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심뇌혈관센터 사업비 28억 반영…장성 설립 확정
국회 “질병청은 전남도와 협의해 사업 추진하라” 명시
![]() 전남도청 |
국립심뇌혈관센터 설립비 28억원이 국회가 지난 3일 처리한 2022년도 정부예산안에 최종 반영되면서 사업 대상지를 두고 최근 벌어졌던 논쟁이 마침표를 찍게 됐다. 부지매입비 등 사업비 확보뿐 아니라 정부예산서 부대의견에 ‘질병관리청은 국립심뇌혈관센터 설립 시 전남도와 협의해야 한다’는 내용을 명시함으로써 국회가 사실상 센터 설립 대상지를 장성으로 못 박는 효과를 가져왔기 때문이다.
5일 전남도와 지역정치권에 따르면 국회가 확정한 내년도 정부예산에 국립심뇌혈관센터 사업비 28억원이 반영됐다. 부지매입비 23억원, 공사비 5억원이다. 당초 정부예산안에는 질병관리청이 신청한 관련 사업비 5억원만 반영됐으나 국회 심사 과정에서 부지매입비 23억원이 증액됐다. 국회가 처리한 예산안 부대의견에는 해당 사업과 관련해 ‘질병관리청은 전남도와의 협의를 통해 국립심뇌혈관센터 설립이 차질없이 추진되도록 노력한다’는 내용이 명시됐다.
이와 관련해 김영록 전남지사는 지난 3일 국비예산 확보 성과를 설명하면서 “문재인정부 국정운영 100대 과제로서 광주·전남 상생공약인 당초 계획대로 광주연구개발특구 장성 나노산단에 센터 설립을 정상 추진할 수 있게 됐다”고 설명했다.
더불어민주당 이개호(담양·함평·영광·장성) 의원도 자료를 내고 “우리 전남도의 오랜 염원이었던 ‘국립심뇌혈관센터 설립’ 부지매입비 28억원을 국회에서 증액하고 ‘전남과 협력하여 수행’하라는 부대의견을 제시하여 장성나노산단의 입지를 국회에서 확인하는 성과를 거뒀다”며 “이로써 사업예정지나 시설 규모 등 더 이상의 논란은 없을 것”이라고 밝혔다.
국립심뇌혈관센터 설립 사업은 국민 사망원인 2위(24.3%)에 오른 심뇌혈관질환을 국가 차원에서 대응하기 위해 추진되는 시설 구축 사업이다. 구축사업비 규모와 관계없이 향후 경기도 일산에 설립·운영 중인 국립암센터 못지않은 국가 의료 중추시설이 될 것이라고 지역의료계는 전망한다.
지역의료계가 국립심뇌혈관센터 유치와 관련해 “지역사회와 지역경제에 미치는 파급 효과가 막대하다. 반드시 지역에 유치해야 한다”는 목소리를 줄곧 내온 이유다.
당초 2021년부터 2025년까지 총사업비 490억원을 투입, 광주연구개발특구 내 장성 나노산단 일원 2만3000㎡에 센터를 구축하는 계획이었으나 질병청은 올 10월 나온 연구용역 결과를 토대로 사업비를 1500억원, 부지 면적을 3만8000㎡로 키워야 한다는 의견을 제시했다.
이 과정에서 질병청이 시설 및 조직 확대를 명분으로 내세우며, 당초 2021년 예산에 반영된 부지매입비 등 센터 설립비 44억원을 불용처리할 움직임을 보였고, 이에 지역사회는 크게 반발했다. 시설·조직 확대와는 별개로 올해 예산으로 장성에 위치한 사업부지를 우선 사들이라는 전남도와 장성군, 지역 정치권 목소리를 질병청이 외면하면서 사업비 집행을 주저했기 때문이다. 이를 두고 의료계 등 지역사회 일각에서는 ‘질병청이 직원 정주 여건 등을 핑계로 센터 입지를 전남 이외 지역으로 옮기려고 꼼수를 부리는 게 아니냐’는 비판의 목소리도 나왔다.
/김형호 기자 khh@kwangju.co.kr
더불어민주당 이개호(담양·함평·영광·장성) 의원도 자료를 내고 “우리 전남도의 오랜 염원이었던 ‘국립심뇌혈관센터 설립’ 부지매입비 28억원을 국회에서 증액하고 ‘전남과 협력하여 수행’하라는 부대의견을 제시하여 장성나노산단의 입지를 국회에서 확인하는 성과를 거뒀다”며 “이로써 사업예정지나 시설 규모 등 더 이상의 논란은 없을 것”이라고 밝혔다.
국립심뇌혈관센터 설립 사업은 국민 사망원인 2위(24.3%)에 오른 심뇌혈관질환을 국가 차원에서 대응하기 위해 추진되는 시설 구축 사업이다. 구축사업비 규모와 관계없이 향후 경기도 일산에 설립·운영 중인 국립암센터 못지않은 국가 의료 중추시설이 될 것이라고 지역의료계는 전망한다.
지역의료계가 국립심뇌혈관센터 유치와 관련해 “지역사회와 지역경제에 미치는 파급 효과가 막대하다. 반드시 지역에 유치해야 한다”는 목소리를 줄곧 내온 이유다.
당초 2021년부터 2025년까지 총사업비 490억원을 투입, 광주연구개발특구 내 장성 나노산단 일원 2만3000㎡에 센터를 구축하는 계획이었으나 질병청은 올 10월 나온 연구용역 결과를 토대로 사업비를 1500억원, 부지 면적을 3만8000㎡로 키워야 한다는 의견을 제시했다.
이 과정에서 질병청이 시설 및 조직 확대를 명분으로 내세우며, 당초 2021년 예산에 반영된 부지매입비 등 센터 설립비 44억원을 불용처리할 움직임을 보였고, 이에 지역사회는 크게 반발했다. 시설·조직 확대와는 별개로 올해 예산으로 장성에 위치한 사업부지를 우선 사들이라는 전남도와 장성군, 지역 정치권 목소리를 질병청이 외면하면서 사업비 집행을 주저했기 때문이다. 이를 두고 의료계 등 지역사회 일각에서는 ‘질병청이 직원 정주 여건 등을 핑계로 센터 입지를 전남 이외 지역으로 옮기려고 꼼수를 부리는 게 아니냐’는 비판의 목소리도 나왔다.
/김형호 기자 khh@kwangju.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