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년새 지방 인구 소멸 위험 더 커져
  전체메뉴
3년새 지방 인구 소멸 위험 더 커져
전남, 인구과소지역 2.59%p 늘어
‘2021년 국토조사’ 보고서
2022년 08월 10일(수) 19:35
전남도청
최근 5년 사이 전남을 비롯한 지방이 인구가 감소하며 소멸 위험이 계속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도권 인구 집중, 고령화 등은 더 심해져 특단의 인구 분산 및 출산 정책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국토교통부 국토지리정보원은 지난해 국토조사를 통해 전 국토를 행정구역과 격자망으로 분석 진단한 ‘2021년 국토조사’ 보고서와 ‘국토조사 국토지표 데이터베이스(DB)’ 보고서를 10일 발간했다.

보고서는 인구, 사회, 토지, 경제, 생활, 복지 등 분야별 통계자료를 총 200여 종의 국토지표로 제공한다.

보고서에 따르면 인구 과소지역을 500m 격자 단위로 분석한 결과 5인 이하가 거주하는 인구 과소지역이 전 국토의 14.3%로 2018년(13.3%)에 비해 1.0%포인트(p)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남은 2018년 28.49%에서 2021년 31.08%로 2.59%p가 늘어 전북(2.64%p)에 이어 두 번째 증가세를 보였다. 전남에 이어 경북·(2.15%p), 충북(1.97%p) 강원(1.46%p) 등의 순이었다. 전체적인 2021년 인구과소지역 면적 비율은 강원(38.61%), 경북(35.49%), 충북(34.17%), 경남(31.97%) 등에 이어 5번째였다.

광주는 2018년 18.49%에서 2021년 18.26%로 0.23%p가 오히려 감소했다.

인구과소비율이 40% 이상인 전국 23개 시·군 가운데 전남의 시·군은 화순군(40.29%)이 유일하게 포함됐다. 고령인구(65세 이상) 비율 상위 15위 안에는 전남에서 고흥군(3위, 42.23%), 보성군(5위, 39.91%), 함평군(15위, 37.95%)이 들어갔다.

수도권 집중도는 2000년 46.3%에서 2021년 50.4%로, 20년간 4.1%가 증가했다. 노후주택(사용승인 후 20년 이상된 주택)은 전남이 74.92%로 부산(83.85%), 대구(77.55%)에 이어 세 번째로 높은 비율을 보였고, 광주는 72.18%로 나타났다.

국토부는 “격자단위 인구 분포 변화를 분석하면 지방자치단체의 총인구수 감소뿐 아니라 지역 내 인구감소 혹은 인구소멸 위험 등도 알 수 있다”고 설명했다.

보고서는 국민 삶의 질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교육, 문화, 체육, 보건, 교통 등 생활 필수시설의 이용 편의성을 분석한 결과도 담고 있다. 응급의료시설로부터 차량이동 20분(10km) 밖에 거주하는 취약인구 비율은 전남이 34.07%로, 경북(40.44%), 충남(37.78%)에 이어 세 번째였다.

/윤현석 기자 chadol@kwangju.co.kr

핫이슈

  • Copyright 2009.
  • 제호 : 광주일보
  • 등록번호 : 광주 가-00001 | 등록일자 : 1989년 11월 29일 | 발행·편집·인쇄인 : 김여송
  • 주소 : 광주광역시 동구 금남로 224(금남로 3가 9-2)
  • TEL : 062)222-8111 (代) | 청소년보호책임자 : 채희종
  • 개인정보취급방침
  • 광주일보의 모든 컨텐츠를 무단복제 사용할 경우에는 저작권법에 의해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