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 “2025년까지 미국에 105억 달러 투자”
바이든 대통령 면담, 로보틱스·AI 등 50억 달러 추가 투자 밝혀
앞서 美 조지아주에 전기차 생산 거점 신설 등 55억 달러 투자키로
앞서 美 조지아주에 전기차 생산 거점 신설 등 55억 달러 투자키로
![]() 추가 투자 계획 발표하는 정의선 회장. /연합뉴스 |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이 22일 미국에 2025년까지 로보틱스 등 미래 먹거리 분야에 6조3000억원 규모인 50억달러를 추가 투자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정 회장은 이날 오전 서울 그랜드 하얏트 호텔에서 방한 중인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과 면담한 자리에서 영어 연설을 통해 “다양한 기술 분야에서 미국 기업과 협업을 강화하기 위해 2025년까지 50억달러의 추가 투자를 계획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가 밝힌 추가 투자 분야는 로보틱스와 도심항공모빌리티(UAM), 자율주행 소프트웨어(SW), 인공지능(AI) 등이다. 이들 분야의 미국 현지 기업에 더욱 투자를 늘리거나 새롭게 투자해 협업을 이어가겠다는 뜻으로 보인다.
앞서 현대차그룹은 전날인 지난 21일 미국 조지아주에 55억달러를 들여 전기차 전용 공장과 배터리셀 공장 등 전기차 생산 거점을 신설한다고 밝힌바 있다. 정 회장의 이날 발표를 더하면 미국에 총 105억달러를 신규 투자하게 된다.
현대차그룹이 미국 조지아주에 신설하는 전기차 생산 거점은 현대차 그룹의 미국 내 첫 전기차 전용 공장이다. 해당 공장은 내년에 착공해 2025년 상반기에 완공하는 것이 목표다. 공장은 1183만㎡ 부지 위에 연간 생산능력 30만대 규모로 지어진다.
해당 공장에서는 북미 시장 공략을 위한 다양한 차종의 전기차를 생산한다. ‘규모의 경제’를 통해 생산 효율성 및 원가 경쟁력을 강화하는 한편, 글로벌 자동차 업계의 급속한 전동화 추세에 맞춰 전략적 대응력을 높일 것으로 분석된다.
여기에 전기차 등 자동차 산업과 관련한 미국 정부의 제도 및 정책 변화에도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미국 정부는 2030년까지 신차 판매에서 전동화 차량이 차지하는 비중 50%까지 확대, 충전설비 50만기 설치, 보조금 증대 등 전기차 보급 확대 정책을 강력히 추진 중으로, ‘바이 아메리칸’(Buy American) 정책으로 자국에서 생산된 전기차에 유리한 조치를 이어가고 있다.
이번에 신설하기로 한 공장은 조지아주의 기아 미국생산법인과 400㎞ 떨어진 곳에 들어선다. 앨라배마주의 현대차 미국생산법인과 함께 부품 협력사 및 물류 시스템을 공유할 수 있다는 점에서 효율적인 공급망 관리를 통해 시너지를 창출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와 함께 현대차그룹은 전기차의 핵심인 배터리를 안정적으로 공급하기 위해 이 공장 인근에 배터리셀 공장도 건설할 계획이다. 차량의 성능과 상세 사양에 맞춰 최적화된 배터리셀을 현지에서 조달해 고효율, 고성능, 안정성이 확보된 높은 경제력의 전기차를 시장 상황에 맞춰 적시에 생산·판매하기 위해서다.
오는 2025년 신설 공장 가동이 시작되면 현대차그룹은 미국 시장에서 첫 현지 생산을 시작한 2005년 앨라배마 몽고메리 공장 가동 이후 20년 만에 전기차만 생산하는 완성차공장을 보유하게 된다.
현대차는 앞서 지난 4월 앨라배마공장의 전동환 생산라인 구축에 3억달러(약 3700억원)를 투자함으로써 제네시스 GV70 전동화 모델을 연내에 생산한다고 발표한 바 있다.
환경에 대한 관심이 높고, 전기차 수요가 많은 대표적인 미국 시장에서 이처럼 전동화 추진을 가속화해 미국에서 2030년 84만대의 전기차 판매를 목표로 하고 있다.
정 회장은 “이번 투자를 통해 현대차그룹은 미국의 소중한 고객에게 혁신적인 제품과 솔루션을 제공하고, 세계 탄소중립 노력에도 기여할 것”이라며 “또 2030년까지 무공해차 판매를 40∼50%로 하는 바이든 행정부의 목표를 달성할 준비가 돼 있다”고 강조했다.
한편 이번 방한 기간 우리나라 기업인 가운데 바이든 대통령과 단독으로 면담하고 투자 발표까지 한 것은 정 회장이 유일하다. 정 회장은 발표 시간 전후로 바이든 대통령과 35분 정도 독대했다.
정 회장은 바이든 대통령에게 “방한 기간 시간을 내줘서 매우 감사하다. 진심으로 영광”이라며 “바이든 행정부가 우리 미국 사업에 지속적인 지지를 해주기를 정중히 요청한다”고 밝혔다.
이에 바이든 대통령은 “미국을 선택해준 데 대해 감사하며 미국은 현대차를 실망시키지 않을 것”이라며 “현대차를 비롯해 미국에 투자하는 어떤 회사든 가장 숙련된 성실한 근로자와 협력하는 데 따른 큰 이익을 얻을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박기웅 기자 pboxer@kwangju.co.kr·연합뉴스
정 회장은 이날 오전 서울 그랜드 하얏트 호텔에서 방한 중인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과 면담한 자리에서 영어 연설을 통해 “다양한 기술 분야에서 미국 기업과 협업을 강화하기 위해 2025년까지 50억달러의 추가 투자를 계획하고 있다”고 말했다.
앞서 현대차그룹은 전날인 지난 21일 미국 조지아주에 55억달러를 들여 전기차 전용 공장과 배터리셀 공장 등 전기차 생산 거점을 신설한다고 밝힌바 있다. 정 회장의 이날 발표를 더하면 미국에 총 105억달러를 신규 투자하게 된다.
현대차그룹이 미국 조지아주에 신설하는 전기차 생산 거점은 현대차 그룹의 미국 내 첫 전기차 전용 공장이다. 해당 공장은 내년에 착공해 2025년 상반기에 완공하는 것이 목표다. 공장은 1183만㎡ 부지 위에 연간 생산능력 30만대 규모로 지어진다.
여기에 전기차 등 자동차 산업과 관련한 미국 정부의 제도 및 정책 변화에도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미국 정부는 2030년까지 신차 판매에서 전동화 차량이 차지하는 비중 50%까지 확대, 충전설비 50만기 설치, 보조금 증대 등 전기차 보급 확대 정책을 강력히 추진 중으로, ‘바이 아메리칸’(Buy American) 정책으로 자국에서 생산된 전기차에 유리한 조치를 이어가고 있다.
이번에 신설하기로 한 공장은 조지아주의 기아 미국생산법인과 400㎞ 떨어진 곳에 들어선다. 앨라배마주의 현대차 미국생산법인과 함께 부품 협력사 및 물류 시스템을 공유할 수 있다는 점에서 효율적인 공급망 관리를 통해 시너지를 창출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와 함께 현대차그룹은 전기차의 핵심인 배터리를 안정적으로 공급하기 위해 이 공장 인근에 배터리셀 공장도 건설할 계획이다. 차량의 성능과 상세 사양에 맞춰 최적화된 배터리셀을 현지에서 조달해 고효율, 고성능, 안정성이 확보된 높은 경제력의 전기차를 시장 상황에 맞춰 적시에 생산·판매하기 위해서다.
오는 2025년 신설 공장 가동이 시작되면 현대차그룹은 미국 시장에서 첫 현지 생산을 시작한 2005년 앨라배마 몽고메리 공장 가동 이후 20년 만에 전기차만 생산하는 완성차공장을 보유하게 된다.
현대차는 앞서 지난 4월 앨라배마공장의 전동환 생산라인 구축에 3억달러(약 3700억원)를 투자함으로써 제네시스 GV70 전동화 모델을 연내에 생산한다고 발표한 바 있다.
환경에 대한 관심이 높고, 전기차 수요가 많은 대표적인 미국 시장에서 이처럼 전동화 추진을 가속화해 미국에서 2030년 84만대의 전기차 판매를 목표로 하고 있다.
정 회장은 “이번 투자를 통해 현대차그룹은 미국의 소중한 고객에게 혁신적인 제품과 솔루션을 제공하고, 세계 탄소중립 노력에도 기여할 것”이라며 “또 2030년까지 무공해차 판매를 40∼50%로 하는 바이든 행정부의 목표를 달성할 준비가 돼 있다”고 강조했다.
한편 이번 방한 기간 우리나라 기업인 가운데 바이든 대통령과 단독으로 면담하고 투자 발표까지 한 것은 정 회장이 유일하다. 정 회장은 발표 시간 전후로 바이든 대통령과 35분 정도 독대했다.
정 회장은 바이든 대통령에게 “방한 기간 시간을 내줘서 매우 감사하다. 진심으로 영광”이라며 “바이든 행정부가 우리 미국 사업에 지속적인 지지를 해주기를 정중히 요청한다”고 밝혔다.
이에 바이든 대통령은 “미국을 선택해준 데 대해 감사하며 미국은 현대차를 실망시키지 않을 것”이라며 “현대차를 비롯해 미국에 투자하는 어떤 회사든 가장 숙련된 성실한 근로자와 협력하는 데 따른 큰 이익을 얻을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박기웅 기자 pboxer@kwangju.co.kr·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