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도, 5년간 관광에 2조9000억 투입
관광개발계획 수립 용역 보고회
내년 전남 방문의 해 추진위 발족
내년 전남 방문의 해 추진위 발족
![]() 전남도청 |
전남도가 전남 관광자원의 고도화와 편의·기반시설 설치를 위해 앞으로 5년간 2조9000억원을 투입하기로 했다. 이와 함께 2022년부터 1년간 전남 방문의 해 운영을 위해 지난 19일 추진위원회를 출범시키는 등 관광을 매개로 한 전남 발전에 총력을 기울이는 모양새다.
전남도는 21일 “대한민국 관광을 선도하기 위해 2022년부터 5년 간 2조9003억원을 투입해 전남 관광개발 전략과 사업들을 발굴했다”고 밝혔다. 지난 19일 도청 왕인실에서 김영신 관광문화체육국장, 22개 시·군 관광부서장, 직원 등 8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제7차 전남권 관광개발계획 수립 용역’ 최종보고회가 열렸다.
이날 보고회는 용역 수행사인 전남대·호남대 산학협력단의 계획안 전반에 대한 설명과 함께 각 시·군의 질의·응답, 토론을 통한 의견수렴 등이 진행됐다. 전남권 관광개발계획은 ‘관광진흥법’에 의한 5년 단위 법정계획이다. 국가의 ‘제4차 관광개발 기본계획(2022~2031년)’과 연계해 도가 추진할 구체적 관광개발 방향과 실행전략을 담고 있다.
특히 전남도는 제7차 관광개발계획의 비전을 ‘남해안 시대 해양·생태 관광 허브 블루투어 전남’으로 설정했다. 비전 실현을 위해서는 ▲동북아 해양관광 중심지 도약 ▲안전한 체류관광 기반 구축 ▲도민중심 공정관광 환경 조성 ▲역사문화 콘텐츠 활용 체험관광 육성 등을 4대 목표로 설정했다.
이와 함께 주요 관광지간의 연계성을 강화하기 위해 전남권을 ▲휴양·웰빙 테마의 북부관광권 ▲섬 관광·해양 생태 테마의 서부관광권 ▲역사·문화 테마의 중남부관광권 ▲남해안 관광거점·레저 테마의 동부관광권으로 구분했다. 이를 뒷받침하기 위해 ▲체험형 해양·생태 관광 발굴 ▲남해안 복합관광 거점 조성 등 8개 전략과 64개 전략별 핵심사업을 제시했다.
김영신 전남도 관광문화체육국장은 “전남만의 특화 관광자원을 활용한 관광개발 사업의 기본이 될 이번 계획은 도내 관광산업에 활력을 불어넣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한편 같은 날 전남도는 2022~2023 전남 방문의 해 추진위원회도 발족시켰다. 김영록 전남지사가 대회장, 문금주 행정부지사와 오창희 한국여행업협회장(KATA 회장)이 공동위원장을 각각 맡았다. 위원은 여행업계, 학계, 언론인, 도의원 및 공공기관 대표 등 24명으로 이뤄졌는데, 추진위원회 분과는 기획총괄, 관광기반 조성·서비스, 프로그램 운영 및 마케팅, 민관협력 4개로 각각 5명으로 구성됐다.
/윤현석 기자 chadol@kwangju.co.kr
전남도는 21일 “대한민국 관광을 선도하기 위해 2022년부터 5년 간 2조9003억원을 투입해 전남 관광개발 전략과 사업들을 발굴했다”고 밝혔다. 지난 19일 도청 왕인실에서 김영신 관광문화체육국장, 22개 시·군 관광부서장, 직원 등 8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제7차 전남권 관광개발계획 수립 용역’ 최종보고회가 열렸다.
이와 함께 주요 관광지간의 연계성을 강화하기 위해 전남권을 ▲휴양·웰빙 테마의 북부관광권 ▲섬 관광·해양 생태 테마의 서부관광권 ▲역사·문화 테마의 중남부관광권 ▲남해안 관광거점·레저 테마의 동부관광권으로 구분했다. 이를 뒷받침하기 위해 ▲체험형 해양·생태 관광 발굴 ▲남해안 복합관광 거점 조성 등 8개 전략과 64개 전략별 핵심사업을 제시했다.
김영신 전남도 관광문화체육국장은 “전남만의 특화 관광자원을 활용한 관광개발 사업의 기본이 될 이번 계획은 도내 관광산업에 활력을 불어넣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한편 같은 날 전남도는 2022~2023 전남 방문의 해 추진위원회도 발족시켰다. 김영록 전남지사가 대회장, 문금주 행정부지사와 오창희 한국여행업협회장(KATA 회장)이 공동위원장을 각각 맡았다. 위원은 여행업계, 학계, 언론인, 도의원 및 공공기관 대표 등 24명으로 이뤄졌는데, 추진위원회 분과는 기획총괄, 관광기반 조성·서비스, 프로그램 운영 및 마케팅, 민관협력 4개로 각각 5명으로 구성됐다.
/윤현석 기자 chadol@kwangju.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