풍암호수 ‘수질 개선·환경 보호’ 최적안 찾아야
광주시민의 휴식 공간이면서도 악취가 끊이지 않고 있는 풍암저수지의 수질 개선 방안을 놓고 논쟁이 뜨겁다. 1956년 농업용으로 조성된 풍암저수지는 1990년 이후 주변이 대규모 아파트 단지로 개발되면서 해마다 심한 악취와 녹조가 발생했다. 이에 광주시와 서구는 영산강 물을 끌어와 공급하기도 했지만 5등급까지 떨어진 수질은 좀처럼 나아지지 않았다. 이런 와중에 2019년 풍암저수지를 포함한 중앙공원 1지구 민간공원 특례 사업이 시작됐다. 광주시와 사업자는 이 사업의 하나로 본격적인 수질 개선 계획 수립에 나섰고, 전문가들이 참여하는 태스크포스팀(TF)도 가동됐다.
TF가 수년간 논의 끝에 내놓은 개선안은 자연 유하(流下) 방식으로, 일산·세종·청라 호수공원처럼 각종 위락·편의시설을 갖춘 도심 호수공원을 조성하는 것이다. 바닥 일부를 매립해 현재 2.8m인 평균 수심을 1.5m로 낮추고 하루 지하수 1000㎥를 유입하는 게 핵심이다. 담수량도 44만 7000㎥에서 16만 5000㎥으로 줄인다. 농어촌공사 소유인 저수지를 340억 원에 매입하고 수질 개선 시설비로 278억 원을 투입하는데, 비용 전액은 사업자인 빛고을중앙공원개발이 부담한다.
한데 수질 개선안이 지난 7월 주민설명회를 통해 공개된 이후 수심을 낮추는 방안이 ‘완전 매립’ 등으로 잘못 알려지면서 논란이 커지고 있다. 풍암동 주민자치위원회를 비롯한 시민사회단체들은 매립안에 반대하며 ‘원형 보존’을 요구하고 있다. 담수량을 줄이면 홍수 조절 기능에 문제가 생기고 지하수를 사용하면 지반 침하 등이 우려된다는 점에서 대안으로 기계 정화나 약품 포설을 제시하기도 한다.
문제는 이 과정에서 검증되지 않는 추측성 유언비어들이 난무하고 정치인들까지 가세하면서 논란만 증폭되고 있는 점이다. 이런 상황은 그동안 주민들에 대한 정확한 정보 제공과 의견 수렴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은 데서 비롯되고 있다. 광주시가 뒤늦게 주민협의체를 구성해 본격적인 의견 수렴에 나서기로 한 만큼 수질 개선은 물론 환경도 보호할 수 있는 있는 최적의 대안이 도출되기를 기대한다.
문제는 이 과정에서 검증되지 않는 추측성 유언비어들이 난무하고 정치인들까지 가세하면서 논란만 증폭되고 있는 점이다. 이런 상황은 그동안 주민들에 대한 정확한 정보 제공과 의견 수렴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은 데서 비롯되고 있다. 광주시가 뒤늦게 주민협의체를 구성해 본격적인 의견 수렴에 나서기로 한 만큼 수질 개선은 물론 환경도 보호할 수 있는 있는 최적의 대안이 도출되기를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