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체포안 지역정가 뒤숭숭…낙선 대상 의원 명단 나돌고 민주 광주시당 항의전화 빗발
일부 현역의원 ‘부결 투표’ 강조
![]() |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에 대한 체포동의안이 국회에서 가결되면서 민주당 텃밭인 광주·전남 지역정가가 술렁이고 있다.
특히 비이재명계로 분류되는 광주·전남지역 일부 현역 의원들이 포함된 ‘총선 낙선 대상 의원 명단’이 나돌면서 현역 의원들의 긴장감도 커지고 있다.
이 때문에 광주·전남지역 일부 의원들은 자신들의 페이스북이나 문자메시지 등을 통해서 ‘부결’에 투표했다는 점을 강조하고 나서는 등 해명에 진땀을 쏟고 있다.
24일 지역정가에 따르면 민주당 광주시당 사무실과 각 지역위원회 사무실, 온라인 커뮤니티에는 당 대표에 대한 체포동의안 가결에 따른 당원들의 항의 전화와 비난이 빗발쳤다.
이에 따라 지난 22일 국회 체포동의안 가결 이후 광주시당과 일부 지역위원회는 혹시나 모를 사태에 대비해 사무실을 비운 것으로 알려졌다.
이 대표 강성 지지층은 지난 2월 첫 체포동의안 투표 때에 이어 이번에도 “다 같이 뭉쳐 ‘수박’을 청소하자”면서 “탈당은 체포동의안 찬성 의원들을 돕는 셈이니 더 열심히 활동하며 대가를 치르게 하자”고 총구를 겨눴다.
이런 가운데 비이재명계를 낮잡아 일컫는 ‘수박 의원’ 명단이 여러 버전으로 SNS 등을 타고 나돌고, 앞서 국회의원 불체포 특권 포기에 서명한 31명의 의원 명단이 ‘체포 동의안 가결 찬성 의원’으로 둔갑해 빠르게 퍼져나고 있다.
광주·전남지역 18명의 의원 가운데 비명계로 분류된 일부 의원들의 실명이 오르내리면서, 이들 의원들은 페이스북과 문자메시지 등을 통해 ‘부결에 투표했다’ ‘참을 수 없는 분노가 치밀어 오른다’ 는 입장을 내놓고 있다. 이에 대해 지역 국회의원의 A보좌관은 “광주·전남지역 국회의원들 대부분은 당 대표가 목숨을 걸고 단식을 하고 있는 상황에서 정치적이 아닌 인간적으로 부결에 참여한 것으로 알고 있다”면서 “가결 이후 일부가 모여 탄식과 울분을 참지 못했다”고 당시 상황을 전했다.
반면 일부 총선 출마예정자들이 이를 내년 총선에 정치적으로 이용하려는 움직임도 보이고 있어 자칫 민주당 경선이 ‘혼탁’ ‘가짜 뉴스’ 등으로 왜곡될 우려도 제기되고 있다.
/최권일 기자 cki@kwangju.co.kr
특히 비이재명계로 분류되는 광주·전남지역 일부 현역 의원들이 포함된 ‘총선 낙선 대상 의원 명단’이 나돌면서 현역 의원들의 긴장감도 커지고 있다.
이 때문에 광주·전남지역 일부 의원들은 자신들의 페이스북이나 문자메시지 등을 통해서 ‘부결’에 투표했다는 점을 강조하고 나서는 등 해명에 진땀을 쏟고 있다.
이에 따라 지난 22일 국회 체포동의안 가결 이후 광주시당과 일부 지역위원회는 혹시나 모를 사태에 대비해 사무실을 비운 것으로 알려졌다.
이 대표 강성 지지층은 지난 2월 첫 체포동의안 투표 때에 이어 이번에도 “다 같이 뭉쳐 ‘수박’을 청소하자”면서 “탈당은 체포동의안 찬성 의원들을 돕는 셈이니 더 열심히 활동하며 대가를 치르게 하자”고 총구를 겨눴다.
광주·전남지역 18명의 의원 가운데 비명계로 분류된 일부 의원들의 실명이 오르내리면서, 이들 의원들은 페이스북과 문자메시지 등을 통해 ‘부결에 투표했다’ ‘참을 수 없는 분노가 치밀어 오른다’ 는 입장을 내놓고 있다. 이에 대해 지역 국회의원의 A보좌관은 “광주·전남지역 국회의원들 대부분은 당 대표가 목숨을 걸고 단식을 하고 있는 상황에서 정치적이 아닌 인간적으로 부결에 참여한 것으로 알고 있다”면서 “가결 이후 일부가 모여 탄식과 울분을 참지 못했다”고 당시 상황을 전했다.
반면 일부 총선 출마예정자들이 이를 내년 총선에 정치적으로 이용하려는 움직임도 보이고 있어 자칫 민주당 경선이 ‘혼탁’ ‘가짜 뉴스’ 등으로 왜곡될 우려도 제기되고 있다.
/최권일 기자 cki@kwangju.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