서 살았다. 거의 광적으로 독서에 심취하여 좋은 책이라면 돈을 아끼지 않고 구입하였으며, 읽고서 충분히 섭취한 다음에는 헐값에 팔아 치우고 새 책을 구입하였다. 이 땅에 들어온 중국 신간은 그의 열람을 거치지 않은 것이 없다 할 정도였다.
누군가 책을 사들이는 데 돈을 너무 많이 쓴다고 탓하자 “책의 저자가 동시대인이라면 나는 그를 천리만리 길이라도 찾아가 만날 것이다. 지금 그런 수고를 들이지 않고 앉아서 만나니 돈이 훨씬 덜 드는 방식 아닌가”라고 대답하였다. 필경에 혜강은 서울 문안의 집을 팔아 성 밖으로 이사해야 했다는 것이다. 그가 이처럼 책을 찾은 이유는 새로운 지식을 담은 서책이 중국에서 간행되어 자꾸 들어오기 때문이었다. 전에 몰랐던 사실이 오늘 드러나고 전에 밝혀지지 않았던 이치가 지금의 책에 적혀 있다. 이에 토로한 말이 있다. “현시대의 책을 목마르게 찾는 심정은 예전의 책을 구하고 싶었던 때보다 배나 더 하다.”
혜강은 자신의 시대를 오랜 어둠 속에 묻혀 있다가 바야흐로 동트는 새벽, 계몽시대로 의식한 것이다. 그의 왕성한 지식 욕구는 당연히 저술로 이어졌다. 저술을 새벽에 떠오르는 태양처럼 생각하였다. 하여 ‘저술공덕’이란 용어를 도입하고 있다. 저술공덕이 햇살이 퍼지듯 세상에 펼쳐져서 그 성과가 이루어지는 과정에 인간이 주체적으로 참여하는 것을 가리켜서 그는 ‘사무공덕’이라고 표현했다. 계몽이성의 효용치가 극대화된 형태가 저술공덕이고, 그 실천 과정이 사무공덕이다. 저술공덕과 사무공덕은 곧 혜강적 실학이다.
그런데 하나 지울 수 없는 의문점이 있다. 19세기라는 시대가 도대체 ‘만국일통이다, 우내녕정이다’를 외칠 상황인가? 당시 정세를 잠깐 복기해 보자. 제국주의 서구 세력의 지구적 진출은 전 세계 식민화를 초래했고 도처에 전란이 일어나 지구촌은 평온할 날이 없었다.
동북아는 유럽 국가들이 밟은 마지막 지역이었으니 중국을 보면 아편전쟁과 영불 연합군의 베이징 함락으로 심대한 고난과 수모를 당하는 중이었다. 일본으로 말하면 미국함대의 압력에 굴복하여 개항을 하게 되자 메이지유신을 단행, 군대국가로 변신하여 이 또한 위협적인 존재로 등장한다.
새중간에 놓인 한반도에서 만국이 하나로 통하는 평화를 제창한 것은 장밋빛 환상 아닐까. 최한기의 사상을 어떻게 평가할 것인가?
이 질문에 답하기에 앞서 그런 주장을 세운 혜강의 학적 논리를 돌아볼 필요가 있다. 그가 눈앞에 출현한 서세의 위협을 모를 까닭이 없었다. 이웃의 중국에서 벌어진 사태를 조선의 조야도 심각하게 인지했던 터에 그 역시 병인양요를 듣고 보고 하였다. 그는 서양의 함선이 천하를 주유하는 사태를 두고 두 측면에서 진단한다. 한 측면은 무력적 침공이고 다른 측면은 물화의 유통과 함께 이루어지는 지식의 진보였다. 전자는 일시적인 현상으로 간주하고 후자에 대해서는 적극적으로 긍정하였다. 동서의 교류가 이루어짐에 따라 우내대동의 형세는 막기 어렵게 될 것이라고 보았다.
그의 학문은 기학에 바탕해 있었다. 혜강 특유의 기학적 사고는 밖을 향해 무한히 개방적이었거니와, 동서가 만나는 입구에서 만국일통을 내다보고 전쟁이 끊이지 않는 미래를 우려하여 우주적 안녕을 설파한 것이었다. 그의 기학적 시간표에서 우내대동은 가까이 놓인 것은 아니다. 백 년도 짧은 편이긴 하나 실현 가능한 것으로 생각한다.
나는 이 글을 끝맺는 대목에서 혜강의 발언 한 구절을 다시 들어 본다. 필부 혼자 천하를 근심하면 무슨 의미가 있겠느냐마는 ‘다중의 지모가 취합되면 우내대동의 막기 어려운 형세가 이룩될 것’이라고 했다.
평생 저술공덕에 힘썼던 자로서의 허탈감이 담겨 있는데 그가 기대했던 다중의 지모가 취합되어 놀라운 힘을 발휘한 날을 우리는 보았다. 바로 지난 ‘촛불혁명’이었고 엊그제 다시 거대하게 타오른 서울 서초동의 촛불도 그랬다. 보통 사람들의 양식과 지혜가 결집된 것이다.
전 지구가 하나로 소통하는 ‘만국일통’을 고도로 강조하고, 온 누리에 안녕이 깃드는 ‘우내녕정’(宇內寧靖)을 가장 소망한 것이다. 그는 진정한 의미의 세계주의자, 지구촌의 평화를 창도한 사상가다.
혜강은 자신의 시대를 오랜 어둠 속에 묻혀 있다가 바야흐로 동트는 새벽, 계몽시대로 의식한 것이다. 그의 왕성한 지식 욕구는 당연히 저술로 이어졌다. 저술을 새벽에 떠오르는 태양처럼 생각하였다. 하여 ‘저술공덕’이란 용어를 도입하고 있다. 저술공덕이 햇살이 퍼지듯 세상에 펼쳐져서 그 성과가 이루어지는 과정에 인간이 주체적으로 참여하는 것을 가리켜서 그는 ‘사무공덕’이라고 표현했다. 계몽이성의 효용치가 극대화된 형태가 저술공덕이고, 그 실천 과정이 사무공덕이다. 저술공덕과 사무공덕은 곧 혜강적 실학이다.
그런데 하나 지울 수 없는 의문점이 있다. 19세기라는 시대가 도대체 ‘만국일통이다, 우내녕정이다’를 외칠 상황인가? 당시 정세를 잠깐 복기해 보자. 제국주의 서구 세력의 지구적 진출은 전 세계 식민화를 초래했고 도처에 전란이 일어나 지구촌은 평온할 날이 없었다.
동북아는 유럽 국가들이 밟은 마지막 지역이었으니 중국을 보면 아편전쟁과 영불 연합군의 베이징 함락으로 심대한 고난과 수모를 당하는 중이었다. 일본으로 말하면 미국함대의 압력에 굴복하여 개항을 하게 되자 메이지유신을 단행, 군대국가로 변신하여 이 또한 위협적인 존재로 등장한다.
새중간에 놓인 한반도에서 만국이 하나로 통하는 평화를 제창한 것은 장밋빛 환상 아닐까. 최한기의 사상을 어떻게 평가할 것인가?
이 질문에 답하기에 앞서 그런 주장을 세운 혜강의 학적 논리를 돌아볼 필요가 있다. 그가 눈앞에 출현한 서세의 위협을 모를 까닭이 없었다. 이웃의 중국에서 벌어진 사태를 조선의 조야도 심각하게 인지했던 터에 그 역시 병인양요를 듣고 보고 하였다. 그는 서양의 함선이 천하를 주유하는 사태를 두고 두 측면에서 진단한다. 한 측면은 무력적 침공이고 다른 측면은 물화의 유통과 함께 이루어지는 지식의 진보였다. 전자는 일시적인 현상으로 간주하고 후자에 대해서는 적극적으로 긍정하였다. 동서의 교류가 이루어짐에 따라 우내대동의 형세는 막기 어렵게 될 것이라고 보았다.
그의 학문은 기학에 바탕해 있었다. 혜강 특유의 기학적 사고는 밖을 향해 무한히 개방적이었거니와, 동서가 만나는 입구에서 만국일통을 내다보고 전쟁이 끊이지 않는 미래를 우려하여 우주적 안녕을 설파한 것이었다. 그의 기학적 시간표에서 우내대동은 가까이 놓인 것은 아니다. 백 년도 짧은 편이긴 하나 실현 가능한 것으로 생각한다.
나는 이 글을 끝맺는 대목에서 혜강의 발언 한 구절을 다시 들어 본다. 필부 혼자 천하를 근심하면 무슨 의미가 있겠느냐마는 ‘다중의 지모가 취합되면 우내대동의 막기 어려운 형세가 이룩될 것’이라고 했다.
평생 저술공덕에 힘썼던 자로서의 허탈감이 담겨 있는데 그가 기대했던 다중의 지모가 취합되어 놀라운 힘을 발휘한 날을 우리는 보았다. 바로 지난 ‘촛불혁명’이었고 엊그제 다시 거대하게 타오른 서울 서초동의 촛불도 그랬다. 보통 사람들의 양식과 지혜가 결집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