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차 화재 공포… 안전대책 시급하다
최근 전기차 화재 사고가 인천과 충남 금산 등에서 잇따르면서 전기차 배터리 화재 사고에 대한 공포가 확산하고 있다. 주로 배터리에서 발화되는 전기차 화재는 불이 10시간 이상 타는 탓에 인근에 주차된 거의 모든 차량을 태우는 등 피해가 막대해 운전자들을 불안하게 하고 있다. 뾰족한 대책이 나오지 않고 있는 상황에서 아파트별로 지하 전기차 충전소를 지상으로 옮기는 방안 등의 대책을 논의하거나 불안한 마음에 전기차 충전시설에서 멀리 떨어진 곳에 주차하는 주민들이 늘고 있다.
전기차 화재는 그 원인의 절반 이상이 배터리 결함이나 충전 중 과열 등 고전압 배터리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한번 불이 나면 ‘열폭주’ 현상이 발생해 더 많은 열을 내기 때문에 운전자나 아파트 차원의 초동 진화가 사실상 불가능하다. 또한 아파트 지하주차장에서 전기차 화재가 날 경우는 폐쇄된 공간으로 인해 수십, 수백 대의 차량이 소실되는 피해를 가져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불이확산되면 아파트 전체가 정전 등으로 인해 셧다운될 수 도 있다.
광주지역 일부 아파트들은 입주자 대표회의를 열어 전기차 충전시설 설치 장소를 놓고 갑론을박을 벌이고 있으며, 상당수 아파트 관리사무소들은 인적이 드문 시간대인 새벽에 지하주차장 전기차 충전시설을 순찰하는 등 경계를 늦추지 않고 있다.
전문가들은 사고예방을 위해서는 운전자들이 급속 충전보다는 완속 충전을 사용하고, 과충전 대신 80% 정도 충전하는 것이 훨씬 안전하다고 조언한다. 정부와 소방당국은 전기차 주차와 충전소 안전 기준을 신속히 제정하고, 현재 진행중인 배터리 안전성 인증제도도 조속히 마련해야 할 것이다. 지자체들은 아파트가 화재 감지 센서나 카메라를 통해 24시간 전기차 화재를 살피도록 지도하는 한편 부족한 특수 소방장비를 확충해야 할 것이다.
전문가들은 사고예방을 위해서는 운전자들이 급속 충전보다는 완속 충전을 사용하고, 과충전 대신 80% 정도 충전하는 것이 훨씬 안전하다고 조언한다. 정부와 소방당국은 전기차 주차와 충전소 안전 기준을 신속히 제정하고, 현재 진행중인 배터리 안전성 인증제도도 조속히 마련해야 할 것이다. 지자체들은 아파트가 화재 감지 센서나 카메라를 통해 24시간 전기차 화재를 살피도록 지도하는 한편 부족한 특수 소방장비를 확충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