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대 워킹맘 1호 영입한 이재명 “뉴페이스 되어달라”
조동연 서경대 교수 공동선대위원장
후속 청년인재 수혈도 곧 발표
“국토보유세 국민 반대땐 안해”
이번주 매타버스 전북·세종 방문
후속 청년인재 수혈도 곧 발표
“국토보유세 국민 반대땐 안해”
이번주 매타버스 전북·세종 방문
![]()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선후보(왼쪽)가 지난 30일 서울 중앙당사 브리핑룸에서 열린 ‘이재명 캠프 공동상임선대위원장 인선 발표’에서 공동상임선대위원장으로 임명된 조동연 교수와 악수하고 있다. /연합뉴스 |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선후보가 지난 30일 인재영입에 나서면서 선대위 개편작업이 급물살을 타고 있다. 특히 ‘30대 워킹맘’인 조동연 서경대 교수를 공동상임선대위원장으로 임명한 것을 신호탄으로, 최근 영입을 완료한 외부 청년 인재들의 면면도 금명간 공개할 예정이다. 이는 이 후보의 취약지대인 여성과 2030세대 청년층을 인재 영입의 핵심 콘셉트로 잡은 것으로 풀이된다.
이 후보는 이날 오전 여의도 당사에서 열린 조동연 공동상임선대위원장 인선 발표식에서 “‘뉴 스페이스’(New Space)가 시대적 화두다. 교수님이 뉴 스페이스를 추구하는 것처럼 민주당 선대위의 뉴 페이스가 되어 주시면 좋겠다”고 당부했다. 이 후보는 송영길 대표에 더해 상임선대위원장이 하나 더 늘면서 선대위가 ‘투톱 체제’로 전환한 것을 의식한 듯 “송 대표는 억울하시긴 하겠다”며 농담하기도 했다.
송 대표는 조 위원장 인선 배경에 대해 “20~30대 가정주부의 어려움을 이겨낸 롤모델을 찾고 싶었다”며 “짧은 시간이지만 집중적으로 많은 논의와 설득을 거쳐 (조 교수를) 최종적으로 결정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특히 저는 이재명 후보의 책 한 권을 조 교수에게 줬다. 읽어보고 필(feel)이 오면 결정해 달라고 했다”며 “민주당이 귀한 분을 모셨다”고 강조했다.
선대위의 1호 인재 영입이 마무리되면서 후속 인재 ‘수혈’에도 관심이 쏠린다. 민주당은 선대위 전면에 청년층 외부 인사를 포진할 계획이다. 선대위 인재영입위원회는 이미 영입작업을 마치고 명단 발표만 앞둔 것으로 알려졌다.
선대위 관계자는 이날 연합뉴스와 통화에서 “오래 걸리긴 했지만, 청년층 외부 인재 영입이 마무리된 단계”라며 “이들 모두 선대위원으로 참여해 2030세대 의제를 적극적으로 발굴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 후보는 이틀 뒤인 내달 2일 선대위 조직개편 및 인선안을 최종 발표하고, 이른바 쇄신 선대위를 공식 출범시킬 예정이다. 쇄신 선대위의 명칭은 ‘전국민 선대위’로 정한 것으로 전해졌다.
선대위 조직은 총 6~7개 본부로 간소화하고, 본부 간 신속·기동 체제를 구축하는 것이 주된 개편 방향인 것으로 전해졌다.
이에 앞서 이 후보는 지난 29일 자신의 대표 공약 중 하나인 국토보유세에 대해 “국민들이 반대하면 안 한다”고 말했다.
이 후보는 이날 공개된 채널A와의 인터뷰에서 이같이 말한 뒤 “증세는 사실 국민들이 반대하면 할 수 없는 것”이라고 밝혔다. 이 후보는 “90% 이상의 국민은 내는 것보다 받는 게 많기 때문에 사실 (국토보유세는) 세금정책이라기보다 분배 정책에 가깝다”면서도 “다만 이것에 대해 불신이 많고 오해가 많기 때문에 국민의 동의를 얻는 전제로 추진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유연하고 실용적인 태도로 정책을 펼치겠다는 방침을 거듭 천명한 것으로 보인다.
이 후보는 부동산 대책과 관련해서는 “지금부터 공급 확대 정책을 더할 것”이라며 “(용적률 상향 등) 기존 택지들의 효율성을 높이는 일도 당연히 검토해야 한다”고 말했다. 다만 “이미 부동산 가격이 정점인 상태이고, 앞으로 금리 인상에 유동성 축소 국면이 올 것이기 때문에 과도한 폭락이 오히려 걱정되는 국면”이라고 우려를 표하기도 했다.
이 후보는 조국 사태와 관련해서는 “잘못한 일로 확인이 되면 다른 사람보다 더 심하게 비난받는 점에 대해 억울하게 생각할 일은 아니다”라며 “더 높은 지위와 더 큰 책임을 갖고 있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한편, 전국을 돌며 민심 행보를 펼치고 있는 이 후보는 오는 3일부터 5일까지 사흘간 ‘매타버스(매주 타는 민생버스)’ 4주차 일정으로 전북과 세종을 찾아 시민들을 만날 예정이다. 전북 지역은 이 후보 선거대책위원회 상임고문을 맡았던 정세균 전 국무총리의 고향이라는 점에서, 정 전 총리가 이 후보와 동행해 힘을 실어줄지 주목된다.
/오광록 기자 kroh@kwangju.co.kr·연합뉴스
송 대표는 조 위원장 인선 배경에 대해 “20~30대 가정주부의 어려움을 이겨낸 롤모델을 찾고 싶었다”며 “짧은 시간이지만 집중적으로 많은 논의와 설득을 거쳐 (조 교수를) 최종적으로 결정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특히 저는 이재명 후보의 책 한 권을 조 교수에게 줬다. 읽어보고 필(feel)이 오면 결정해 달라고 했다”며 “민주당이 귀한 분을 모셨다”고 강조했다.
선대위 관계자는 이날 연합뉴스와 통화에서 “오래 걸리긴 했지만, 청년층 외부 인재 영입이 마무리된 단계”라며 “이들 모두 선대위원으로 참여해 2030세대 의제를 적극적으로 발굴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 후보는 이틀 뒤인 내달 2일 선대위 조직개편 및 인선안을 최종 발표하고, 이른바 쇄신 선대위를 공식 출범시킬 예정이다. 쇄신 선대위의 명칭은 ‘전국민 선대위’로 정한 것으로 전해졌다.
선대위 조직은 총 6~7개 본부로 간소화하고, 본부 간 신속·기동 체제를 구축하는 것이 주된 개편 방향인 것으로 전해졌다.
이에 앞서 이 후보는 지난 29일 자신의 대표 공약 중 하나인 국토보유세에 대해 “국민들이 반대하면 안 한다”고 말했다.
이 후보는 이날 공개된 채널A와의 인터뷰에서 이같이 말한 뒤 “증세는 사실 국민들이 반대하면 할 수 없는 것”이라고 밝혔다. 이 후보는 “90% 이상의 국민은 내는 것보다 받는 게 많기 때문에 사실 (국토보유세는) 세금정책이라기보다 분배 정책에 가깝다”면서도 “다만 이것에 대해 불신이 많고 오해가 많기 때문에 국민의 동의를 얻는 전제로 추진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유연하고 실용적인 태도로 정책을 펼치겠다는 방침을 거듭 천명한 것으로 보인다.
이 후보는 부동산 대책과 관련해서는 “지금부터 공급 확대 정책을 더할 것”이라며 “(용적률 상향 등) 기존 택지들의 효율성을 높이는 일도 당연히 검토해야 한다”고 말했다. 다만 “이미 부동산 가격이 정점인 상태이고, 앞으로 금리 인상에 유동성 축소 국면이 올 것이기 때문에 과도한 폭락이 오히려 걱정되는 국면”이라고 우려를 표하기도 했다.
이 후보는 조국 사태와 관련해서는 “잘못한 일로 확인이 되면 다른 사람보다 더 심하게 비난받는 점에 대해 억울하게 생각할 일은 아니다”라며 “더 높은 지위와 더 큰 책임을 갖고 있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한편, 전국을 돌며 민심 행보를 펼치고 있는 이 후보는 오는 3일부터 5일까지 사흘간 ‘매타버스(매주 타는 민생버스)’ 4주차 일정으로 전북과 세종을 찾아 시민들을 만날 예정이다. 전북 지역은 이 후보 선거대책위원회 상임고문을 맡았던 정세균 전 국무총리의 고향이라는 점에서, 정 전 총리가 이 후보와 동행해 힘을 실어줄지 주목된다.
/오광록 기자 kroh@kwangju.co.kr·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