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18 기념행사 또다시 ‘반쪽’ 돼선 안 된다
올해 5월에 열리는 제43주년 5·18민중항쟁 기념행사가 20여 년 만에 반쪽짜리로 열리게 됐다. 행사의 주요 참가 단체인 5·18부상자회와 5·18공로자회가 기념행사위원회로부터 제명을 당했기 때문이다.
5·18민중항쟁 기념행사는 정부 주관 기념행사와는 달리 5·18유족회와 부상자회, 공로자회 등 세 개 5·18 공법단체와 광주 시민사회단체가 주관한다. 전야제를 비롯해 5·18 당시를 재현하고 영령들을 위로하는 행사를 통해 대동 세상이라는 오월 정신을 실현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깊다.
하지만 올해 기념행사는 2000년대 초 이후 20여 년 만에 세 개 공법단체 가운데 두개 단체가 배제된 채 열리게 됐다. 기념행사위원회는 그제 대표자회의를 통해 5·18부상자회와 공로자회에 대해 제명 결정을 내렸다. 앞서 두 단체는 기념행사위 탈퇴를 선언하면서 해체를 요구했다.
내분은 5·18부상자회와 공로자회가 추진한 특전사 동지회 초청 행사에서 비롯됐다. 두 단체가 5·18 당시 계엄군으로 투입된 특전사 동지회의 진정한 사과 없이 국립 5·18민주묘지를 기습적으로 참배하고 대국민 공동 선언을 진행한 탓이 크다. 초청 행사의 명분으로 용서와 화해를 내세웠지만 사과와 반성이 없어 공허한 메아리일 뿐이었다.
요즘 정치권에서 5·18에 대한 역사 왜곡이 다시 터져나오고 있다. 김광동 진실·화해위원회 위원장은 5·18 당시 북한 개입 가능성을 언급했고, 국민의힘 김재원 최고위원은 5·18 정신을 헌법에 수록할 수 없다는 취지의 발언으로 논란을 낳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오월 단체간 내분은 자칫 역사 왜곡의 빌미를 제공할 수 있다. 결자해지 차원에서 내분의 원인을 제공한 5·18부상자회와 공로자회가 먼저 지역사회에 화해의 손을 내밀어야 한다. 반쪽 기념행사가 더 이상 되풀이되어서는 안 된다.
5·18민중항쟁 기념행사는 정부 주관 기념행사와는 달리 5·18유족회와 부상자회, 공로자회 등 세 개 5·18 공법단체와 광주 시민사회단체가 주관한다. 전야제를 비롯해 5·18 당시를 재현하고 영령들을 위로하는 행사를 통해 대동 세상이라는 오월 정신을 실현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깊다.
내분은 5·18부상자회와 공로자회가 추진한 특전사 동지회 초청 행사에서 비롯됐다. 두 단체가 5·18 당시 계엄군으로 투입된 특전사 동지회의 진정한 사과 없이 국립 5·18민주묘지를 기습적으로 참배하고 대국민 공동 선언을 진행한 탓이 크다. 초청 행사의 명분으로 용서와 화해를 내세웠지만 사과와 반성이 없어 공허한 메아리일 뿐이었다.
이런 상황에서 오월 단체간 내분은 자칫 역사 왜곡의 빌미를 제공할 수 있다. 결자해지 차원에서 내분의 원인을 제공한 5·18부상자회와 공로자회가 먼저 지역사회에 화해의 손을 내밀어야 한다. 반쪽 기념행사가 더 이상 되풀이되어서는 안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