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중심도시 표방 광주시, 전문성 확보부터
인공지능(AI) 중심도시를 표방하고 있는 광주시가 AI 중심도시 2단계 사업을 앞두고 오락가락 행정을 보이고 있다.
AI 중심도시 사업은 광주시가 민선 7기부터 광주의 산업 생태계를 근본적으로 바꿀 미래 성장산업으로 추진하고 있다. ‘AI 실증밸리 확산사업’이란 이름으로 2020년부터 올해까지 1단계로 인공지능 집적단지 조성에 박차를 가해 왔다. 문제는 내년부터 2029년까지 국비 등 6000억 원을 투입해 추진하는 2단계 사업이 차질을 빚을 가능성이 높아졌다는 점이다.
2단계 사업 준비기간이 5년이나 있었는데도 사업 성격 조차 확정하지 못하고 관련 용역만 수차례 진행하는 등 갈팡질팡 하고 있기 때문이다. 4000억 원에 육박하는 국비 지원을 받기 위한 예비타당성 조사를 놓고도 ‘신청’과 ‘면제’ 사이에서 오락가락 했다. 당초에는 예타를 신청하려다 1·2단계 사업은 연속사업이라는 논리를 내세워 예타 면제로 전략을 수정했는데 기획재정부를 설득하기 어렵다고 판단해 한 달도 지나지 않아 결국 신청으로 급선회 했다.
예타 조사는 선정 자체도 쉽지 않은데다 선정된다 하더라도 최소 6~8개월의 조사 기간이 필요해 2단계 사업이 차질없이 진행될지 알 수 없다. 광주시는 윤석열 대통령의 민생토론회가 광주에서 열리면 예타 면제를 다시 건의하는 방안을 검토한다는데 얼마나 안이한 대처인지 보여주는 대목이다.
2단계는 AI 인프라 및 지원체계 구축과 실증 혁신 생태계를 조성하는 사업으로 집적단지를 조성하는 1단계 사업보다 훨씬 정밀하게 추진해야 한다. 2단계 사업이 시작부터 차질을 빚게 된 것은 공무원들의 전문성 부족이 가장 큰 원인이라고 할 것이다. 변화의 속도가 빠른 AI산업 생태계를 감안하면 광주시청 공무원들에게만 맡겨 둘 것이 아니라 민간 전문가를 아웃소싱 하는 방법도 고려해 보아야 한다.
AI 중심도시 사업은 광주시가 민선 7기부터 광주의 산업 생태계를 근본적으로 바꿀 미래 성장산업으로 추진하고 있다. ‘AI 실증밸리 확산사업’이란 이름으로 2020년부터 올해까지 1단계로 인공지능 집적단지 조성에 박차를 가해 왔다. 문제는 내년부터 2029년까지 국비 등 6000억 원을 투입해 추진하는 2단계 사업이 차질을 빚을 가능성이 높아졌다는 점이다.
2단계는 AI 인프라 및 지원체계 구축과 실증 혁신 생태계를 조성하는 사업으로 집적단지를 조성하는 1단계 사업보다 훨씬 정밀하게 추진해야 한다. 2단계 사업이 시작부터 차질을 빚게 된 것은 공무원들의 전문성 부족이 가장 큰 원인이라고 할 것이다. 변화의 속도가 빠른 AI산업 생태계를 감안하면 광주시청 공무원들에게만 맡겨 둘 것이 아니라 민간 전문가를 아웃소싱 하는 방법도 고려해 보아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