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물가에 서민 삶 팍팍한데…원산지 속이면 안 됩니다”
  전체메뉴
“고물가에 서민 삶 팍팍한데…원산지 속이면 안 됩니다”
추석 앞두고 농산물품질관리원 원산지 점검 현장 동행
호주산 소고기를 한우로 둔갑 5000만원 매출 올린 업체 적발
사복경찰관·감시원 투입 선물·제수용품 등 내달 9일까지 점검
2022년 08월 18일(목) 20:30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 전남지원 소속 특별사법경찰관들이 18일 오후 광주시 남구의 한 정육점을 찾아 원산지 표시 점검을 하고 있다. /나명주 기자 mjna@kwangju.co.kr
“농관원에서 원산지 표시 점검 나왔습니다. 사업자등록증, 영업 신고필증 보여주세요.”

18일 오후 2시께 광주시 남구의 한 마트.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 전남지원 소속 특별사법경찰관 4명이 마트 정육 코너 앞에서 신분을 밝히며 고기 거래 명세서 등 관련 서류 제시를 요구하자 40대 업주 A씨의 얼굴이 얼어붙었다.

업주 A씨는 “무슨 일이세요?”라고 머뭇거렸지만, 검사 결과 기록지를 제시하자 순순히 원산지를 속여 판 사실을 실토했다. 사법경찰관들이 내민 증거자료는 최근 6차례에 걸쳐 이 정육 코너를 방문해 원산지를 속여 판 것으로 의심되는 소고기 유전자(DNA)검사 결과였다.

농관원이 조사한 결과, 업주 A씨는 호주산 냉동 목심을 사들여 광양식 소불고기를 만든 뒤, 고객들에게는 ‘한우 불고기’라고 판매한 것으로 드러났다. 정식 수사를 거치기 전이지만 농관원은 이 업소에서 원산지를 속여 판매한 대금이 최근 1년간 최소 5000만원 이상이라고 밝혔다. 업주 A씨는 “잘못인 줄 알면서도…”라며 말끝을 흐리다 “다시는 속여 팔지 않겠다”고 말했다.

추석을 앞두고 농관원 전남지원이 추석 하루 전날인 9월 9일까지 백화점·대형마트·제조 및 가공업체 등을 중심으로 선물·제수용품 원산지 허위 표시를 대대적으로 단속한다.

명절을 앞두고 수요가 많은 건강기능식품, 전통식품, 지역 특산품 등 선물용품과 육류, 사과, 배, 대추, 밤 등 제수용품을 집중적으로 들여다본다. 외국산을 국내산으로 둔갑 판매하거나 국내 유명지역 특산물로 속여 판매하는 행위가 단속 대상이다. 이를 위해 농관원 전남지원은 특별사법경찰관 등 36명의 직원과 농산물 명예감시원 331명을 투입하기로 했다. 영세상인도 살피되 물량을 대량 거래하는 통신판매업체와 농축산물 도소매업체 등에 행정력을 집중하기로 했다.

단속반은 짧은 시간 효과적으로 단속하기 위해 다양한 아이디어를 동원한다.

대형마트와 농축산 도매업체 등이 대량 살포하는 홍보 전단, 온라인쇼핑몰, 홈쇼핑 방송, 인스타그램 광고 내용도 필수 모니터링 대상이다. 국산인데 시중보다 현저히 낮은 가격에 대량으로 판매한다면 단속반원이 손님을 가장해 물건을 사들여 분석을 진행하기도 한다.

원산지 단속은 연중 진행되고 설과 추석 등 명절에 행정역량을 총동원하고 있지만, 불법 행위는 근절되지 않고 있다.

광주·전남에서는 2021년 거짓 표시(허위표시) 243건, 미표시 153건 등 396건이 적발됐다. 올해 들어서도 17일 현재 거짓 표시 137건, 미표시 107건 등 266건이 적발됐다.

농관원에 따르면 원산지를 거짓으로 표시하다 적발된 업체는 ‘7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억원 이하의 벌금’, 미표시 업체는 1000만원 이하의 과태료가 부과된다. 또한 농관원과 한국소비자원 등에 위반 업체 명단이 공개되고, 과태료 등 행정처분이 뒤따른다.

단속과 별개로 농관원은 소비자에게 원산지 구별법도 소개했다.

소갈비의 경우 국산은 갈비에 덧살이 붙어 있고 지방의 색이 유백색이며 외국산에 비해 갈비뼈가 가늘지만, 미국산은 덧살이 붙어 있지 않고, 지방의 색이 백색이며 국산과 비교하면 갈비뼈가 굵다는 특징이 있다. 대추는 국내산은 향이 진하면서 표면의 색이 연하고 꼭지가 많이 붙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 홍삼의 경우 국산은 머리가 짧고 굵으며 몸통 색은 황색인데 다리 부분은 적갈색이고, 중국산은 머리가 가늘고 길며 전체가 진갈색을 띤다.

농관원 전남지원 관계자는 “고물가로 그렇지 않아도 힘들게 사는 사람들이 많은데 원산지를 속여 파는 일부 업소들의 행위가 근절되지 않아 안타깝다”며 “근절될때까지 지속적인 단속으로 소비자들의 신뢰를 높이겠다”고 밝혔다.

/정병호 기자 jusbh@kwangju.co.kr

핫이슈

  • Copyright 2009.
  • 제호 : 광주일보
  • 등록번호 : 광주 가-00001 | 등록일자 : 1989년 11월 29일 | 발행·편집·인쇄인 : 김여송
  • 주소 : 광주광역시 동구 금남로 224(금남로 3가 9-2)
  • TEL : 062)222-8111 (代) | 청소년보호책임자 : 채희종
  • 개인정보취급방침
  • 광주일보의 모든 컨텐츠를 무단복제 사용할 경우에는 저작권법에 의해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