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라도 중심’ 나주의 역사·문화·경제 한 눈에
시, 시민역사교과서 ‘한 권으로 보는 나주’ 발간
![]() |
나주시가 전라도 역사·문화·경제의 중심지 나주를 제대로 이해할 수 있는 시민 맞춤형 역사교과서 ‘한 권으로 보는 나주’를 발간·배포했다.
역사교과서는 지난 2020년 신규시책 선정을 통해 자문단 출범을 시작으로 이듬해 2021년 시(市) 승격 40주년에 맞춰 발간을 추진해 왔다.
역사학·고고학·전근대사·근현대사·예술사 등 다양한 분야 전문가 17인이 집필진으로 참여했으며 대학교수, 학계 전문가 등으로 구성된 감수단의 역사적 사실 규명 등을 통해 책의 완성도를 높였다.
총 237페이지의 이 책자는 지역 명칭 이전의 선사시대(구석기~철기)와 고대 마한, 삼국 및 통일신라시대, 고려, 조선, 근·현대까지 총 5가지 테마로 나주의 시대상을 다룬다.
6~7장에서는 나주를 대표하는 전통문화·예술과 금동관, 옹관, 나주읍성, 천연염색, 샛골나이 등 유·무형자산을 소개한다.
해방이후부터 나주의 현재를 보여주는 5장에서는 호남비료공장에서 시작된 산업화 흐름, 민주화 운동, 영산강, 빛가람 혁신도시 유치 성과와 의미 등도 서술했다.
강인규 나주시장은 발간사를 통해 “희망찬 나주 미래는 나주를 바로 아는 것에서 출발한다”며 “이 책이 나주가 지닌 역사의 힘을 토대로 ‘나주다운 나주의 미래’를 준비하고 나주를 사랑하고 자랑할 수 있게 만드는 작은 씨앗이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시는 읍·면·동 행정복지센터, 중·고교, 도서관, 혁신도시 이전공공기관, 문화시설 등에 책자를 배포했다.
/나주=김민수 기자 kms@kwangju.co.kr
역사교과서는 지난 2020년 신규시책 선정을 통해 자문단 출범을 시작으로 이듬해 2021년 시(市) 승격 40주년에 맞춰 발간을 추진해 왔다.
역사학·고고학·전근대사·근현대사·예술사 등 다양한 분야 전문가 17인이 집필진으로 참여했으며 대학교수, 학계 전문가 등으로 구성된 감수단의 역사적 사실 규명 등을 통해 책의 완성도를 높였다.
6~7장에서는 나주를 대표하는 전통문화·예술과 금동관, 옹관, 나주읍성, 천연염색, 샛골나이 등 유·무형자산을 소개한다.
해방이후부터 나주의 현재를 보여주는 5장에서는 호남비료공장에서 시작된 산업화 흐름, 민주화 운동, 영산강, 빛가람 혁신도시 유치 성과와 의미 등도 서술했다.
시는 읍·면·동 행정복지센터, 중·고교, 도서관, 혁신도시 이전공공기관, 문화시설 등에 책자를 배포했다.
/나주=김민수 기자 kms@kwangju.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