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광주서 전두환 표지석 밟고 봉하선 “盧의 길 가겠다”
  전체메뉴
이재명, 광주서 전두환 표지석 밟고 봉하선 “盧의 길 가겠다”
영·호남 횡단 본선 행보
5·18 민주묘지 참배
“전두환은 반란수괴·학살범”
전두환 옹호 윤석열 맹 비난
권양숙 “남편과 가장 닮은 후보”
2021년 10월 24일(일) 19:40
더불어민주당 대선후보인 이재명 경기지사가 지난 22일 오전 광주 북구 망월동 5·18 구묘역(민족민주열사묘역)을 참배하기 위해 입장하며, 묘역 입구 땅에 박힌 전두환 비석을 밟고 있다. <광주·전남 사진 기자단>
‘대장동 국감’을 성공리에 마친 것으로 평가받고 있는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선후보가 지난 22일 영·호남을 가로지르며 본격적인 본선 행보에 나섰다.

이 후보는 이날 오전에는 호남과 민주주의 상징인 광주 5·18 묘역을 참배, ‘전두환 옹호’ 발언과 ‘개 사과’ 논란으로 위기를 맞고 있는 국민의힘 대권 주자인 윤석열 전 검찰총장을 향해 견제 수위를 한껏 높였다. 이어 오후에는 김해 봉화마을을 찾아 고(故) 노무현 전 대통령의 묘소를 참배하고 권양숙 여사를 예방하면서 노 전 대통령의 뒤를 잇는 민주세력의 정통성 있는 후계자라는 점도 부각했다.

이 후보의 이날 행보는 ‘대장동 정국’ 정면돌파를 위해 경기지사 자격으로 국회 경기도 국정감사를 받으면서 미뤄진 일정을 소화하기 위한 것으로, 민주당 대선 경선에서 후보로 선출된 뒤 대전 현충원을 방문한 이후 사실상 첫 일정이어서 주목을 받았다.

이 후보는 5·18 민주묘지에서는 “광주는 제 사회적 어머니”라며 “당연히 가장 먼저 찾아와 인사드리고 앞으로 어떤 길을 갈지 다짐해야 하는 곳”이라고 말했다. 이 후보는 국민의힘 대권 주자인 윤 전 총장의 ‘전두환 옹호 발언’ 논란과 관련한 기자들의 질문에 “윤석열 후보의 말씀은 사실 뭐 특별히 놀랍지가 않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전두환 씨는 내란범죄의 수괴이고 집단학살범”이라며 “(윤 전 총장은) 민중의 피땀으로 만들어진 민주주의 체제 속에서 혜택만 누리던 분이라 전두환이라는 이름이 갖는 엄혹함을 전혀 이해하지 못했을 것”이라고 윤 전 총장을 직격했다. 윤 전 총장이 “군사 쿠데타와 5·18만 빼면 정치는 잘했다고 말하는 분들이 많다”고 말한 것을 겨냥해 “살인강도도 살인강도를 했다는 사실만 빼면 좋은 사람일 수 있다”고 비꼬기도 했다.

특히 이 후보는 이날 애초 예정에 없던 민주열사 묘역도 참배했다. 이 후보는 민주열사 묘역 입구에 있는 ‘전두환 표지석’을 두발로 밟으며 “윤 후보님은 존경하는 분이라 밟기 어려우셨을 것“이라고 꼬집기도 했다. 이 표지석은 1982년 전 전 대통령이 담양을 방문해 세운 민박 기념비를 세운 것을 부순 뒤 묘역으로 가져와 참배객들이 밟을 수 있도록 바닥에 설치해 놓은 것이다.

이 후보는 또 이날 페이스북을 통해서는 윤 전 총장이 SNS에 반려견에 사과를 주는 사진을 올린 것을 겨냥해 “전두환 씨를 찬양하고도 반성은커녕 2차 가해를 남발 중”이라며 “한국판 ‘홀로코스트 부정 처벌법’이 필요하다”고 비난했다.

이 후보는 이날 오후에는 봉화마을을 들러 “5·18의 진상을 알고 나서 인생을 바꿨다면, 노무현 대통령께서는 인권변호사와 정치 진출의 길을 열어주셨다”며 “그 길을 따라 끝까지 가겠다”고 했다. 약 50분간 권양숙 여사를 예방한 뒤에는 권 여사가 “노 전 대통령을 가장 많이 닮은 후보”라고 말한 사실을 동석한 전재수 의원이 전하기도 했다.

이 후보의 이날 행보는 민주당의 심장부인 광주에서 핵심 지지층의 결집에 나서는 동시에, 당의 핵심 지지세력인 친노·친문계와의 화학적 결합을 한층 강화하기 위한 것으로 해석된다. 이 후보는 이날 일정을 시작으로 본선을 향한 발걸음에 한층 속도를 붙일 것으로 보인다.

/최권일 기자 cki@kwangju.co.kr

핫이슈

  • Copyright 2009.
  • 제호 : 광주일보
  • 등록번호 : 광주 가-00001 | 등록일자 : 1989년 11월 29일 | 발행·편집·인쇄인 : 김여송
  • 주소 : 광주광역시 동구 금남로 224(금남로 3가 9-2)
  • TEL : 062)222-8111 (代) | 청소년보호책임자 : 채희종
  • 개인정보취급방침
  • 광주일보의 모든 컨텐츠를 무단복제 사용할 경우에는 저작권법에 의해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