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형 교육모델 박람회에서 확인하세요”
‘글로컬 미래교육 박람회’ 5월29일~6월2일
여수세계박람회장 일원 전시·체험·학술·교류
디지털 대전환·기후위기·지역 소멸 등 극복
국제교육관 25개국 참여…미래 수업 현장 다채
여수세계박람회장 일원 전시·체험·학술·교류
디지털 대전환·기후위기·지역 소멸 등 극복
국제교육관 25개국 참여…미래 수업 현장 다채
![]() 고등학교 도서관. |
지역과 함께하는 공생교육, 전남이 주도하는 지속가능한 미래 교육 현장은 어떤 모습일까?
전남도교육청이 야심차게 준비하는 ‘2024 대한민국 글로컬 미래교육 박람회’는 교육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모색하고 지역 중심 미래교육의 새 패러다임을 구현하는 장으로 치러진다.
김대중 전남도교육감은 최근 도의회 시정연설을 통해 “올해를 대한민국 교육 대전환을 넘어 지방시대 대전환을 이끌 원년이 되도록 하겠다”면서 “박람회를 통해 지역이 곧 세계이고, 세계가 지역인 ‘글로컬 교육’의 실천적 모델을 공유하겠다”고 천명했다.
박람회는 5월 29일부터 6월 2일까지 여수세계박람회장 일원에서 열린다. ‘공생의 교육, 지속가능한 미래’를 주제로 전시·체험·학술·교류 한마당 행사로 펼쳐진다.
박람회는 디지털 대전환시대, 지역 중심 공생교육으로 세계 시민을 양성하는 ‘미래교육의 대전환’을 알리는 신호탄이라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전남도교육청은 박람회를 통해 디지털 대전환, 기후위기, 지역소멸의 위기를 극복하기 위한 해법을 제시하고 위기를 기회로 바꾸는 공생의 ‘글로컬 교육’을 활짝 열어간다는 복안이다.
특히 지금까지 담론의 영역에 머물러 있던 ‘미래교육’이 지역 중심 교육이라는 새로운 패러다임 속에서 현실과 만나게 될 것으로 기대한다.
또 글로컬 교육이 순조롭게 이뤄지면 지속가능한 지역교육, 디지털기반 교육, 공생의 교육이라는 목표에 도달하게 된다는 것이 도 교육청의 판단이다.
이번 박람회의 킬러 콘텐츠는 미리 보는 ‘글로컬 미래교실’이다. 초·중·고교 각 1개 학급이 하나의 모델로 제시되는 ‘글로컬 미래교실 운영관’에서 교사와 학생들이 미래교육 과정을 토대로 총 48시간 수업을 실제 진행한다. 각 교실에는 해당 수업 모형에 대한 설명이 관람객들에게 실시간으로 제공된다.
박람회 현장과 해외 현지 교실을 연결한 프로젝트 수업, AI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융합 수업 등 다양한 주제의 미래 수업 현장도 만날 수 있다.
‘글로컬 미래교육 전시’는 정부기관과 17개 시도교육청이 참여하는 대한민국교육관, 국내외 유수 기업들이 참여하는 기업관(에듀테크 밸리), 25개국이 참여하는 국제교육관으로 구성된다.
대한민국교육관은 전남도 미래교육 실천사례와 각 시도 및 교육부가 추진하고 있는 다양한 교육정책을 관람·체험하는 장으로 꾸며진다. 맞춤형 교육, 지역 공생 교육생태계 구축, 다양한 문화 소통 글로벌 교육 등 세 개의 카테고리에 맞춘 각 교육청별 콘텐츠를 체험할 수 있다. 이와 관련 전남도교육청은 전남의 미래교육 방향과 실천 사례, 글로컬 교육 역점 과제를 한눈에 살펴볼 수 있는 ‘전남교육관’의 전시 개요를 확정하는 등 준비를 마쳤다.
‘지역의 서사가 글로벌이 된다’를 주제로 한 전남교육관은 ▲내 삶의 터전 ▲지역과 함께하는 공생 교육 ▲함께 여는 미래 ▲나의 미래 등 총 네 개의 전시콘텐츠로 꾸며진다.
특히 자율형 미래교육선도지구, 전남형 미래학교, 독서인문교육, 공생의 환경교육 등 다양한 주제가 각 섹션별 콘텐츠로 구현될 예정이다.
기업관에서는 학교 현장에 적용할 수 있는 최신 기술을 만날 수 있다. 세계적 IT기업이 참여하는 플랫폼관에는 교육과정과 연계한 미래기술 수업 공간이 구현된다. 에듀테크관에는 참여기업들이 AI(인공지능)·VR(가상현실)·AR(증강현실) 등 첨단 기술을 활용한 미래교육 솔루션을 펼쳐 보인다.
국제교육관에서는 참가 교육선진국의 교육과정과 연계한 미래교육 전시·체험 부스를 운영한다. 박람회에서는 세계의 교육리더들이 강사로 나서 미래교육의 방향, 교육자치의 경쟁력, AI 디지털 발전과 학교 교육, 다문화사회의 세계시민, 기후환경·생태교육 등을 주제로 온·오프라인을 넘나드는 강연을 펼친다.
각국의 미래교육 정책을 공유하고 심도 있게 토론하는 콘퍼런스가 호주·캐나다·독일·튀르키예·모로코·베트남 등 각 국가별로 운영된다. ‘K-POP’ 특별 공연을 시작으로 박람회 기간 문화예술, 국제교류, 축제의 한마당도 다양하게 펼쳐진다. 참가국의 대표 전통문화·놀이·의상·음식 등도 즐길 수 있다.
박선미 2024 대한민국 글로컬 미래교육박람회 추진단장은 “이번 박람회는 교육이 함게 살아가는 사회의 해답임을 보여주는 논의의 장”이라며 “처지가 비슷한 세계의 로컬과 교류를 통해 지역의 경쟁력을 강화해 가는 출발점이다”고 강조했다. 이어 “무엇보다도 의료와 소방 등 안전관리에도 소홀함이 없이 준비하고 점검해 성공적인 행사로 치러질 수 있도록 하겠다”라고 덧붙였다.
/김대성 기자 bigkim@kwangju.co.kr
전남도교육청이 야심차게 준비하는 ‘2024 대한민국 글로컬 미래교육 박람회’는 교육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모색하고 지역 중심 미래교육의 새 패러다임을 구현하는 장으로 치러진다.
김대중 전남도교육감은 최근 도의회 시정연설을 통해 “올해를 대한민국 교육 대전환을 넘어 지방시대 대전환을 이끌 원년이 되도록 하겠다”면서 “박람회를 통해 지역이 곧 세계이고, 세계가 지역인 ‘글로컬 교육’의 실천적 모델을 공유하겠다”고 천명했다.
박람회는 디지털 대전환시대, 지역 중심 공생교육으로 세계 시민을 양성하는 ‘미래교육의 대전환’을 알리는 신호탄이라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 박람회장에 구현될 미래교실 예상도 |
또 글로컬 교육이 순조롭게 이뤄지면 지속가능한 지역교육, 디지털기반 교육, 공생의 교육이라는 목표에 도달하게 된다는 것이 도 교육청의 판단이다.
이번 박람회의 킬러 콘텐츠는 미리 보는 ‘글로컬 미래교실’이다. 초·중·고교 각 1개 학급이 하나의 모델로 제시되는 ‘글로컬 미래교실 운영관’에서 교사와 학생들이 미래교육 과정을 토대로 총 48시간 수업을 실제 진행한다. 각 교실에는 해당 수업 모형에 대한 설명이 관람객들에게 실시간으로 제공된다.
박람회 현장과 해외 현지 교실을 연결한 프로젝트 수업, AI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융합 수업 등 다양한 주제의 미래 수업 현장도 만날 수 있다.
‘글로컬 미래교육 전시’는 정부기관과 17개 시도교육청이 참여하는 대한민국교육관, 국내외 유수 기업들이 참여하는 기업관(에듀테크 밸리), 25개국이 참여하는 국제교육관으로 구성된다.
대한민국교육관은 전남도 미래교육 실천사례와 각 시도 및 교육부가 추진하고 있는 다양한 교육정책을 관람·체험하는 장으로 꾸며진다. 맞춤형 교육, 지역 공생 교육생태계 구축, 다양한 문화 소통 글로벌 교육 등 세 개의 카테고리에 맞춘 각 교육청별 콘텐츠를 체험할 수 있다. 이와 관련 전남도교육청은 전남의 미래교육 방향과 실천 사례, 글로컬 교육 역점 과제를 한눈에 살펴볼 수 있는 ‘전남교육관’의 전시 개요를 확정하는 등 준비를 마쳤다.
![]() 고등학교 교실 |
특히 자율형 미래교육선도지구, 전남형 미래학교, 독서인문교육, 공생의 환경교육 등 다양한 주제가 각 섹션별 콘텐츠로 구현될 예정이다.
기업관에서는 학교 현장에 적용할 수 있는 최신 기술을 만날 수 있다. 세계적 IT기업이 참여하는 플랫폼관에는 교육과정과 연계한 미래기술 수업 공간이 구현된다. 에듀테크관에는 참여기업들이 AI(인공지능)·VR(가상현실)·AR(증강현실) 등 첨단 기술을 활용한 미래교육 솔루션을 펼쳐 보인다.
국제교육관에서는 참가 교육선진국의 교육과정과 연계한 미래교육 전시·체험 부스를 운영한다. 박람회에서는 세계의 교육리더들이 강사로 나서 미래교육의 방향, 교육자치의 경쟁력, AI 디지털 발전과 학교 교육, 다문화사회의 세계시민, 기후환경·생태교육 등을 주제로 온·오프라인을 넘나드는 강연을 펼친다.
각국의 미래교육 정책을 공유하고 심도 있게 토론하는 콘퍼런스가 호주·캐나다·독일·튀르키예·모로코·베트남 등 각 국가별로 운영된다. ‘K-POP’ 특별 공연을 시작으로 박람회 기간 문화예술, 국제교류, 축제의 한마당도 다양하게 펼쳐진다. 참가국의 대표 전통문화·놀이·의상·음식 등도 즐길 수 있다.
박선미 2024 대한민국 글로컬 미래교육박람회 추진단장은 “이번 박람회는 교육이 함게 살아가는 사회의 해답임을 보여주는 논의의 장”이라며 “처지가 비슷한 세계의 로컬과 교류를 통해 지역의 경쟁력을 강화해 가는 출발점이다”고 강조했다. 이어 “무엇보다도 의료와 소방 등 안전관리에도 소홀함이 없이 준비하고 점검해 성공적인 행사로 치러질 수 있도록 하겠다”라고 덧붙였다.
/김대성 기자 bigkim@kwangju.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